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러일전쟁 전후 상황
2. 포츠머스조약
3. 포츠머스조약 체결후 양국내 영향
4. 국제정치체제의 변화
2. 포츠머스조약
3. 포츠머스조약 체결후 양국내 영향
4. 국제정치체제의 변화
본문내용
협정[The Taft-katsura Agreement]이 이루어지게 되고 미국은 일본에게 우호적 태도를 견지했다.
그러나, 포츠머스 회담 이후 "미·일간의 이민분쟁"(1906)을 계기로 양국관계는 급속도로 냉각되었다.
이 분쟁은 샌프란시스코의 공립학교에서 일본계 어린이들의 차별이라는 작은 사건으로 비롯되었지만 당시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유럽인들보다 더 우수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반면에 모든 동양인들은 열등하다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본인들과 중국인 노동자들간의 차이를 별로 인지하지 못한 미국인들은 일본인 이민에 대해 규제를 요구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미국은 일본과의 조약을 모색하고 나섰지만 일본은 자국내 대중들의 분노를 염두에 두어 모두 거절했다. 일본의 완강함에 직면한 루즈벨트는 법제정을 통해 차별명령을 철회시키고, 1907년 2월 신사협정[The Gentlemen's Agreement]을 통해 이민규제법안을 요구하는 국내 정치적 압력을 감수했고 일본정부는 노동자들에게 여권발급을 거부하여 스스로 이민을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하지만, 일본이 이 협정을 준수하지 않으며 이민자 수가 계속 증가하자 미국은 16척의 전투함대를 세계일주 순항계획을 명목으로 가동시켰고 일본으로부터의 초청을 받아 일본 항구에 정박하며 미국의 의지를 알렸다. 일본은 미국 함대가 입항하자 열렬히 환영하며 순항에 대한 미국의 체면을 세워주었고, 이를 계기로 미국민의 대일감정은 호의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는 1908년 5월 5일 중재협정, 5월 19일 조선과 중국에서 상표권의 보호를 위한 두 개의 조약, 신사협정의 완전한 준수 및 11월 태평양 지역에서의 미국의 지위와 중국의 문호개방을 확인하는 루트-다카히라협정[The Root-Takahira Agreement]의 체결로 이어졌다.
▶ 루트 - 다카히라 협정[The Root - Takahira Agreement] (1908년 11월 30일)
■ 태평양 지역에 대한 미·일 교환공문 (루트 - 다카히라 협정)
○ 주요내용
첫째, 양국정부는 태평양지역에서의 양국상업의 자유평온한 발달을 장려할 것을 희망한다.
둘째, 양국의 정책은 태평양지역에서의 현상유지, 중국에서의 상공업의 기회균등주의를 목적으로 한다.
셋째, 양국은 전기 지역에서 상호의 영토를 존중한다.
넷째, 양국은 모든 평화수단에 의해 중국의 독립·영토보전·중국에서의 열국의 기회균등주의 및 공통이익을 보호한다.
다섯째, 위의 현상유지 또는 기회균등주의를 침해하는 사건이 발생할 때에는 양국은 필요한 조치를 위해 협의한다.
○ 협정 체결의 의의
― 러일전쟁 때부터 계속되어오던 일본의 조선에 대한 특수지위를 점하기 위한 노력을 미국이 인정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미국 역시 하와이, 필리핀 군도에 대한 일본의 위협 제거를 보장받는 동시에 아시아에서의 지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 협정에 의해 미일간에 지속되어온 위기가 해소됨으로서 일본은 1910년 8월 22일 조선의 합병을 단행, 조선 은 독립을 상실하게 되고, 일본은 제국주의 국가로 탄생한다.
그러나, 포츠머스 회담 이후 "미·일간의 이민분쟁"(1906)을 계기로 양국관계는 급속도로 냉각되었다.
