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분문화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광목관묘 - 토광안에 목관만을 안치한 것
토광목곽묘 - 토광안에 목곽과 목관을 모두 설치한 것
신라조기 토광묘의 봉토 규모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그 말기 까지만 해도 3m미만의 것으로 추정된다.
토광묘의 각 단계 연대
토광목관묘 단계
1기(無紋土器, 청동기부장기): BC 1세기 전반
2기(, 철리부장기): BC1세기 후반∼A.D. 1세기 전반
3기(1형 토광목곽묘기): A.D. 1ㅅ기 후반기∼A.D. 2세기 전반기
토광목곽묘 단계
1기(장방형묘광기): A.D. 2세기 후반
2-1기(세장형묘광∼주부곽기): A.D. 3세기∼4세기 초엽
2-2기(신라전기 적석목곽분 공존기): A.D. 4세기 초엽 이후 전반기
미추왕릉
1. 신라고분 양식의 변화
2. 매장양식에서 본 장례의식
3. 주술 및 제의적 관념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3.01.2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