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와 이데올로기 외 다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색채와 이데올로기

2. 한국의 전통색

3. 병원과 색채이야기

4. 제주도의 지역색채

5. 21세기 색의 힘

본문내용

의 ‘카이코코’라는 제품을 선두로 이제는 온통 빨강, 빨강이다.
전통적으로 ‘검은색’ 계열이 강세였고 그나마 젊은 세대를 겨냥한 좀 특이한 색이라면 ‘흰색’, ‘빨간색’이 전부였던 자동차 업계 역시, 마티즈가 금모래색 바람을 일으키자 각 회사의 카다로그에는 ‘하늘색’, ‘연한 바닷물색’ 등의 오묘한(?) 색상이 앞다투어 명기되고 있다.
이에 뒤질세라, 그 옛날 ‘백색가전’이라 불렀던 말이 무색할 만큼 가전제품들도 형형색색으로 모습이 바뀌고 있다. 블루, 브라운, 실버, 그린 등의 대용량 냉장고는 동급의 백색제품보다 수십만 원이 더 비싼데도 구입이 쇄도하고 있으며 에어컨도 체리색이나 금색 등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높아졌다고 한다.
원인은 ‘색’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새로운 변화를 유도해 내고자 하는 젊은 세대들 때문이다. 감성과 소비를 이끌고 있는 젊은 세대들은 이른바 영상 세대들로서 색에 대한 관념이 과거 소비자들보다 훨씬 자유로운 데다가 남들과 똑같은 건 죽기보다 싫어하는 그들로서는 색다른 색의 제품들로 자신과 주변을 치장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손쉽게 타인들에게서 자신을 차별화 시키는 방법이라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색에 가장 민감한 분야는 화장품과 패션 산업이었다. 화장품에서 뜬 색깔은 그 화장에 어울리는 옷으로 옮겨가고 이 색은 다시 주변의 생활용품과 인테리어로, 마지막에는 자동차의 색깔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였다. 그런데 사회가 복잡해지고 점점 빠르게 변화하면서 색이 산업 전반에 끼치는 영향력과 범위가 더욱 강력해지자, 지금 인테리어와 가전제품, 생활용품 분야들은 이전 단계들과 단계적인 순서없이 서로 영향력을 주고받고 있으며 화장품과 패션 산업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거의 동시에 유행색이 결정되고 있다.
최근 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자동차 ‘뉴비틀’의 성공은 바로 인테리어와 패션계의 유행 색채였던 파스텔 색상을 자동차에도 과감히 적용한 결과이다.
파스텔이라는 색은 자동차와 아무런 관련도 없어 보이는 다른 분야의 유행색이었지만, 색은 사람들의 상상력보다 더 빠르게 두 분야를 오가며 서로를 하나의 영향력 아래로 묶어놓았던 것이다.
이렇듯 색은 인간의 삶과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영향을 주며 그 시대의 문화를 규정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색이 사람들의 의식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색을 바꿔 사람들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시대가 되고 있다.
지난 98년 처음 선보인 애플 컴퓨터사의 ‘아이맥’ 컴퓨터는 반투명 재질에 주황, 파랑 등의 강렬하고 산뜻한 색을 입힌 유선형 디자인으로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왔다. 컴퓨터 주변 기기는 물론 이와 전혀 상관없는 다른 가전제품과 가구, 주방 용품, 헬스 기구에 이르기까지 ‘아이맥’ 특유의 색깔로 디자인된 상품들이 쏟아져 나왔던 것이다. 물론 다른 분야 회사들의 자발적인 생산이었지만, 이로써 사람들에게 ‘아이맥’ 스타일의 상품들은 컴퓨터의 아이맥처럼 최신의 성능과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다.
색은 그 자체로서는 의미가 약하고 실체가 없지만 사회와 문화, 산업과 어울려 제대로 체계화되면 커다란 힘을 발휘한다.
‘빨간색은 불이고 바다는 파란색이다.’라든가 ‘컴퓨터는 네모난 상자 모양’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기 전까지는 점점 더 거세게 불어닥칠 색의 열풍 속에서 살아가기 힘들 것이다.
감성을 자극하면서도 신선한 색들로 넘쳐나는 무지개빛 세상이 바로 코앞에 다가왔다.
21세기를 살아가는 당신, 이제 당신도 검은색 피자와 노란색 자장면을 먹은 후 입가심으로 노란 콜라나 초록색 맥주 한 잔을 마실 수 있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