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 론 1

Ⅱ.본 론 2 - 7
1.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 논쟁 2 - 4
(1)어거스틴의 은총론 2 - 3
(2)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론 3
(3)반(半)펠라기우스주의 4
2.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 논쟁 4 - 6
(1)루터의 노예의지론 4 - 5
(2)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 5 - 6
3.기타 여러 자유의지론 6 - 7
(1)칼빈의 예정론 6
(2)웨슬리의 자유의지론 6 - 7
(3)칸트의 자유의지 7

Ⅲ.결 론 7

본문내용

타락으로 인해 인간의 자유의지가 약해졌지만 완전히 파괴되지는 않았다고 주장한다.
먼저 그는 모든 원인에 대한 찬양과 영광을 하나님께 드려야 하지만,인간의 의지를 무시해서는 안된다는 말을 다시 한 번 되풀이한 뒤,기도와 감사를 인간의 할 일로서 제시하고 있다.
)박대남,op.cit.,p.67.
에라스무스는 자유의지를 정의하기를 영원한 구원으로 이끄시는 하나님의 역사에 협동하거나 반대할 수 있는 인간의지의 능력이라고 한다.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는 주동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인간의 의지가 하나님의 은혜에 협동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하나님의 은혜가 없다면 구원을 위한 인간의 노력은 아무것도 이룰 수 없지만,선행적인 하나님의 은혜에 협동하려는 인간의 의지가 없이 구원에 이를 수도 없다고 말한다.
)성기호, 자유의지논쟁(Ⅱ) ,「목회와 신학」,1992년 7월호,p.253.
즉 하나님을 존중하면서도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함께 협력한다는 중도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다.여기서 에라스무스의 신인 협동설이 나오는데 인간의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는 1차적 요소이고 2차적 요소인 인간의 의지가 하나님의 은혜와 협력적으로 함께 역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Ibid.,p.254.
이 신인협동설은 후에 존 웨슬리의 구원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3.기타 여러 자유의지론
(1)칼빈의 예정론
칼빈도 역시 어거스틴의 입장에 동조하여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을 강조했다.즉 모든 사람이 동일한 목적으로 창조된 것이 아니고 어떤 이는 영생으로,어떤 이는 영벌에 이르도록 미리 정해져 있다고 하는 예정론을 주장한다.그리고 이 예정은 하나님의 영원하시고 불변적인 의지에 따라 결정되었기에 인간의 노력이나 의지에 따라 변경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성기호,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자유의지론 ,「목회와 신학」,1992년 9월호,p.234.
이같은 칼빈의 사상은 인간의 약함,무력,비참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바로 하나님의 은총의 승리를 세우기 위함인 것이다.결국 칼빈의 관심은 인간의 피조성이나 타락 그 자체에 있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인식과 하나님께 대한 찬양에 이르게 하는 데 있는 것이었다.
)이려상,「칼빈의 인간이해」(한신대학원,1991),p.34.
(2)웨슬리의 자유의지론
웨슬리는 인간 구원에 있어서 무조건적인 선택의 교리가 틀렸다고 칼빈의 예정론을 비판한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선행은총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는 초자연적으로 회복된 자유의지가 있음을 주장한다.비록 부분적으로나마 회복된 자유의지가 하나님께서 주시는 구원에 대해 응답할 수 있을 만큼 분별의 능력과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고 한다.비록 하나님께서 인간구원의 주도적 역할을 하시지만,주신바 자유의지를 남용하여 구원에 이르지 못하는 것은 하나님의 책임이 아니고 인간의 책임이며,구원에 이르렀다 해도 그것이 인간의 공로로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이 웨슬리의 주장이다.다시 말해서,구원이 하나님에 의해 주도되지만 제시되는 구원을 받아들이는 것은 인간의 책임이기에 구원의 성취는 하나님의 은혜에 인간이 협동함으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성기호,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리의 자유의지론 ,op.cit.,pp.237,238.
이것이 웨슬리가 말하는 신인협동설이다.
(3)칸트의 자유의지
자유라는 개념은 칸트철학의 출발점이다.
칸트는 의지의 자유를 강조하여 말하기를 양심이 자유의지의 두가지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즉,첫째 증거는 인간의 범죄의식인데 그러한 범죄의식은 인간이 자기의 의무를 소홀히 한 일에 대하여 자책할 필요가 없다면 있을 수 없으며 둘째로 그는 인간은 의무의식에서 자유의지를 찾고 있다.즉 인간은 양심에 순응해야 하며 또 해야 하기 때문에 할 수가 있는 것이라고 한다.인간은 자유한 것인데 만일 실천이 불가능하면 부모가 자녀들에게 실천을 요구하겠는가 라고 반문하고 있다.
)그리스도교 대사전,(서울:대한기독교서회,1978),pp.890,891.
아담과 하와의 타락이전의 자유의지에 대하여는 별다른 의견이 없다.하지만 문제는 타락 이후에 인간의 자유의지가 과연 손상을 입었는가 하는 것이다.
펠라기우스와 어거스틴의 논쟁,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열띤 논쟁이 있었고,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 신학과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는 웨슬레 신학은 아직도 이 문제로 대립하고 있다.
신학자들이 제시하는 문제들에 대하여는 옳고 그름 으로 나눌 수가 없으며,그 해결 또한 옳고 그름 으로 나눠질 수 없다.인간의 구원에 인간의 자유의지가 개입되고 안되고는 오직 하나님만이 아시는 일이다.
하나님은 당신께서 예정하신 구원의 놀라운 계획들을 성취해 나가신다.인간 또한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명령에 따라서 힘써 복음을 전해야 할 것이다.먼저 구원받았다고 해서 교만하거나 나태해하지 말고 더욱 열심히 주님의 거룩한 삶을 살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김성태,「어거스틴의 인간론에 나타난 자유문제」,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석사논문,1988.
2.박대남,「에라스무스와 루터의 자유의지 논쟁에 관한 연구」,총신대학 신학대학원 석사논
문,1991.
3.이려상,「칼빈의 인간이해」,한신대학 신학대학원 석사논문,1991.
4.이승호,「칸트와 루터의 인간이해와 구원」,장신대학 신학대학원 석사논문,1990.
5.목회와 신학,1992년 6,7,8,9 월호.
6.「그리스도교 대사전」,서울:대한기독교서회,1978.
7.Martin Luther,Henny Cole,The Bandage of the Will,Michigan:Baker Book House,1986.
8.어거스틴 저,김창식 역,「기독교 강요」,서울:세종문화사,1976.
9.G.I.윌리암슨 저,나용화 역,「웨스트 민스터 신앙고백서 강해」,서울:개혁주의 신행협회,
1992.
10.헨리 채드윅 저,서영일 역,「초대교회사」,서울:생명의 말씀사,1983.
11.J.L.니이브 저,서남동 역,「기독교 교리사」,서울:대한기독교서회,1965.
12.래리 리차즈 저,김진우 역,「신학용어 해설사전」,서울:생명의 말씀사,1993.
13.루이스 벌콥 저,신복윤 역,「기독교 교리사」,서울:성광문화사,1984.

키워드

자유,   연구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