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주의 본질은 무엇인가?
2. 세계에서 인간은 어떤 위치에 있는가?
Ⅲ. 끝맺음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우주의 본질은 무엇인가?
2. 세계에서 인간은 어떤 위치에 있는가?
Ⅲ. 끝맺음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상들을 받아들이는 세계, 즉 정신과 다른 세계의 존재를 인정하는 한편, 이 세계, 즉 '물 자체'에 관해서는 정신은 아무것도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정신은 정신의 본성 혹은 범주들에 따라 인상들을 받아들여서, 그것들을 정신의 외부세계가 아니라 정신의 본성에 일치하는 모형들로 만들어 낸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정신이 구성하고 만들어 내는 것만을 인식한다. 우리는 도덕 세계의 필연성 때문에 물 자체의 존재를 믿을 수 있다.
그러나 정신은 결코 물 자체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으며, 그것이 정신의 한계 안에 갇혀 있기 때문에 정신에 의해 모든 것을 해석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대하여 칸트는 "사유하는 주체를 제거해 봐라. 그러면 전체 유형의 물질 세계는 사라질 것이다. 왜냐하면 물질 세계는 우리 주체의 감성 안에 있는 현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여 칸트 이후로 많은 철학자들이 정신과 물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해결을 '제거'로서 찾았다.
7. 인간은 어떻게 사유하는가?
칸트는 우리가 확실히 환경으로부터, '物자체'로부터 인상을 받아들이지만, 정신은 이러한 인상을 관념으로 형성하는 그러한 본질을 갖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서 극단을 피했다. 그에 따르면 정신은 많은 주름이 있고, 그 모양은 기묘하게 쭈그러진 그릇과 같아 그 그릇 속에 물을 부으면 물은 모든 주름에 채워져서 그릇의 형태를 갖게 된다. 똑같은 방식으로 환경이 정신 속에 인상을 부으면 인상은 정신에 의하여 받아들여지고, 이 정신의 본질에 일치하는 모양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인식은 보편적이어서 모든 정신은 근본적으로 비슷하다. 그러므로 모든 정신이 동일한 보편적인 본질을 갖고 있기에 우리 모두는 매우 유사하게 사유한다. 또한 우리는 인상을 관념으로 조직한다. 물론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이 관념은 정신의 관념이며 정신 외부의 세계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 외부 세계가 존재하는 것처럼 행동할 수 있으며, 우리가 받아들인 부가적인 인상에 의하여 우리의 관념을 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넘어서서 더 나아갈 수는 없다. 우리의 관념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사유 기관이 작용한 결과이며, 그 기관의 본질에 따라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Ⅲ. 끝맺음
칸트의 인식론을 이해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작업이었다. 善,물질, 정신, 영혼, 신...이 모든 것들 중에서 우리 현대인들이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는 그 중 『도덕성』이 아닌가 싶다. 왜냐하면 칸트의 도덕성은 모든 행위의 동기나 이유를 오로지 '自己 自身' 안에서만 찾기 때문이다. 전통적 가치관이 빛을 바래가는 요즘, 종교의 구실, 사람마다의 格律이 필요한 이때, 자신에 대해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는 칸트의 가르침을 우리는 소중하게 받아들여야 하겠다.
Ⅳ. 참고문헌
▶김영필ㆍ 이강화 『철학과 삶』 학문사 1996
▶맹정훈 『바른철학 틀린철학 이야기』 교원 1997
▶엄정식 『철학으로 가는 길』 미완 1987
▶S.F 프로스트 지음/서배식 옮김 『열가지 주제로 읽는 철학 이야기』 현암사 1992
보고서
제목: 칸트의 인식론
그러나 정신은 결코 물 자체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으며, 그것이 정신의 한계 안에 갇혀 있기 때문에 정신에 의해 모든 것을 해석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대하여 칸트는 "사유하는 주체를 제거해 봐라. 그러면 전체 유형의 물질 세계는 사라질 것이다. 왜냐하면 물질 세계는 우리 주체의 감성 안에 있는 현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여 칸트 이후로 많은 철학자들이 정신과 물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해결을 '제거'로서 찾았다.
7. 인간은 어떻게 사유하는가?
칸트는 우리가 확실히 환경으로부터, '物자체'로부터 인상을 받아들이지만, 정신은 이러한 인상을 관념으로 형성하는 그러한 본질을 갖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서 극단을 피했다. 그에 따르면 정신은 많은 주름이 있고, 그 모양은 기묘하게 쭈그러진 그릇과 같아 그 그릇 속에 물을 부으면 물은 모든 주름에 채워져서 그릇의 형태를 갖게 된다. 똑같은 방식으로 환경이 정신 속에 인상을 부으면 인상은 정신에 의하여 받아들여지고, 이 정신의 본질에 일치하는 모양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인식은 보편적이어서 모든 정신은 근본적으로 비슷하다. 그러므로 모든 정신이 동일한 보편적인 본질을 갖고 있기에 우리 모두는 매우 유사하게 사유한다. 또한 우리는 인상을 관념으로 조직한다. 물론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이 관념은 정신의 관념이며 정신 외부의 세계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 외부 세계가 존재하는 것처럼 행동할 수 있으며, 우리가 받아들인 부가적인 인상에 의하여 우리의 관념을 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넘어서서 더 나아갈 수는 없다. 우리의 관념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사유 기관이 작용한 결과이며, 그 기관의 본질에 따라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Ⅲ. 끝맺음
칸트의 인식론을 이해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작업이었다. 善,물질, 정신, 영혼, 신...이 모든 것들 중에서 우리 현대인들이 깊이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는 그 중 『도덕성』이 아닌가 싶다. 왜냐하면 칸트의 도덕성은 모든 행위의 동기나 이유를 오로지 '自己 自身' 안에서만 찾기 때문이다. 전통적 가치관이 빛을 바래가는 요즘, 종교의 구실, 사람마다의 格律이 필요한 이때, 자신에 대해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는 칸트의 가르침을 우리는 소중하게 받아들여야 하겠다.
Ⅳ. 참고문헌
▶김영필ㆍ 이강화 『철학과 삶』 학문사 1996
▶맹정훈 『바른철학 틀린철학 이야기』 교원 1997
▶엄정식 『철학으로 가는 길』 미완 1987
▶S.F 프로스트 지음/서배식 옮김 『열가지 주제로 읽는 철학 이야기』 현암사 1992
보고서
제목: 칸트의 인식론
추천자료
발도로프
선험적 자아와 본능적 초월성
동양사상사
인간학에 대하여
평생교육의 철학적 기초
실 용 주 의
칼 만하임에 관하여
결의론, 공동체주의 윤리학
[로크][로크사상][로크의 사상]로크의 생애, 로크의 사상, 로크의 정치사상, 로크의 유아교육...
발도르프 학교(슈타이너 학교)
[신관][동양][서양][이슬람교][원시시대][단군신화][칼빈주의][보나벤투라]동양의 신관, 서양...
[오렘간호이론] 오렘의 8개 보편적 자기간호필수요소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정리 2) 대...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