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제언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 무인도에서의 여가생활창조 (I/L) : 참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상황을 설정해 준다.
"당신은 새로 발견한 매우 원시적인 섬위에 집을 짓도록 선택되어진 탐험대의 일원이다. 이 섬은 근 20년 동안 외부로부터 어떤 물자도 들어오지 않는다. 다음을 보고 20년 동안 여가 생활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물품의 순서를 정해야 한다."
(물품: 재봉용구, 자전거, 악기, 골프도구, 게임도구, 강아지나 고양이, 컴퓨터, 서핑보드 등)
3. 마무리 프로그램
그 시간에 대한 느낌을 나누고, 빈 의자 기법을 이용한 개별화와 정신건강 구호로 정리한다.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연구자가 훈련받은 지도자들이 각 정신병원에서 실시된 집단 프로그램을 이론적 배경에 맞추어 재정리함으로써 집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무진들이 치료레크리에이션 서비스 모델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내용은 1991년 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실시된 프로그램들이며, 서울시에 있는 5개 정신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수록된 프로그램 중 일부는 석사청구논문으로서 타당성을 인정받은 내용들이다. 그 논문으로는
* 이복희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1993, 이대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상숙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과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1997, 전남대 석사학위청구논문)이 있다.
2. 제언
본 연구논문에 수록된 프로그램들은 5개 병원만을 제한하였으므로 전체적 확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의 증상이 공통점이 많음을 감안한다면 지도자가 그 병원의 환자특성에 맞게 재수정, 보완하여 실행할 때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끝으로, 지도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시간은 정확히 시작하고 끝내도록 노력한다.
2) 한사람 한사람에 관심을 가져주어야 한다.
3) 돌발적인 행동이 발발했을 때 대처방안을 갖고 있어야 한다.
4) 최소한 정신분열과 기분장애의 특징은 알고 진행해야 한다.
5) 각 프로그램 마다의 의미를 환자들이 알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6) 너무 말초적인 흥미유발에만 집착해서는 안된다.
7) 지도시 언행에 세심한 신경을 써야 한다.
8) 간호사나 사회복지사와의 사전 미팅을 통하여 그 날 하루의 분위기를 파악해야 한다.
9) 각 프로그램 참여에 강제성을 띄면 안된다.
10) 하루에 3개 이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11) 경쟁기법을 이용한 게임을 할 경우에는 점수에 공정을 기해야 한다.
12) 지도자와 환자의 친밀도에 있어서는 공적인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13) 환자들과 Rapport 형성이 되기 전까지는 복장 및 태도에 좀 더 세심한 신경을 써야한다.
14) 각 프로그램에는 강화제가 효과가 있으며, 강화제로 상품을 쓸 경우 상품의 질을 고려 해야 한다.
15) 지도자가 간단한 악기(키타 및 피아노)를 다룰 수 있으면 더욱 좋다.
16)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도구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해야한다.
17) 모든 프로그램은 지지기법을 활용하여 진행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김상숙(1997). 치료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강주현(1994).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도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 위 청구논문.
오영훈(1994). 치료레크리에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한 자폐아 사회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숭실대 석사학위청구논문.
이복희(1993). 치료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이 정신과 환자의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 대 석사학위청구논문.
한국 치료레크리에이션 협회. 치료레크리에이션 지도자 교육서.
채준안(1990). 정신지체아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청구 논문.
채준안, 이복희(1995).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이해. 서울: 홍익제.
황옥주(1990). 정신의료 사회사업가의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연구. 숭실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Norma J. Stumbo and steven R. Thompson (1986). Leisure Education: A Manual of Activities and Resources.
Austin, D. R., & Crawford, M. E (1991). Therapeutic Recreation : An Introduction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Englewood Cliffs, 53-70
O'Morrow, G. S (1976). Therapeutic Recreation : A Helping Profession. Virginia, Reston: Publishing Company, Inc., 113-132, 178-202.
Peterson, C. A., & Gunn, S. L (1984).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Design : principles and procedures.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1-52
NTRS (1989). About Therapeutic Recreation,. (A scriptographic booklet) NTPA Publications.
Avedon, Elliott M (1974). Therapeutic Recreation Service.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Inc.
Daniel, D. A., & William, A. S (1985). Physical Education for Special Popul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oce-Hall, Inc.
David, R. A., & Michael, E. C (1991). Therapeutic Recreation: An Introd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oce-Hall, Inc.
"당신은 새로 발견한 매우 원시적인 섬위에 집을 짓도록 선택되어진 탐험대의 일원이다. 이 섬은 근 20년 동안 외부로부터 어떤 물자도 들어오지 않는다. 다음을 보고 20년 동안 여가 생활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물품의 순서를 정해야 한다."
