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바이쳐생애와 사상 - 슈바이처의 신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슈비이쳐생애와 사상


목차


Ⅰ.서론............................................................................................................................................. 1

Ⅱ. 슈바이처의 생애와 사상........................................................................................................ 1
1. 그의 생애 ............................................................................................................................... 1
2. 슈바이처의 신학 ..................................................................................................................... 3
1) 예수와 왕국설립.............................................................................................................. 3
2) 메시아의 비밀 .................................................................................................................... 5
3) 일시적 윤리 ........................................................................................................................ 5
4) 슈바이처의 미래적 終末論 ........................................................................................... 5
5) 슈바이처의 제자들 ........................................................................................................... 6

Ⅲ. 그의 신학에 대한 批判 ........................................................................................................ 7
1. 방법론의 오류 ........................................................................................................................ 7
2. 예수님의 인격에 큰 손상 ................................................................................................... 8
3. 독단적이고 주관적인 해석 ................................................................................................. 9
4. 자유주의적 해석 .................................................................................................................... 9
5. 종말론적 편견 ...................................................................................................................... 10

Ⅳ. 結論 ........................................................................................................................................... 11

參考文獻 .......................................................................................................................................... 13

본문내용

구절들에서 그의 즉 그의 임하심 을 말하고 있다(막 13:26, 14:62, 마 24:30, 25:6, 눅 12:37-45, 21:27). 물론 이 구절이 뜻하는 사상은 그리스도의 再臨을 뜻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우리가 본문을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예수님께서 란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말의 뜻은 재림 이 아니고 그저 오심 이라는 뜻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예수님은 인자를 3인칭으로 말하고 있다. 예수님은 분명히 자기 자신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면서 나라는 대명사로 말하고 있지 않다. 왜 그렇게 하였을까? 거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아마 그 이유로는, 이 언급들의 많은 경우가 장차 나타날 메시아의 초월적인 영광과 존귀에 관해 말하고 있기 때문에 이 말들은 주님의 낮아지신 상태와는 관계가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자 란 어떤 미래적인 것이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막8:38에서 예수님은 선언하시기를, 누구든지 이 음란하고 죄 많은 세대에서 나와 내 말을 부끄러워 하면 인자도 아버지의 영광으로 거룩한 천사들과 함께 올 때에 그 사람을 부끄러워 하리라 (눅12:8도 참조)고 하였다. 이 말씀 가운데서 예수님이 나 혹은 나를 이란 말씀을 하실 때는, 겸손하고 낮아지신 분 즉 부끄러워 하기 알맞은 그 분이요, 그에게 대한 신앙 고백을 하기엔 여간한 용기가 필요한 그 분임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예수님이 인자라는 말을 사용하실 때는 그가 영광과 권세 가운데서 심판주로 오시는 그의 장래의 품위에 대해 말하신다. 그러나, 예수님이 비록 메시아직을 어떤 미래적인 의미에서 말하고 있기는 하나, 그렇다고 그것이 단순히 미래적인 것이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는 그의 지상 생애를 비메시아적이라고는 결코 보지 않으셨다. 예수님은 그의 미래적 임하심을 말씀하심과 동시에 과거의 임하심도 말씀하시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 과거의 임하심을 특별히 메시아 사명과 연관을 맺고 있다.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 하시니라 (막2:17).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대속물로 주려함이니라 (막2:17).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려온 줄로 생각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케 하려 함이로다 (마5:17). 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화평이 아니요 검이로다 (마10:34). 내가 불을 땅에 던지러 왔노니 (눅12:49). 인자의 온 것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려 함이니라 (눅19:10)등의 말씀이 있다. 불을 던지고 구하고, 완전케 하며, 섬기고 또 그의 생명을 주시는 것, 이러한 행위들이 메시아적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단순히 미래적인 메시아직과 그 나라만을 말하는 슈바이처의 일방적인 강조는 성경 교훈의 전체적인 면에서 올바로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그의 견해는 메시아적 권위의 계속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예수님의 聖役을 전체적으로 볼 때 두가지 단계 혹은 구분이 있다. 그의 성역을 전체적으로 볼때 두가지 단계 혹은 구분이 있다. 그의 성역에 있어 첫 단계는 우리 인간과 함께 한 것이요, 둘째 단계는 부활로 그 날짜를 꼽는다(마 28:18, 행 2:36, 롬 1:4). 이 둘째는 처음 단계를 완성시켜 준다. 그러나 이 본질적인 성격에 있어, 이 둘은 꼭 같은 하나의 성격이요, 꼭 같은 메시아 사역이다. 그런데 슈바이처는 처음 단계를 무시하고 있다.
Ⅳ. 結論
세기의 위인이라 할지라도 성경에 대한 오해를 정당화시킬 수는 없다. 그것은 우리의 신학의 근거가 성경이며 또한 신앙의 準據도 역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학적 자유주의가 복음 역사에 있어서 교회를 생동감을 상실하게한 폐혜가 있었다 하더라도 本人은 일부 근본주의자들이 생각하는 것과 같은 적그리스도로까지는 볼 수 없다. 다만 우리가 지켜야 할 복음적 입장에서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자유주의는 성경적인 것들을 철학적인 사상으로 대체시켜버리는 근본적인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성경은 어떠한 철학 서적이나 사상으로 대치시킬 수 있는 체계가 아닌 信仰의 體系이고 또한 啓示 그 자체인 것이다.
슈바이처의 「나의 생애와 사상」에는 그의 선교사업의 동기에 관한 매우 흥미있는 이론이 있다. 그는 죄로 인해 타락한 세상이나 복음 전파를 위한 하나님의 사명에 관한 아무런 느낌도 보여 주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그의 마음 속에는 선교사로 나가고자 하는 강력한 충동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는 위선자는 아니었다.
앞의 그에 대한 비판에서도 그에 대한 신학적인 오류들을 지적했거니와 그가 행한 놀라운 사역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학적 사상은 성경적 오류가 많이 있다. 그가 비록 자유주의의 색채 속에서 출발했다 하더라도 그의 행동적 지성은 이 혼탁한 사회 속에 빛이었음은 부인할 수가 없다. 성경적 교훈을 중시한다고 하는 우리가 실제의 삶에서는 어떠한가! 그리스도를 증거하기 위하여 진실로 우리의 전부를 투여하고 있는가! 개혁주의자들 가운데 이러한 이들이 출현하지 못하는 것은 다시 한번 우리의 신학을 냉철히 고찰해 볼 점이다. 개혁주의가 끊임없이 개혁해 나아가야 함에도 현실적인 문제에는 너무 등한시해 온것은 아닌가하는 반성도 필요한 때이다.
參考文獻
1. Albert Schweitzer, 『 Aus meinem Leben und Denken』 千丙熙 譯, 나의
생애와 思想, 서울: 도서출판 瑞友, 1989.
2. Albert Schweitzer, 『 Das Messianitats ofats unt Leidensgeheimnis ; eine
Skizze des Lebens Jesu』 尹聖範 譯, 예수傳 硏究,
서울:新太陽社, 1990.
3. 송광택편, 인물 및 교리 중심의 기독교사상사, 총회신학교, 1991.
4. 朴亨庸, 福音批評史, 서울: 성광문화사, 1985.
5. 간하배, 新約學序說, 서울:總神大學出版部, 1980.
6. Colin Brown, Philosophy & Christian Faith, 문석호 역, 철학과 기독교
신앙,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