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일제의 초기 식민 통치의 모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머리말

2. 몸말
(1)무단통치(武斷統治)의 내용

(2)무단통치의 배경

(3)경제적 침탈

(4)문화, 교육적 침탈

3. 맺음말

본문내용

10월 '사립학교규칙'을 공포하여 학교설립은 물론 교원채용, 교과과정, 교과서를 비롯한 수업 내용 전반에 걸쳐 엄격하게 감시·통제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강제로 폐쇄하였다. 이처럼 헌병경찰의 감시 아래 합법적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봉쇄되었으며 많은 사립학교가 탄압을 받아 폐교되었다. 이외에도 당시 민중들의 애국사상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서당을 1918년 2월 '서당규칙'에 의거 간섭·탄압하여 1922년부터 그 수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3. 맺음말
지금까지 1910년대 일제의 초기 식민 통치의 모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은 한일합방이후 무단통치라는 극랄한 통치방식을 이용해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서 한국인들을 억압하고 일체의 사회활동을 통제하였다. 또 일본제국주의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원료 공급지와 상품시장확보에만 주력하였으며 식민지적 수탈체제의 정비에 바빴다. 그리고 우리의 민족 문화를 말살시키고 일제의 황민으로 동화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실시하였다. 곧 일본이 실시한 모든 정책이나 노력은 결국 자신들의 이익과 필요에 의한 것이었을 뿐 한국의 근대화를 위한다거나 한국인을 위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참고문헌>
강재언, 「일제하 40년사」, 풀빛, 1984.
강창일, 『일제초기의 식민통치의 전략과 내용』, 「한국 현대사의 재인식14- 일제 식민 통 치 연구1: 1905∼1919」, 백산 서당, 1999.
강창일, 『일제의 조선지배정책과 군사동원』, 「일제 식민정책 연구 논문집」, 1995.
김운태,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통치」, 박영사, 1986.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1.2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