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황사(芬皇寺) 유적지 답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황사(芬皇寺) 유적지 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없어 그 덕이 크게 드러나지 않음을 애석하게 여긴 숙종이 원효에게 대성화쟁국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석을 세우게 한 것이다. 그 뒤에는 방치되어 있었던 듯 비신을 바쳤던 비대가 절 근처에서 발견되자 김정회가 이를 확인하고 비대좌 위쪽에 '차신라화쟁국사비적'(此新羅和諍國師碑蹟)이라고 써 놓았다. 내가 처음 가서 볼 때는 의잔줄 알았다. 난 분황사측에서 절내에 앉아 있을 곳이 마땅치 않으니, 앉으라고 돌을 주어다 놓은 줄 알았다. 책을 일고 더 충격을 받은 것은 거기의 글씨가 추사 김정희 선생님이 직접 써 놓은 글이라는 것이다. 분황사는 또다른 재미있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바로 삼룡변어정이라는 우물이다. 이 우물의 겉모양은 팔각이고 내부는 원형이다. 외부의 팔각모양은 부처가 가르친 팔정도를 상징하며 내부의 원형은 원불의 진리를 상징한다. 전설에 따르면 이 우물에는 세 마리의 호국용이 살고 있었는데, 원성왕11년에 당나라의 사신이 이 우물 속에 사는 용을 세 마리의 물고기로 변하게 한 뒤 가져가는 것을 원성왕이 사람을 시켜 뒤쫓아가서 되찾아왔다고 한다. 그 뒤 삼룡변어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남아있는 신라의 우물 가운데서 가장 크고 우수한 것이라고 한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0.2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