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 to managemne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도시 - 더불어, 함께(The Public Realm)

2.도시 설계의 기본방향

3.도시설계방법 - 도시 조직하기

4.도시설계방법 - 도시 채우기

결론

본문내용

도시설계를 통해 공공장소에서의 범죄는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생각은 공공장소를 거주자들의 통제 하에 둠으로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다음의 두 가지 개념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자 했다.
* 감시의 느낌 : 이것은 건물 안팎으로의 적절한 조명을 통해, 투명한 창문을 통해, 길이나 활동장소에서 볼 수 있는 공공장소를 통해 직-간접적인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뜻한다.
* 영역의 느낌 : 공공장소가 넒은 의미의 대중이 아닌 실제 그 곳의 거주자들에게 속해있다는 느낌이다. 이러한 느낌을 통해 거주자들은 공공장소를 더 잘 가꾸게 되고 외부인들은 그 장소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하게 되어 범죄가 줄어들게 된다. 장식적인 울타리나 게이트웨이를 설치함으로 그 공간에 대한 영역 구분을 할 수 있다.
공원이나 놀이터 등 사람들이 함께 모이는 장소가 오히려 우범지역으로 경계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특히 밤에는 그런 장소를 피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조명시설이 부족하고 사함들이 많은 길가나 살점들로부터 잘 보이지 않는 점 때문이다. 공원이나 놀이터 등 공공장소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조명을 고루 설치해야 하며 나무나 벽으로 가려진 곳이 아닌 개방성을 염두 해서 만들어야 한다.
결론
수많은 사람과 개별적인 건물이 존재하는 도시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함께 모여 사는 공공의 장소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설계는 건축설계와 달리 공공의 개념이 기본이 되어 있어야 한다. 공공영역은 단순히 여럿이서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간이나 시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산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 도시의 모든 물리적-사회적-자연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시건축은 공공의 삶에 기여하는 바가 큰 만큼 그 기능과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마도 도시설계에서는 개인의 자유 못지않게 평등과 분배의 개념이 중요할 것이다. 특히 장애인을 비롯한 시설들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는 과거로부터 계속되어 미래로 이어질, 시간적으로 연속성을 가진 공간으로 그 시간동안 형성된 고유의 성격, 정체성을 유지해야만 한다. 도시 전체의 기본적인 조직과 개별 건물들은 도시 전체의 성격과 비전속에서 어우러져야 한다. 도시의 비전과 개발 역시 본질적인 정체성이 변질되지 않는 한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Report
Plan to management
강의명 : 도시건축발달사
교수님 : 생략
학 번 : 생략
성 명 : 생략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