(물품: 재봉용구, 자전거, 악기, 골프도구, 게임도구, 강아지나 고양이, 컴퓨터, 서핑보드 등)
3. 마무리 프로그램
그 시간에 대한 느낌을 나누고, 빈 의자 기법을 이용한 개별화와 정신건강 구호로 정리한다.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연구자가 훈련받은 지도자들이 각 정신병원에서 실시된 집단 프로그램을 이론적 배경에 맞추어 재정리함으로써 집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무진들이 치료레크리에이션 서비스 모델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내용은 1991년 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실시된 프로그램들이며, 서울시에 있는 5개 정신병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수록된 프로그램 중 일부는 석사청구논문으로서 타당성을 인정받은 내용들이다. 그 논문으로는
* 이복희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1993, 이대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상숙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과 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1997, 전남대 석사학위청구논문)이 있다.
2. 제언
본 연구논문에 수록된 프로그램들은 5개 병원만을 제한하였으므로 전체적 확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의 증상이 공통점이 많음을 감안한다면 지도자가 그 병원의 환자특성에 맞게 재수정, 보완하여 실행할 때 적용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끝으로, 지도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시간은 정확히 시작하고 끝내도록 노력한다.
2) 한사람 한사람에 관심을 가져주어야 한다.
3) 돌발적인 행동이 발발했을 때 대처방안을 갖고 있어야 한다.
4) 최소한 정신분열과 기분장애의 특징은 알고 진행해야 한다.
5) 각 프로그램 마다의 의미를 환자들이 알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6) 너무 말초적인 흥미유발에만 집착해서는 안된다.
7) 지도시 언행에 세심한 신경을 써야 한다.
8) 간호사나 사회복지사와의 사전 미팅을 통하여 그 날 하루의 분위기를 파악해야 한다.
9) 각 프로그램 참여에 강제성을 띄면 안된다.
10) 하루에 3개 이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11) 경쟁기법을 이용한 게임을 할 경우에는 점수에 공정을 기해야 한다.
12) 지도자와 환자의 친밀도에 있어서는 공적인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13) 환자들과 Rapport 형성이 되기 전까지는 복장 및 태도에 좀 더 세심한 신경을 써야한다.
14) 각 프로그램에는 강화제가 효과가 있으며, 강화제로 상품을 쓸 경우 상품의 질을 고려 해야 한다.
15) 지도자가 간단한 악기(키타 및 피아노)를 다룰 수 있으면 더욱 좋다.
16)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도구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해야한다.
17) 모든 프로그램은 지지기법을 활용하여 진행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김상숙(1997). 치료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강주현(1994). 정신장애인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도움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 위 청구논문.
오영훈(1994). 치료레크리에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한 자폐아 사회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숭실대 석사학위청구논문.
이복희(1993). 치료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이 정신과 환자의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 대 석사학위청구논문.
한국 치료레크리에이션 협회. 치료레크리에이션 지도자 교육서.
채준안(1990). 정신지체아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청구 논문.
채준안, 이복희(1995).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이해. 서울: 홍익제.
황옥주(1990). 정신의료 사회사업가의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연구. 숭실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Norma J. Stumbo and steven R. Thompson (1986). Leisure Education: A Manual of Activities and Resources.
Austin, D. R., & Crawford, M. E (1991). Therapeutic Recreation : An Introduction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Englewood Cliffs, 53-70
O'Morrow, G. S (1976). Therapeutic Recreation : A Helping Profession. Virginia, Reston: Publishing Company, Inc., 113-132, 178-202.
Peterson, C. A., & Gunn, S. L (1984).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Design : principles and procedures.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1-52
NTRS (1989). About Therapeutic Recreation,. (A scriptographic booklet) NTPA Publications.
Avedon, Elliott M (1974). Therapeutic Recreation Service.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Inc.
Daniel, D. A., & William, A. S (1985). Physical Education for Special Popul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oce-Hall, Inc.
David, R. A., & Michael, E. C (1991). Therapeutic Recreation: An Introd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oce-Hall, Inc.
추천자료
정신장애인의 가족부담과 정신보건 서비스 욕구
정신장애인의 전환고용
정신장애인 사례관리의 목적 모델 실무
정신장애인의 주관적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장애인복지] 정신장애인의 차별실태와 국내,국외 사례 분석 및 해결방안
[A+평가 레포트]정신장애와 정신장애인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자기결정권에 대해 논하시오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윤리와 정신장애인의 인권
[배치][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지도사][주한미군][장애인][공항컨세션][공항시설]청소년수련...
지역사회정신보건- 정신장애인복지와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
(정신보건사회복지) 정신장애인이 주인공 영화분석 말아톤
정신보건사회복지 프로포절, 정신지체장애인 가족 중 비장애청소년의 사회적.심리적 지원을 ...
정신건강(精神健康), 정신질환(精神疾患)에 대한 개념을 서술하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작성한 후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자신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