이 분쟁은 샌프란시스코의 공립학교에서 일본계 어린이들의 차별이라는 작은 사건으로 비롯되었지만 당시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유럽인들보다 더 우수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반면에 모든 동양인들은 열등하다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본인들과 중국인 노동자들간의 차이를 별로 인지하지 못한 미국인들은 일본인 이민에 대해 규제를 요구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미국은 일본과의 조약을 모색하고 나섰지만 일본은 자국내 대중들의 분노를 염두에 두어 모두 거절했다. 일본의 완강함에 직면한 루즈벨트는 법제정을 통해 차별명령을 철회시키고, 1907년 2월 신사협정[The Gentlemen's Agreement]을 통해 이민규제법안을 요구하는 국내 정치적 압력을 감수했고 일본정부는 노동자들에게 여권발급을 거부하여 스스로 이민을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하지만, 일본이 이 협정을 준수하지 않으며 이민자 수가 계속 증가하자 미국은 16척의 전투함대를 세계일주 순항계획을 명목으로 가동시켰고 일본으로부터의 초청을 받아 일본 항구에 정박하며 미국의 의지를 알렸다. 일본은 미국 함대가 입항하자 열렬히 환영하며 순항에 대한 미국의 체면을 세워주었고, 이를 계기로 미국민의 대일감정은 호의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는 1908년 5월 5일 중재협정, 5월 19일 조선과 중국에서 상표권의 보호를 위한 두 개의 조약, 신사협정의 완전한 준수 및 11월 태평양 지역에서의 미국의 지위와 중국의 문호개방을 확인하는 루트-다카히라협정[The Root-Takahira Agreement]의 체결로 이어졌다.
▶ 루트 - 다카히라 협정[The Root - Takahira Agreement] (1908년 11월 30일)
■ 태평양 지역에 대한 미·일 교환공문 (루트 - 다카히라 협정)
○ 주요내용
첫째, 양국정부는 태평양지역에서의 양국상업의 자유평온한 발달을 장려할 것을 희망한다.
둘째, 양국의 정책은 태평양지역에서의 현상유지, 중국에서의 상공업의 기회균등주의를 목적으로 한다.
셋째, 양국은 전기 지역에서 상호의 영토를 존중한다.
넷째, 양국은 모든 평화수단에 의해 중국의 독립·영토보전·중국에서의 열국의 기회균등주의 및 공통이익을 보호한다.
다섯째, 위의 현상유지 또는 기회균등주의를 침해하는 사건이 발생할 때에는 양국은 필요한 조치를 위해 협의한다.
○ 협정 체결의 의의
― 러일전쟁 때부터 계속되어오던 일본의 조선에 대한 특수지위를 점하기 위한 노력을 미국이 인정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미국 역시 하와이, 필리핀 군도에 대한 일본의 위협 제거를 보장받는 동시에 아시아에서의 지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 협정에 의해 미일간에 지속되어온 위기가 해소됨으로서 일본은 1910년 8월 22일 조선의 합병을 단행, 조선 은 독립을 상실하게 되고, 일본은 제국주의 국가로 탄생한다.
추천자료
한국전쟁기 소설의 사회현실과 문학작품과의 조응관계 및 반성적 시각
중동전쟁
한국전쟁의 기원과 국내외적 영향
한국전쟁 당시 민중들의 삶과 나의 견해에 대해 서술 A+레포트
전쟁이 패션에 끼치는 영향
한국전쟁의 의의와 배경
전쟁을 통해서 본 근대 일본
전쟁과 평화에 대한 기억의 차이와 역사교육에 관한 연구
청일전쟁과 일본
6.25전쟁 초기 김포지역 전투에 대한 연구 (1950. 6. 25 ∼ 28)
6.25전쟁과 미국 소련 중국의 역할
신화폐전쟁에서 바라보는 국제경제관계
전쟁이 초래한 허무와 반문화 반예술 - 다다이즘.PPT자료
베트남전쟁이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