[사회복지]노인여성의 권리와 복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문제의 제기
II.노인여성문제에 대한 관심
III.노인여성의 문제
IV.한국의 노인여성
V.노인여성의 권리와 복지
Ⅵ.현행정책과 과제
Ⅶ.맺음말

본문내용

서는 여성만이 감당하는 성역할의 기여에 대한 사회적 배려를 필요로 한다. 모성보호법이 제정되긴 했지만 육아휴직 등과 같은 문제에 있어서 아직은 사회적 책임의 인식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노인여성의 소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외(학대포함)의 상당한 원인이 경제적인 데 있기 때문에 자원지배권의 확충이 이를 예방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미래의 노인여성
현재의 노인여성은 사회적 역할의 기회가 거의 없었던 세대가 주를 이루나, 미래의 노인여성은
) 미래의 노인과는 다른 차원이다. 미래의 노인문제는 상당한 경제적 지위(각종 사회보장제도의 확충 등도 포함해서)를 가진 계층도 대상이 되어 여유 로운 사회봉사기회의 확충과 문화생활의 기회확충 등을 고려가 과제이다.
사회참여의 기회를 가진 인구가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그러나 여성의 임금수준이 남성의 61.8%밖에 되지 않는 현재 상황은 기회는 가지되 상대적으로는 여전히 열악한 상황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미래의 여성노인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노동시장접근도를 높일 수 있는 고용기회의 창출뿐만 아니라 여성의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맺음말
'노인문제는 여성문제이다.'라는 관점에서 구체적인 여성의 문제를 통하여 노인의 문제를 조명하고자 글을 시작하였으나 인구에서의 성비에 관한 통계 외에는 남녀구분통계가 거의 없어 시작하는 말이 끝말이 되고 말게 되었다. 노인정책은 여성친화적 정책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외에는 밝힐 것이 없게 된 셈이다. 인구구성으로 보든지, 문제의 성격으로 보든지 어느 쪽으로 보더라도 노인문제는 여성문제이기 때문에 여성정책이 완전하면(여성문제를 해결하면) 미래의 노인문제는 상당부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임을 맺음말로 한다.
참 고 문 헌
박재간(1979a), 노인문제와 대책. 이우출판사.
구소영(1987). 노인여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 노인여성의 경제 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구자순(1990). 한국여성노인: 사회세계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 8권 3호, 한국여성개발원
구자순(1991). 노인여성과 사회적 차별문제. 「여성문제연구」 제15 집,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 연구소
김복규(1989). 빈곤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8집.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김익기(1998). 여성노인의 생활실태 조사. 한국여성단체협의회.
김태현(1999). 한국의 소외된 여성노인. 소외계층노인의 현황과 과 제-우리 나라 노인사회를 중심으로.「노인복지정책연구총서」 한국노인문제연구소.
남정림(1992). 국민연금제도와 여성의 노후빈곤. 「여성문제 연구」 20호, 대구: 효성여자대학교.
남정림(1992). 여성노인의 빈곤화원인과 정책에 관한 여권론적 접 근. 「여성연구」 제37호. 1992 겨울.
남정림(1992). 여성노인의 빈곤화원인과 정책에 관한 여권론적 접 근. 「여성연구」 제37호. 한국여성개발원
박경란(1988). 노년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장남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영우(2000). 여성노인의 정신건강. 「여성노인의 권리와 복지」. 대구광역시 여성정책위원회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박재간(1989b), "노인소득 보장을 위한 장단기 대책," 「노인문제 종합방안 수립을 위한 분야별 연구, 정무장관(제2)실.
박정은(1990). 여성노인의 복지지원을 위한 기초실태조사. 「여성연 구」 제8권 3호, 한국여성개발원.
박충선(1990).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여성연구」 8(3). 여성개발연구원.
박충선(2000). 노인학대와 여성. 「여성노인의 권리와 복지」. 대구 광역시 여성정책위원회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보건사회연구원(1998).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명선(2000). 여성노인의 소득보장. 「여성노인의 권리와 복지」. 대구광역시 여성정책위원회 여성정책토론회 자료집.
신인령(1985). 여성차별정년연구, 「여성·노동·법」. 풀빛출판사
정무장관 (제2)실(1996). 「여성노인과 삶의 질」. 여성주간 기념 학술 세미나 자료집.
정혜정(1999). 「전라북도 여성노인 생활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보 고서」. 전라북도 여성정책관실.
정혜정·서병숙(1997). 여성노인의 심리적 복지와 관련된 개인적 요인 및 세대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조병은(1990). 한국여성노인문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여성연구」, 8(3) 여성개발연구원.
조옥희·신효식(1991). 홀로된 여자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 구. 「대한가정학회지」, 29(4)
한국여성개발원(1989). 「여성노인의 복지지원을 위한 기초실태조사」
홍성애(1982). 여자노인의 가정 내 지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국민연금관리공단(2000), 「국민연금통계연보」
보건복지부(1999), 「99생활보호대상자 현황」
통계청, 「인구총조사」, 2000.
web page는 생략
국민연금법 및 동 시행령과 시행규칙
기초생활보장법
노인복지법
여성발전기본법
Glendinning, Caroline and Jane Millar(1991), "Poverty: The Forgotten English Women," Women's Issues in Social Policy, (eds.) Mavis MaClean and Dulcie Groves, London: Routledge.
Marshall, T. H.(1950).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in T. H. Marshall (1963), Sociology at the Crossroads and Other Essays. London: Heinemann
Mishra, Ramesh(1977). Society and social Policy: Theoretical Perspectives on Welfare. Hong Kong: Macmillan.
Sodei, Takako(1999). 과다한 가족부양부담으로 인한 노인학대방 지 방안, 「21세기 노년부양과 여성노인의 문제」, 99서울국 제노년학대회 조직위원회.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12.1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