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의 리더쉽 연구: 북한의 집단주의와 수령체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이태섭, ꡔ김일성의 리더쉽 연구: 북한의 집단주의와 수령체계ꡕ

본문내용

과 개인 이익 사이의 모순에 있다. 따라서 그 원인을 수령제로만 제시하는 것은 피상적인 설명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그는 수령제의 한계를 지적한다. 사회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령체계를 확립하였지만, 수령체계는 개인의 의식과 행위를 집단주의적으로 변형시키는데 역사적 한계를 보여왔다. 수령체계가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대안이었다면 현재의 또다른 위기는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북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상당히 조심스럽다. 김정일의 인식에 근거해서이다. 김정일에 의하면, 소련이나 동유럽 사회주의국가들이 사회주의건설의 추동력을 경제발전에서 찾았기 때문에 붕괴한 반면, 북한은 물질적 요인이 아니라 정치도덕적 요인들을 우위에 둔다는 점에서 그들과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이 지배하는 '현재'로서는 북한에서 실용주의적 제도개혁을 기대하기란 어렵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 시절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근본적 모순의 탈출구를 수령체계에서 찾았다. 그럼에도 현재 북한은 또다른 경제위기에 빠져있다. 그 위기의 성격은 과거와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그 정도가 보다 심화되었다. 이는 현재 북한의 지도체계와 대응방식이 더 이상 '마이더스의 손'이 아님을 말해준다.
북한은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 것인가? 이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또다른 지도체계나 발전전략은 존재하는 것일까? 있다면 그것은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이 책을 덮으며 새삼 떠오른 것은 '선군정치' 그리고 국가기구·당·군부 간의 관계였다. 역시 북한연구는 도전의 대상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2.23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