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 리 말
2. 생 애
3. 사 상
4. 맺 는 말
2. 생 애
3. 사 상
4. 맺 는 말
본문내용
안의 종교는 처음부터 광범하고 자기발전적이고 관대하여 성장해 감에 따라 그가
만나는 새로운 힘들은 자기 안으로 융화시키고 보다 낮은 종교를 무시하거나 그 존
재를 말살하기 위하여 싸우거나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그들의 것만이 유일하
고 참된 종교라는 광신은 없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인들의 사유경향이 인
도불교에서 和의 사상을 있게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석가는 당시 수많은 사상체계들이 서로 대립충돌을 일으키는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한 논쟁에 끼어든 적이 없다. 왜냐하면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한 논의는 진실한
실천적 인식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진실하게 살아가는 길
과 진실에 대한 실천적 인식을 사람들에게 가르치려 했을 뿐 베다의 권위를 배척하
고 모든 형이상학적 논의를 무의미한 것으로 간주했다. 거시적이고 객관적인 관점
에서 본다면 이러한 형이상학적 주장들은 모두가 상대적이고 일반적인 것이었기 때
문이다. 불교에 있어서의 '和'의 원리는 이러한 실천원리를 중시하는 석가에서 시
작된 셈이고, 이는 대승불교 후기에까지 면면히 지속된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신라
통일 전후기에 나타난 원효가 화쟁사상의 기치를 높게 든 것은 바로 석가의 和의
정신의 재현 내지 재창조라 보아야 할 것이다.
모든 사물을 공평무사한 입장에서 보려는 원효의 화쟁사상이야말로 오늘날 학문
상에서나 그 밖의 정치·경제 등 사회문제에서 흑백 양론으로 대립되어 自是非他
(자기만 옳고 다른 사람은 그름)의 외고집만을 고수함으로써 야기되는 온갖 병폐와
해악의 요소를 일소하는 데 큰 시사가 되리라 믿는다.
만나는 새로운 힘들은 자기 안으로 융화시키고 보다 낮은 종교를 무시하거나 그 존
재를 말살하기 위하여 싸우거나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그들의 것만이 유일하
고 참된 종교라는 광신은 없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인들의 사유경향이 인
도불교에서 和의 사상을 있게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석가는 당시 수많은 사상체계들이 서로 대립충돌을 일으키는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한 논쟁에 끼어든 적이 없다. 왜냐하면 형이상학적 문제에 대한 논의는 진실한
실천적 인식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진실하게 살아가는 길
과 진실에 대한 실천적 인식을 사람들에게 가르치려 했을 뿐 베다의 권위를 배척하
고 모든 형이상학적 논의를 무의미한 것으로 간주했다. 거시적이고 객관적인 관점
에서 본다면 이러한 형이상학적 주장들은 모두가 상대적이고 일반적인 것이었기 때
문이다. 불교에 있어서의 '和'의 원리는 이러한 실천원리를 중시하는 석가에서 시
작된 셈이고, 이는 대승불교 후기에까지 면면히 지속된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신라
통일 전후기에 나타난 원효가 화쟁사상의 기치를 높게 든 것은 바로 석가의 和의
정신의 재현 내지 재창조라 보아야 할 것이다.
모든 사물을 공평무사한 입장에서 보려는 원효의 화쟁사상이야말로 오늘날 학문
상에서나 그 밖의 정치·경제 등 사회문제에서 흑백 양론으로 대립되어 自是非他
(자기만 옳고 다른 사람은 그름)의 외고집만을 고수함으로써 야기되는 온갖 병폐와
해악의 요소를 일소하는 데 큰 시사가 되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