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잡지에 나타난 속옷광고의 문화적 의미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광고의 문화적 의미
Ⅲ. 속옷광고의 문화적 의미
Ⅳ.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비록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1990년대에 와서 여성주의가 광고메시지로 사용되면서 여성 역할에 있어서의 변화가 보여지고, 속옷광고 속에서의 여성과 남성의 역할지위가 바뀌면서 남성의 역할이미지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속옷광고의 선정성 내지 여성의 성적 대상화의 역할이미지는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광고는 한 사회 속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는 추구이념이나 관심이 되었던 사건을 광고메시지로 사용하고 있다. 국가정책이나 국제행사의 개최와 같은 사회적 관심사가 주제로 사용되고 가족사랑이나 세계화와 같은 그 시대의 추구가치들이 속옷광고에 반영되면서 광고와 사회의 밀접한 연관성을 드러낸다.
광고는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 각각의 의미작용을 통합한 광고 전체를 통해서 문화라는 또 하나의 의미를 산출하는데, 속옷광고의 광고메시지를 분석하고 그 변화추이를 밝힘으로써 속옷에 대한 변화의 내용, 성과 신체에 대한 의미의 변화, 남녀역할의 변화 등 현대소비문화의 한 단면을 고찰할 수 있었다. 광고는 장기적이고 암시적인 영향을 통해 사회전반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며 개인의 의식과 가치에 미치게 되는 문화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광고 속에 함축된 의미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강명구 (1989). 광고의 문화적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에
나타난 전통문화의 비판적 해석. 광고연구. 여름.
대홍기획(1999. 5/6). 자기애 강한 20대 미혼. 대홍커뮤
니케이션즈.
리대룡, 김희정 (1995). 잡지광고의 여성 역할이미지 및
그 변천에 관한 내용분석. 광고연구. 26(봄).
오세인 (1999). 텔레비젼영상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원용진 (1994). 광고는 어떻게 의미를 내는가. 광고연구.
23.
이성욱 (1993). 여자의 눈길:볼거리의 숙명에 대하여. 문
화과학. 4.
이영자 (1997). 이상화된 몸,아름다운 몸을 위한 사투.
사회비평. 17.
이영자 (1998). 성의 시장 매매춘. 오성근, 윤혜준 공편.
성과 사회. 서울: 나남.
한상필 (1999). 광고에 나타난 가치관의 변화. 광고연구.
43.
Baudrillard, J. (1986). La Societe de Consommation. Paris:
Editions Denoel, 이상률 역 (1999). 소비의 사회. 서울: 문예출판사.
Courtney, A. E., & Whipple, T. W. (1983). Sex Stereoty-
ping in Advertising. Lexington Books. 허갑중 역 (1990). 성표현 광고와 규제. 서울: 나남.
Ewen, S. (1976). Captains of Consciousness: Advertising
and the Social Roots of the Consumer Culture. New York: McGraw-Hill. 최현철 역 (1998). 광고와 대중소비문화. 서울: 나남.
Featherstone, M.(1991). The Body in Consumer Culture. In
M. Featherstone, M. Hepworth & B. S. Turner(Eds.).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al Theory. London: Sage Publications. 김성호 역 (1993). 소비문화 속의 육체. 문화과학 4.
Kaiser, S. (198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and
Personal Adornment. New York: Macmillan.
Key, W. B. (1976). Media Sexploitation. Prentice-Hall. 허
갑중 역 (1995). 섹스어필광고, 섹스어필미디어. 서울: 책과 길.
McCraken, G. (1988). Culture and Consumption: new
approaches to the symbolic character of consumer goods and activitie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이상률 역 (1996). 문화와 소비. 서울: 문예출판사.
Roach, M. E. (1979). The Social Symbolism of Women's
Dress. In J. M. Cordwell & R. A. Schwarz (Eds.), The Fabric of Culture. The Hague: Mouton.
Rudd, N. A. & Lennon, S. J. (2000). Body Imag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in College Woma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3).
Scheibe, C. (1979). Sex Role in TV Commercial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1).
- 797 -
Stone, G. (1995). Appearance and the Self. In M. E. Roach
-Higgins, J. B. Eicher, & K. K. P. Johnson (Eds.), Dress and Identity.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Thompson, C. J. & Hirschman, E. C. (1995). Understand-
ing the Socialized Body: A Poststructural Analysis of consumers' Self-Conceptions, Body Images, and Self -Care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
Thompson, M. J. (2000). Gender in Magazine Advertising:
Skin Sells Bes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3).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11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