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전,후 간호와 마취의 종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술전 간호

2. 수술중 간호

3. 수술후 간호

4. 마취의 종류

본문내용

유한 영양섭취를 장려한다.
C. 임상증상
·상처로부터 장액혈액성의 분비물이 나온다.
·환자는 자신의 상처로부터 어떤 것이 갑자가 '빠져나온 것같다.'라고 호소한다.
·장부위에 상처가 있는 경우, 상처 가장자리가 분리된 후 장이 점차적으로 돌출되어 나온다-드레싱 위로 복막액이 배출도었는지 관찰한다(깨끗한 약이거나 장액혈액성의 분비물).
D. 간호중재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환자와 함께 있으며 다른 사람이 즉시 수술의에게 보고한다.
·장이 노출되었다면, 멸균식염수로 적신 드레싱으로 덮어준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쇼크를 관찰한다.
·환자가 절대 안정을 취하게 한다.
·복부의 긴장을 감소시키기 의해 무릎을 구부리게 하고 semi-Fowler's 체위를 취해준다.
·환자에게 상처는 적절하게 치료될 것이라는 확신을 주며 이완시킨다.
·수술준비를 하고 상처를 꼬맨다.
(10) 수술 후 심리적 장애
A. 우울
·원인
-건강 또는 스테니마 상실에 대한 인지, 통증, 변화된 신체상, 다양한 약물과 불분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
·임상증상
-근단증상, 안절부절 못함, 불면증, 치료에 대한 집착이 없음, 눈물이 많음, 희망없는 표현.
·관리
-수술과 미래의 의미에 대해 그릇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한다.
-환자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안심시키고 지지해준다.
-인공 항문, 유방절제술, 또는 절단수술을 받은 사람들로 구성된 모임의 대표자들레게 환자를 소개시켜준 다.
-환자의 배우자를 포함하여 환자를 간호하는 사람들을 지지해준다: 심한 우룰증인 경우에는 정신과의사와 의 상담을 요청한다.
B. 섬망
·원인
-지연된 마취, 개심술, 약물에 대한 반응, 패혈증, 알코올중독(진전성 섬망), 전해질 불균형, 다른 대사질환
·임상증상
-지남력 상실, 환각, 인지적 왜곡, 의심형 망상, 밤낮이 바뀐 양상, 초조, 불면: 진전성 섬망은 흔히 마지막 으로 알코올 섭취후 72시간 이내에 일어나며 자율신경게 과다활동을 포함한다-빈맥, 이완된 동공, 발한 과 열.
C. 관리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한다(수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되찾음).
·환경과 시간에 대해 재인식시킨다.
·조용한 환경을 유지한다.
·상세하게 모든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초조함을 감소시키며 피로를 예방하고 수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정제를 투여한다.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환자의 가족들에게 환자의 이상한 행동에 대해 분명하게 설명한다.
·환자의 안전이 의심스러울 때는 억제대를 사용한다.
《마취의 종류》
※ 수술전 투약
A. 투여목적
① 구강와 호흡기의 분비물을 감소시킨다.
② 미주신경 반사를 저하시킨다.
③ 몽롱헌 정신상태를 유발하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 적은 양으로 마취상태로 쉽게 유도한다.
B. 약물의 종류
①Barbiturates
·취침시에 intermediate acting barbiturate를 투약한다.
·수술 1시간전에 단시간 작용의 barbiturate를 투여한다.
②Belladonna alkaloids
·침샘과 기관내 분비물을 억제하여 흡입마취제가 더욱 쉽게 투여되게 하고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한다.
·Scopolamine은 기억상실을 유도하기 위하여 morphine이나 demerol과 병용하여 사용되어진다.
·Atropine은 흡입마취제의 반응으로 일어날 수 있는 미주신경 반응을 억제시킨다.
※일반적인 마취기술
A.의식상태의 진정
1. 감정, 기면과 때대로 무진통의 변화와 함께 환자는 의식이 있다.
2. 보호반사는 그대로 남아 있다.
B. 깊은 진정상태
1. 환자는 수면상태이지만 쉽게 깨울 수 있다.
2. 보호반사는 약간 억제되어 있다.
C. 전신마취
1. 마취제는 중추신경계 반응의 저하를 가져오며 기억상실, 반사의 소실, 무의식을 초래하게 된다.
2. 전신마취의 형태 및 약제
①흡입마취
·halothane
·nitrous oxide
·cyclopropane
·ethylene
② 정맥마취
·thiopental sodium
3. 완전한 의식 손실과 깨울 수 없다.
4. 무통, 근육 이완과 진정을 시키는 가역적 상태를 유도한다.
5. 보호반사는 부분적 또는 완전히 소실(더 흔함)되어 있다.
6. 정맥내 주입 또는 흡입에 의해 마취된다.
D. 국소마취
1. 국소마취는 의식을 상실시키지 않으면서 뇌로 가는 sensory impylse를 차단시키므로 통증을 못 느끼게 하 는 것이다.
2. 특정한 부위에 무통을 유도한다.
3. 적절한 신경의 근접 부위에 마취제를 주사함으로써 마취를 유도한다.
4. 국소마취의 형태
①국소주입
②국소침윤 차단
③국소영역 차단
④신경차단
⑤척수마취
·요골 척수강내 국소마취제를 주입한다.
·척수신경근과 척수신경절을 마취시키고 마비와 무통은 주사한 부위하에서 일어난다
⑥경막외마취(뇌경막 차단, epidural block)
·요추천자를 통해 경막외강내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한다.
·척추마취와 미슷한 효과를 나타낸다.
⑦ 말초신경차단
·한정된 부위에 마취를 시키기 위해 특정한 부위에 국소마취제를 주사한다.
5. 국소마취제
·procaine hydrochloride(novocaine)
·lidocaine hydrochloride(xylocaine)
·tetracaine(pontocaine)
·bupivacaine(marcaine)
※. 수술 후 투약
A. 최면성 진통제(narcotic analgesics)
①약리작용-동통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②부작용
·몽롱한 의식상태, 다행감
·수면, 호흡기능 저하
·오심, 구토
③진통제의 종류
·Opiates
-Morphine sulfate-강력진통제
부작용: 축동, 서맥
상용량: 필요시 매 3∼4시간 마다 1/4∼1/6g씩 IM한다.
-codeine sulfate-약한 진통제
부작용: 변비
상용량: 3∼4시간마다 30∼60mg씩 IM한다.
·합성 유사 마약 약물
-Demerol(meperidine): 강력진통제
부작용: 축동 혹은 산동, 저혈압, 빈맥
상용량: 3∼4시간마다 25∼100mg씩 IM한다.
-Tawin(pentazicine): 강력진통제
부작용: 위장관계 이상, 현운, 두통, 다행감
상용량: 3∼4시간마다 50mg P.O: 필요시 3∼4시간마다 30mg IM
  • 가격3,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3.01.1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8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