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송하고 이를 전용 수신기로 받아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디지털 오디오방송은 12㎓ 대역의 위성을 통해서만 전송이 가능했고, 또 특수제작된 고정 안테나를 갖춰야만 수신할 수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처리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 대역의 지상파에서도 DAB를 실현할 수 있게 됐으며 이를 이용해 CD, 오케스트라 연주 실황중계 등 고음질의 음향을 전혀 손실없이 안방에 전달할 수 있게 됐다. 디지털 오디오방송의 활성화로 이를 수신할 차세대 라디오수신기인 DAB기기의 개발도 점차 활발해질 전망이다. 이 제품은 단순히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는데 그치지 않고 영상라디오와 텔리텍스트, 자동항법 및 교통정보시스템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기기로 응용될 전망이다.
TV방송의 전달 원리 또한 전파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다만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초단파(VHF, Very High Frequency)나 극초단파(UHF, Ultra High Frequency)를 사용할 뿐이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하나의 안테나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모두 전달해야 하므로 음성전파와 영상전파간의 혼선을 없애기 위해 영상전파는 진폭변조방식(AM)을 사용하고, 음성전파는 주파수변조방식(FM)을 사용한다. TV의 영상은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이것을 전파에 실어 보내면 수신측에서 다시 전기신호로 재생시키고 이 전기신호를 수상기 뒤쪽의 전자총이 화면에 신호를 주사함으로써 영상이 재생된다. 흑백의 경우 어두운 색은 전압을 낮게 밝은 색의 경우 전악을 높게 주사해 영상을 구현하며, 컬러의 경우 색상을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3색으로 분해한 후 다시 합성하는 방법을 쓴다. 컬러TV에는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필터를 사용해 분리해서 포착할 수 있는 세 개의 촬상관이 부착되어 있다. 촬상관에 의해 분리되어 포착된 3원색은 독립된 주파수를 통해 송수신되며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혼합됨으로써 본래의 색을 재생해 낸다.
그림
방송에서의 디지털화는 단순히 음질이나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디지털은 어느 한 형태의 표현미디어를 다른 형태의 표현 미디어로 조작하고 변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면 텍스트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했다가 이를 다시 소리의 형태로 바꿀 수 있게 된 것이다. 정보가 디지털화되면 텍스트, 음성, 영상, 데이터가 모두 같아지는 것이다. 매체간의 융합현상을 갖고 온 것은 이 같은 정보형태의 유동성 때문이다. 초기에 컴팩트디스크는 음악(소리)을 담는 매체였지만, 디지털기술로 인해 음악뿐만 아니라 데이터, 영상까지 담을 수 있는 수단으로 변모한 것도 이 같은 유동성 때문이다. 이러한 디지털기술은 방송의 제작, 송출, 수신 3분야 모두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방송제작단계에서 이뤄지는 디지털화는 영상을 입력하는 카메라에서 시작해 편집, 녹화장비 등 일련의 시스템이 모두 디지털화 되는 것을 말한다.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ing) 또는 탁상용 비디오기술(DTVP, Desktop Video Production)이라고 하는 시스템의 등장으로 영상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편집위치를 찾기 위해 일일이 테이프를 되감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알리아스(Alias)와 같은 전문 DTVP 프로그램들은 쥬라기공원, 로보캅, 스타트랙 같은 영화뿐만 아니라 쌍방향 영화와 비디오게임 같은 전문적인 작품제작에 사용되어 전통적인 카메라와 조명, 효과의 창조와 함께 녹아내린 금속, 용암, 연기, 네온사인 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TV방송의 전달 원리 또한 전파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다만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초단파(VHF, Very High Frequency)나 극초단파(UHF, Ultra High Frequency)를 사용할 뿐이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하나의 안테나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모두 전달해야 하므로 음성전파와 영상전파간의 혼선을 없애기 위해 영상전파는 진폭변조방식(AM)을 사용하고, 음성전파는 주파수변조방식(FM)을 사용한다. TV의 영상은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이것을 전파에 실어 보내면 수신측에서 다시 전기신호로 재생시키고 이 전기신호를 수상기 뒤쪽의 전자총이 화면에 신호를 주사함으로써 영상이 재생된다. 흑백의 경우 어두운 색은 전압을 낮게 밝은 색의 경우 전악을 높게 주사해 영상을 구현하며, 컬러의 경우 색상을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3색으로 분해한 후 다시 합성하는 방법을 쓴다. 컬러TV에는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필터를 사용해 분리해서 포착할 수 있는 세 개의 촬상관이 부착되어 있다. 촬상관에 의해 분리되어 포착된 3원색은 독립된 주파수를 통해 송수신되며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혼합됨으로써 본래의 색을 재생해 낸다.
그림
방송에서의 디지털화는 단순히 음질이나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디지털은 어느 한 형태의 표현미디어를 다른 형태의 표현 미디어로 조작하고 변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면 텍스트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했다가 이를 다시 소리의 형태로 바꿀 수 있게 된 것이다. 정보가 디지털화되면 텍스트, 음성, 영상, 데이터가 모두 같아지는 것이다. 매체간의 융합현상을 갖고 온 것은 이 같은 정보형태의 유동성 때문이다. 초기에 컴팩트디스크는 음악(소리)을 담는 매체였지만, 디지털기술로 인해 음악뿐만 아니라 데이터, 영상까지 담을 수 있는 수단으로 변모한 것도 이 같은 유동성 때문이다. 이러한 디지털기술은 방송의 제작, 송출, 수신 3분야 모두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방송제작단계에서 이뤄지는 디지털화는 영상을 입력하는 카메라에서 시작해 편집, 녹화장비 등 일련의 시스템이 모두 디지털화 되는 것을 말한다.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ing) 또는 탁상용 비디오기술(DTVP, Desktop Video Production)이라고 하는 시스템의 등장으로 영상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편집위치를 찾기 위해 일일이 테이프를 되감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알리아스(Alias)와 같은 전문 DTVP 프로그램들은 쥬라기공원, 로보캅, 스타트랙 같은 영화뿐만 아니라 쌍방향 영화와 비디오게임 같은 전문적인 작품제작에 사용되어 전통적인 카메라와 조명, 효과의 창조와 함께 녹아내린 금속, 용암, 연기, 네온사인 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추천자료
방송프로그램
나의미래
“드라마 꽃보다 아름다워”를 통해 알아본 가족 문제
인터넷방송
(광고규제) 우리나라의 방송광고 규제
성의 심리학 - 관음증에 대하여
가족의 사회화 및 가족의 양상
PD저널리즘과 기자 저널리즘의 비교분석과 PD 저널리즘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 방향
루키즘이란
[방송][교육][방송전문인력교육][방송프로듀서재교육][방송제작기술교육]방송전문인력교육, ...
온라인 불법유통 현황 및 저작권 침해 유형 분석
[공학] 위성DMB(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지상파 재전송에 대한 고찰-
연기술 및 배우 분석
스포츠중계의 역사 (중계역사, 스포츠미디어).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