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의 전반적 경어사용 경향
2. 한국의 전반적 경어사용 경향
서 론
본 론
결 론
2. 한국의 전반적 경어사용 경향
서 론
본 론
결 론
본문내용
가장 뛰어난 성리학자이셨다.
+-b. 퇴계는 우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성리학자이었다.
a. ==> 퇴계의 후손이 자기 조상에 관하여 사석에서 말할 때 쓸 수 있는 문장. 개별적인 친밀감을 가지고 또는 자기와의 개인적인 특수한 관계를 의식하고 각별히 친근하게 서술하는 말이다.
b. ==> 국사 교과서나 신문, 라디오, 방송 해설 같은 데서 사용될 수 있는 문장. 객관적으로 기술, 공식석상에서 합당한 표현이다.
(4) 직접존대와 간접존대
+-a. 그 분은 점잖으시다.
+-b. 그 분은 수염이 많으시다.
+-a. 아저씨께서는 부자시다.
+-b. 아저씨께서는 재산이 많으시다.
+-a. 선생님께서는 재산이 많으시다.
+-b. 선생님께서 감기가 드셨다.
a는 직접 존대이고, b는 간접 존대이다.
# b의 직접 주어는 높임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무정물이나 전체 주어를 높이기 위하여 서술어에 -(으)시-'가 붙는다.
+-a. 선생님은 연구실이 넓어서 편하시겠어요.
+-b. 선생님은 연구실이 넓으셔서 편하시겠어요.
b는 넓다에 -(으)시-'를 써서 선생님을 존대한다.
+-a --> 연구실이 넓은 것이 연구의 편의와 관계 있다는 사실을 특별히 선생님에게 | 만 한정된 것이 아닌 일반적인 사실로 기술했다.
+-b --> 선생님의 개인생활에 더 관련시켜 기술했다.
일반적으로 존대해야 할 인물의 신체부분, 개인적 소유물, 생활의 필수적 조건이 되는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는 간접 존대의 춘잠에서 반드시 -(으)시-'를 동반한다.
+-a. 선생님은 연세가 많으시다.
+-b. 선생님은 머리가 아직 검으시다.
3. 결 론
경어법이란 결국 화자가 어떤 대상에 어떤 자질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보고, 또 이점에서 그 대상은 청자(상대), 주체, 객체의 셋(과 그 각각의 짝)으로 갈린다고 본다.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나 기술의 바른 방향이 대체로 여기서 크게 멀지 않은 데서 찾아질 수 있다고 믿거니와, 이제 까지의 논지를 다음에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1. 경어법은 두 NP 간의 존비관계를 화자가 어떻게 판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그 초점은 「누구(어느 NP)를 누구(어느 NP)와의 대비에서 높이고 안 높이고 또 낮추느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 그런데 국어 경어법을 분석 파악함에 있어 「누구와의 대비」라는 조건은 드물지 않게 등한이 되어 왔거나 오해되어 왔던 바, 이것이 바로 그 동안의 경어법의 분석, 기술을 불투명하게 했던 큰 요인이었던 것 같다.
3. 주체경어법은 주체를 주로 화자와의 대비에서 높이고 안 높이고는 경어법임에는 틀림없지만, 그러나 그동안 믿어 왔던 것처럼 이 경어법이 화자와의 대비에서만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주체가 화자에게는 하위자이면서도 청자보다 상위의 인물이라는 이유로 주체경어법이 쓰이는 일이 있다. 즉, 주체경어법은 주체와 청자와의 존비관계로써도 성립되는 경어법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일은 청자 때문에 주체경어법을 쓸망정 화자가 주체를 존대한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참 고 문 헌
서정수(1972)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어학연구 8-2
성기철(1970) 국어 대우법 연구, 충북대논문집 4.
이숭녕(1964) 경어법 연구, 진단학보 25.26.27 합병호
최현배(1959) 우리말본, 정음사
허 웅(1963) 국어존대법 연구, 중세국어연구, 정음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1994) 출석수업대체지상강좌
이익변,장소원(1994) 국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목 차
서 론
본 론
1.국어 존대법 체계
2. 주체 경어법
3. 주체 존대법
1.주체 존대의 형태소
2.주체 존대의 대상
3 존대의 요인들
4.직접존대와 간접존대
결 론
+-b. 퇴계는 우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성리학자이었다.
a. ==> 퇴계의 후손이 자기 조상에 관하여 사석에서 말할 때 쓸 수 있는 문장. 개별적인 친밀감을 가지고 또는 자기와의 개인적인 특수한 관계를 의식하고 각별히 친근하게 서술하는 말이다.
b. ==> 국사 교과서나 신문, 라디오, 방송 해설 같은 데서 사용될 수 있는 문장. 객관적으로 기술, 공식석상에서 합당한 표현이다.
