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칼빈과 제네바
1)칼빈의 개혁
2)칼빈에 대한 배척과 칼빈의 이동
3)다시 돌아온 칼빈과 그의 개혁
2. 제네바의 개혁추진과 칼빈의 신학
1)제네바의 현지인과 자유주의자.
2)교리적인 문제
3)훈련을 강조하는 칼빈의 개혁
1)칼빈의 개혁
2)칼빈에 대한 배척과 칼빈의 이동
3)다시 돌아온 칼빈과 그의 개혁
2. 제네바의 개혁추진과 칼빈의 신학
1)제네바의 현지인과 자유주의자.
2)교리적인 문제
3)훈련을 강조하는 칼빈의 개혁
본문내용
같이 저술활동, 설교, 강의, 교회법원의 회의참석, 목사회의 참석, 손님접대, 각종 자문등 경건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감당하기 벅찬일을 했다. 그는 종합병원이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많은 병을 지니고 있었다. 그가 걸을수 없게 되자 설교단 의자로 옮겨줄것을 부탁 하였다. 1564년 2월 6일 마지막 설교를 하였으며,4월 2일 에는 교회로 옮겨가서 베자로 부터 마지막 성찬을 받았다.
그는 1564년 4월25일 자신의 마지막 소원과 증언이 담긴 글을 남겼다.
하나님께 대한 송구스러움과 감사로 가득찬 이 글에서 그는 자신의 부족함, 하나님의 값없는 은총의 선택, 그리스도의 넘치는 공로 등을 부드럽게 표현 하면서 이제는 세상의 모든 논쟁과 다툼을 그치고 저 멀리 하고서 하늘나라를 바라본다고 하였다. 그는 4월 26일 소위원회로부터 친구들에게 이르기까지 일일이 다 작별인사를 하였다. 5월19일에는 목회자들을 다 초청해서 저녁을 나누었다. 파렐은 80세가 넘은 나이로서 칼빈의 임종을 보러 왔다. 칼빈은 마지막 몇일동안 기도와 시편의 위로의 시를 암송하는 일에 전념하다가 5월27일 동녁에서 뜨는 해를 받으면서 54년간을 이 세상에서 살다가 조용하게 천국으로로 옮겨갔다.
그는 1564년 4월25일 자신의 마지막 소원과 증언이 담긴 글을 남겼다.
하나님께 대한 송구스러움과 감사로 가득찬 이 글에서 그는 자신의 부족함, 하나님의 값없는 은총의 선택, 그리스도의 넘치는 공로 등을 부드럽게 표현 하면서 이제는 세상의 모든 논쟁과 다툼을 그치고 저 멀리 하고서 하늘나라를 바라본다고 하였다. 그는 4월 26일 소위원회로부터 친구들에게 이르기까지 일일이 다 작별인사를 하였다. 5월19일에는 목회자들을 다 초청해서 저녁을 나누었다. 파렐은 80세가 넘은 나이로서 칼빈의 임종을 보러 왔다. 칼빈은 마지막 몇일동안 기도와 시편의 위로의 시를 암송하는 일에 전념하다가 5월27일 동녁에서 뜨는 해를 받으면서 54년간을 이 세상에서 살다가 조용하게 천국으로로 옮겨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