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캐릭터란?
캐릭터의 종류
캐릭터 사업
캐릭터는 감성 커뮤니케이션
캐릭터는 철저한 커뮤니케이션의 산물
성공하는 캐릭터의 비결
캐릭터의 종류
캐릭터 사업
캐릭터는 감성 커뮤니케이션
캐릭터는 철저한 커뮤니케이션의 산물
성공하는 캐릭터의 비결
본문내용
아하지 않을 것이다.
펩시콜라의 펩시맨은 총 7편의 시리즈 광고에 등장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광고 뿐만 아니라 열쇠고리 인형 등 관련 제품들이 생산되면서 매니아들도 생겨났다고 한다. 펩시맨은 단순하고 강한 시각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의외의 실수와 우스꽝스러운(?) 막판 반전을 통해 소비자로 하여금 격 없는 친근감을 갖게 했다.
해태음료의 깜찍이 역시 신세대 층에 유행하는 유머 시리즈에 달팽이 캐릭터를 비쥬얼화하여 탄생한 캐릭터로서 판매 성공은 물론, 캐릭터 자체의 폭발적인 인기로 라이센싱까지 이어지는 쾌거를 거두었다. 바른손 캐릭터는 예쁘기만 하다는 악평(?)을 가끔 듣곤 한다.
하지만 예쁘기만 하고 귀엽기만 한 것이 바른손 캐릭터 제품을 오랫동안 팔리게 하는 힘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중적인 캐릭터라면 예뻐야 한다.
4. 기존에 없는 것을 찾아라
포켓몬스타의 열풍에 이어 최근 일본에서는 제2의 포켓몬스타가 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고 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일본을 대표하는 도에이 애니메이션의 <디지몬 어드벤처>는 포켓몬스타와 너무나 비슷한 컨셉을 갖고 있는데... 이미 나온 아이디어를 가지고는 최고가 될 수 없다. 포켓몬스타가 성공한 것은 기존의 세계적인 캐릭터가 지니고 있지 않은 아이디어와 마케팅으로 출발했기 때문이다.
텔레토비 역시 캐릭터와 어린이 교육이라는 아이디어로 성공한 케이스다. 그러나 그와 유사한 젤라비, 노디는 텔레토비에 비해 성공하지 못했다.
5. 아이덴티티의 관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캐릭터는 그저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하나의 브랜드나 마찬가지다.
경쟁력 있는 디자인은 기본이고, 거기에 마케팅, 홍보, 제작, 상품화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아이덴티티가 유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그래야 브랜드의 자산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영국 BBC 사의 텔레토비는 아이들은 물론 청소년들에게도 인기가 있어서 청소년 제품의 라이센싱 상담이 쇄도했으나 아이덴티티 관리를 위해 10세 미만으로 타겟을 한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디즈니의 토이스토리도 3D 디자인이 인쇄상의 한계를 갖고 있어서 사업상 난점인데도 불구하고 3D의 이미지를 고수하기 위해 3D 인쇄가 가능하지 않은 아이템은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이처럼 아이덴티티의 관리에 있어서는 타협이 있을 수 없으며, 디자인과 사업에 있어서의 절제가 도리어 커다란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펩시콜라의 펩시맨은 총 7편의 시리즈 광고에 등장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광고 뿐만 아니라 열쇠고리 인형 등 관련 제품들이 생산되면서 매니아들도 생겨났다고 한다. 펩시맨은 단순하고 강한 시각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의외의 실수와 우스꽝스러운(?) 막판 반전을 통해 소비자로 하여금 격 없는 친근감을 갖게 했다.
해태음료의 깜찍이 역시 신세대 층에 유행하는 유머 시리즈에 달팽이 캐릭터를 비쥬얼화하여 탄생한 캐릭터로서 판매 성공은 물론, 캐릭터 자체의 폭발적인 인기로 라이센싱까지 이어지는 쾌거를 거두었다. 바른손 캐릭터는 예쁘기만 하다는 악평(?)을 가끔 듣곤 한다.
하지만 예쁘기만 하고 귀엽기만 한 것이 바른손 캐릭터 제품을 오랫동안 팔리게 하는 힘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중적인 캐릭터라면 예뻐야 한다.
4. 기존에 없는 것을 찾아라
포켓몬스타의 열풍에 이어 최근 일본에서는 제2의 포켓몬스타가 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고 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일본을 대표하는 도에이 애니메이션의 <디지몬 어드벤처>는 포켓몬스타와 너무나 비슷한 컨셉을 갖고 있는데... 이미 나온 아이디어를 가지고는 최고가 될 수 없다. 포켓몬스타가 성공한 것은 기존의 세계적인 캐릭터가 지니고 있지 않은 아이디어와 마케팅으로 출발했기 때문이다.
텔레토비 역시 캐릭터와 어린이 교육이라는 아이디어로 성공한 케이스다. 그러나 그와 유사한 젤라비, 노디는 텔레토비에 비해 성공하지 못했다.
5. 아이덴티티의 관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캐릭터는 그저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하나의 브랜드나 마찬가지다.
경쟁력 있는 디자인은 기본이고, 거기에 마케팅, 홍보, 제작, 상품화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아이덴티티가 유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그래야 브랜드의 자산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영국 BBC 사의 텔레토비는 아이들은 물론 청소년들에게도 인기가 있어서 청소년 제품의 라이센싱 상담이 쇄도했으나 아이덴티티 관리를 위해 10세 미만으로 타겟을 한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디즈니의 토이스토리도 3D 디자인이 인쇄상의 한계를 갖고 있어서 사업상 난점인데도 불구하고 3D의 이미지를 고수하기 위해 3D 인쇄가 가능하지 않은 아이템은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이처럼 아이덴티티의 관리에 있어서는 타협이 있을 수 없으며, 디자인과 사업에 있어서의 절제가 도리어 커다란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수업지도안 나의 직업 캐릭터 만들기
영화 「캐릭터」에서 아들의 입장
영화「 캐릭터」에서 아버지의 입장
‘스캔들’ 캐릭터의 성격분석 - 정신분석적 방략을 중심으로-
커플 캐릭터 사업계획서
현대사회에 있어 춘향 캐릭터의 의미
오만과 편견의 캐릭터 분석
노트르담 드 파리 캐릭터 분석
버라이어티 쇼의 캐릭터에 따른 대화양상 - 패밀리가 떳다를 통한 분석
8월의 크리스마스 캐릭터 중심 영화비평
보험회사 고객 캐릭터 개발
희곡의 갈등구조,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에 대해서
[아동문학] 캐릭터(Character) 분석하기 주인공의 Character분석기준에 맞춰 어떠한 그림책이...
블라드미드 캐릭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