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과 고고학] 고구려 개관 및 유물 유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과 고고학] 고구려 개관 및 유물 유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관

Ⅱ. 유적
 1. 도성
 2. 관방유적
 3. 생활유적
 4. 고분
  1) 적석총
  2) 봉토분과 벽화고분
 5. 절터

Ⅲ. 유물
 1. 장신구
 2. 갑주와 무기
 3. 농공구
 4. 마구
 5. 용기
  1) 금속용기
  2) 토기
 6. 기와와 전돌
 7. 불상
 8. 기타
  1)금동제 관모형 장식
  2) 금동제 장막걸이
  3)부뚜막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와가 수습되어 고구려에서 기와는 일찍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암수키와는 회색이나 붉은색으로, 안쪽에는 포흔이 찍혀 있고 등에는 승문이나 격자문이 타날되어 있다. 막새기와는 4세기부터 널리 쓰인다. 수막새로는 반원형과 원형 두 종류가 있고 권운문, 연화문, 인동문, 귀면문 등이 시문되었다. 고구려 연화문 와당은 두 줄이나 세 줄의 돌선으로 구획하여 6판 또는 8판의 연판을 배치하고, 연판 중앙에 돌선이나 Y자형 선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전돌은 방형, 장방형, 삼각형, 부채꼴 등 여러 형태가 있는데 승문, 마름모꼴, 연꽃 등의 무늬가 시문되기도 한다.
7. 불상
불상은 금동불과 고운 점토로 빚은 소조불이 있다. 고구려 금동불의 대표적인 존재는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으로 우리 나라에서 명문이 있는 불상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계미명 금동삼존불과 신묘명 금동삼존불은 한 광배에 삼존불이 배치되는 일광삼존식이다. 소조불로는 평양 원오리 사지에서 파괴된 불상과 보살상 다수가 출토된 바 있다. 고구려 불상은 중국 남북조시대의 영향을 받아 얼굴이 길고 옷자락이 양 옆으로 힘차게 퍼진 양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8. 기타
1)금동제 관모형 장식
평안남도 중화군 진파리 고분에서 출토된 것이다. 관모처럼 생긴, 옆으로 눕힌 반타원형 금동판으로 가운데에는 원 안에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를, 그 위에는 봉황 1마리, 아래에는 용 2마리를 투조하였다. 뒷면에는 비단벌레 날개를 붙여 그 영롱한 색이 투조문 사이로 비치게 한 것이다. 고구려 공예미술의 걸작품으로 무덤 내피장자 두침의 옆장식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 금동제 장막걸이
집안 태왕릉에서 출토된 여러 가지 금제 또는 금동제 공예품 가운데 하나로 여러 개의 금동관 띠를 못으로 고정하여 단면 ㄱ자형으로 틀을 만들고 각면을 사격자문 투조 금동판으로 막은 것이다. 측면의 사격자문 교차점에는 한 칸씩 건너 꽃 모양의 투조문을 배치하였다.
3)부뚜막
부뚜막도 고분에서 부장품으로 출토되는데 토기 사이장경호나 금속제 솥, 반 등과 공반한다. 토제, 시유도제, 청동제, 철제 등 재질은 다양하나, 형태는 같다. 단면 4각형의 긴 몸체 한쪽 옆면에 4각형의 화구가, 윗면에는 둥근 솥구멍이 있고, 반대편에 연통을 만들었다. 화구의 위치가 몸체의 옆면 쪽에 있는 것이 중국이나 낙랑과는 구별되는 고구려 부뚜막의 특징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강의>, 사회평론,2010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1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