(4) 직접존대와 간접존대
+-a. 그 분은 점잖으시다.
+-b. 그 분은 수염이 많으시다.
+-a. 아저씨께서는 부자시다.
+-b. 아저씨께서는 재산이 많으시다.
+-a. 선생님께서는 재산이 많으시다.
+-b. 선생님께서 감기가 드셨다.
a는 직접 존대이고, b는 간접 존대이다.
# b의 직접 주어는 높임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무정물이나 전체 주어를 높이기 위하여 서술어에 -(으)시-'가 붙는다.
+-a. 선생님은 연구실이 넓어서 편하시겠어요.
+-b. 선생님은 연구실이 넓으셔서 편하시겠어요.
b는 넓다에 -(으)시-'를 써서 선생님을 존대한다.
+-a --> 연구실이 넓은 것이 연구의 편의와 관계 있다는 사실을 특별히 선생님에게 | 만 한정된 것이 아닌 일반적인 사실로 기술했다.
+-b --> 선생님의 개인생활에 더 관련시켜 기술했다.
일반적으로 존대해야 할 인물의 신체부분, 개인적 소유물, 생활의 필수적 조건이 되는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는 간접 존대의 춘잠에서 반드시 -(으)시-'를 동반한다.
+-a. 선생님은 연세가 많으시다.
+-b. 선생님은 머리가 아직 검으시다.
3. 결 론
경어법이란 결국 화자가 어떤 대상에 어떤 자질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보고, 또 이점에서 그 대상은 청자(상대), 주체, 객체의 셋(과 그 각각의 짝)으로 갈린다고 본다.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나 기술의 바른 방향이 대체로 여기서 크게 멀지 않은 데서 찾아질 수 있다고 믿거니와, 이제 까지의 논지를 다음에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1. 경어법은 두 NP 간의 존비관계를 화자가 어떻게 판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그 초점은 「누구(어느 NP)를 누구(어느 NP)와의 대비에서 높이고 안 높이고 또 낮추느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 그런데 국어 경어법을 분석 파악함에 있어 「누구와의 대비」라는 조건은 드물지 않게 등한이 되어 왔거나 오해되어 왔던 바, 이것이 바로 그 동안의 경어법의 분석, 기술을 불투명하게 했던 큰 요인이었던 것 같다.
3. 주체경어법은 주체를 주로 화자와의 대비에서 높이고 안 높이고는 경어법임에는 틀림없지만, 그러나 그동안 믿어 왔던 것처럼 이 경어법이 화자와의 대비에서만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주체가 화자에게는 하위자이면서도 청자보다 상위의 인물이라는 이유로 주체경어법이 쓰이는 일이 있다. 즉, 주체경어법은 주체와 청자와의 존비관계로써도 성립되는 경어법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일은 청자 때문에 주체경어법을 쓸망정 화자가 주체를 존대한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참 고 문 헌
서정수(1972)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어학연구 8-2
성기철(1970) 국어 대우법 연구, 충북대논문집 4.
이숭녕(1964) 경어법 연구, 진단학보 25.26.27 합병호
최현배(1959) 우리말본, 정음사
허 웅(1963) 국어존대법 연구, 중세국어연구, 정음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1994) 출석수업대체지상강좌
이익변,장소원(1994) 국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목 차
서 론
본 론
1.국어 존대법 체계
2. 주체 경어법
3. 주체 존대법
1.주체 존대의 형태소
2.주체 존대의 대상
3 존대의 요인들
4.직접존대와 간접존대
결 론
추천자료
대중문화론
임신과정
일본 고전 문학사 연구
중국 여행을 다녀와서
우리말 오용실태와 우리말 순화운동에 관한 고찰
[님웨일즈아리랑, 아리랑]님웨일즈의 아리랑 서평, 김산의 생애, 작품 내용 분석, 요약
[한국방송공사, KBS]한국방송공사(KBS)의 연혁, 방송이념과 편성목표, 한국방송공사(KBS)의 ...
[화행][화행 정의][화행 기준][화행 텍스트유형][화행 연구 사례][화행 문장종결법][텍스트유...
[번역][번역 수정][번역 사례][한국 일본번역 비교][번역과 창작시 번역방법]번역의 연혁, 번...
스포츠중계의 역사 (중계역사, 스포츠미디어).pptx
방통대 언어의 이해 B형 세계의 주요 문자 관련
(주)시선 미래 발전전략 연구보고서-안경제조업체
부산관광 서비스 모니터링 - 용두산 공원 ( 관광안내, 교통 및 안전관리, 화장실, 관광식당, ...
휴먼다큐 사랑 - 슈퍼수림편을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