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중국이란?.. .

2.중국의 문화
(1) 문예 및, 사상,언론 문화
(2) 음 식 문 화
(3) 중국의 차(茶) 문화

3.중국의 경제

본문내용

창춘[長春], 하얼
빈, 지난[濟南], 푸양, 난징, 상하이, 스자좡[石家莊], 타이위안[太原], 정저우[鄭州],
우한, 주저우[株州], 광저우, 류저우[柳州], 청두, 충칭, 구이양[貴陽], 쿤밍[昆明], 시
안, 란저우 등이다. 이들을 각 축으로 하여 서로 남북·동서로 얽혀 있다. 지역적으
로는 둥베이 3성[遼寧省·吉林省·黑龍江省]이 70여 개의 간선과 지선이 있으며 영
업거리 역시 1.2만km로 전국의 1/4을 차지하며, 철도망 밀도도 매 100㎢당 1.51km
로 전국 평균(540m)의 2배를 넘는다. 이는 러시아나 일본과의 역사적·지정학적 위
치 때문에 이루어진 건설에 연원한다.
1980년대에 중부 및 동부 연해지역 철도건설의 핵심인 징광선[京廣線] 남부의 헝양
[衡陽]∼광저우 간 복선개통 및 북부의 다퉁[大同]~친황다오[秦皇島] 간의 전기화·
복선화가 이루어졌고, 서부지대의 석탄 개발을 위한 바오센선[包神線:包頭∼神木]이
건설되었으며, 그 외에 바오중선[寶中線:寶鷄∼中衛], 시옌선[西延線:西安∼延安] 등
이 건설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철도 건설은 징주선[京九線:北京∼九龍], 진바선[津
覇線:天津∼覇州], 지퉁선[集通線:集寧∼通遼], 허우웨선[侯月線:侯馬∼月山], 스창선
[石長線:石門∼長沙], 허주선[合九線:合肥∼九江]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징주
선은 길이 2,538km로서 약 7,000만t의 운송능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남북을 잇
는 새로운 철로이다.
8) 수운
중국은 해안선의 길이가 세계에서 가장 길고 잘 발달된 하천이 있어서 수운 조건이
우수하다. 1993년 말 하천의 연장은 10.9만km이며, 항구는 국내 하천에 2,000여 개,
그리고 연해에 60여 개가 있다. 민용선박(民用船舶) 보유량은 1980년의 18만 3,771
척에서 1992년 말에는 37만 3,568척으로 늘어났다. 연해 주요 항구의 화물 운송량
역시 1980년의 2억 1,731만t에서 1993년 6억 7,646만t으로 늘어났다. 수운에 의한 화
물운송량은 총 9억 8,000만 t으로 전체의 8.9%이고, 여객운송량은 전체의 2.9%를 차
지한다.
주요 연해 항구를 화물 출입량의 순으로 보면, 상하이, 친황다오, 다롄, 광저우, 닝
보, 칭다오, 톈진, 잔장[湛江] 등이었고, 내수면 항구 역시 화물량 순으로 배열하면,
난징, 우한, 난퉁[南通], 진장[鎭江], 주장[九江], 항저우, 웨양[岳陽] 등이다. 이러한
항구들은 양쯔강 수계 항로, 주장강 수계 항로, 징항[京杭] 운하 항로 및 헤이룽강
[黑龍江] 쑹화강[松花江] 항로를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다. 특히 제7차 5개년 계획
기간에는 건설의 중점을 이들 항로에 두었다.
9) 도로
1993년 말 중국의 도로 총연장은 108.35만km이고 2000년까지 130만km로 늘리고 10
개 노선의 고속도로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특히 경제개발이 활발한
연해 항구와 내륙을 연결하기 위해 둥베이3성[東北三省]과 다롄[大連], 허난[河南],
산시[山西], 산시[陝西] 지구와 톈진, 그리고 후난[湖南]·후베이[湖北] 지구와 상하
이 간의 간선도로 건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체 화물수송량에서 도로가 차지
하는 비중은 1949년의 12.9%에서 1993년에는 74.8%로 높아졌다. 현재 도로포장률은
약 87.6%이다.
동부 연해지역과 중부지역의 도로는 주로 철도 및 수상운수의 보조수단으로서 단거
리 운수를 담당하고 있으나 서부에서는 도로의 상당부분이 이 지역의 간선운수 역
할을 하고 있다. 중요 간선도로는 약 70여 개가 되며 1980년대 중반 이후 도로의
질을 높이기 위한 건설에 박차를 가하였다. 최근에 건설된 중요한 도로 중 선다[瀋
大:瀋陽∼大連] 고속도로는 375km의 길이로 1일 5만 대의 통과능력을 갖추고 1990
년 완공되었고, 징진탕[京津唐] 고속도로는 베이징에서 톈진까지 142km 길이로 국
제 표준에 따른 전면 폐쇄노선이며 모든 교차로가 입체화되어 있다. 1일 5만 대의
통과능력으로서 1993년에 완공되어 운행되고 있고, 광선[廣瀋] 고속도로는 광저우~
선전까지 120km의 길이로 1994년에 완공되었다.
10) 항공
1929년에 중국항공공사(中國航空公司)가 창립된 후 1950년까지 전국의 민항(民航)은
12개 노선에 불과했으나 1978년에는 162개 노선으로 늘었다. 하지만 전체 운수업에
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낮았다. 그 후 대외개방·경제개혁으로 1993년 초에는
71개의 국제노선을 포함한 563개의 항공노선을 갖추었으며, 총 연장도 96.08만km에
이른다. 전국적으로 103개 공항을 가지고 있으며 항공기는 528대를 보유하고 있다.
화물수송량도 1980년의 8.9만t에서 1993년 69.4만t으로 늘었고 여객수송량 역시 343
만 명에서 3,383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각 성 ·자치구의 수도 등 주요 도시는 베이
징과 직통 또는 취항관계가 연결되어 있고, 상하이, 광저우, 우한, 항저우, 샤먼, 구
이린[桂林], 쿤밍, 청두, 라싸[拉薩], 란저우, 우루무치[烏魯木齊], 시안, 선양, 다롄,
하얼빈 등의 대도시와 관광 중심지와의 연결이 양호한 편이다.
한편 1950년대 초 3개의 국제 항공노선이 있었으나 1960년대에 중국민항이 서부아
시아, 북아프리카 및 아메리카로의 국제항로가 개척되었고 1980년대, 90년대에 개방
과 더불어 노선이 크게 늘어났다. 주요 국제항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쿤밍,
다롄, 샤먼 등의 국제공항에서 서울, 도쿄[東京], 오사카[大阪], 뉴욕,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프랑크푸르트, 취리히, 부쿠레슈티, 아디스아바바, 쿠웨이트, 런던, 파
리, 카라치, 싱가포르, 방콕, 나가사키, 마닐라, 시드니, 모스크바, 평양, 양곤 등이다.
중국은 항공운송이 장기적으로 급격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보고 중국민항의 관
리를 지역별·노선별로 분리, 독립한다는 계획으로 주식제(株式制) 도입을 고려하고
항공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려고도 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3.01.16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8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