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논 1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문제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책가방 없는 날」의 유래
2.「책가방 없는 날」설정의 배경
3.「책가방 없는 날」운영의 방향
4.「책가방 없는 날」의 의의
5.「책가방 없는 날」 운영 프로그램의 작성
6.「책가방 없는 날」 운영의 기대 효과
Ⅲ. 연구의 방법 및 실행
1. 연구 방법
2. 준비
3. 계약 협정
4. 계약
5. WHO-WHAT-WHOM결정
6. 설정
7. 설정보고
8. 측정
9. 측정보고
Ⅳ. 결론
1. 문제점
2. 개선방안
참 고 문 헌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문제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책가방 없는 날」의 유래
2.「책가방 없는 날」설정의 배경
3.「책가방 없는 날」운영의 방향
4.「책가방 없는 날」의 의의
5.「책가방 없는 날」 운영 프로그램의 작성
6.「책가방 없는 날」 운영의 기대 효과
Ⅲ. 연구의 방법 및 실행
1. 연구 방법
2. 준비
3. 계약 협정
4. 계약
5. WHO-WHAT-WHOM결정
6. 설정
7. 설정보고
8. 측정
9. 측정보고
Ⅳ. 결론
1. 문제점
2. 개선방안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_______ 활동 과정안을 작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________ 활동 범위의 점진적 확대가 필요하다.
________ 실시 규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________ 학부모 계도가 필요하다.
________ 학부모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________ 학교장의 인식이 전환되어야 한다.
________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________ 학교·지역 사회 기관과의 협조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________ 충분한 교통수단 확보가 필요하다.
________ 교사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설문체크(V)가 모두 끝났으면 표시한 것만 다시 한 번만 읽어 보신후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10가지만 골라 표시를 중복하여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V표만 된 것은 1점, 표가 중복된 것은 10점을 배정하였다. 문항별 응답자 수와 점수 집계 및 순위표는 〈표5〉와 같다.
〈표5〉문항별 응답자 수와 점수 집계 및 순위표
문항번호
응답자수
총점
순위
문항번호
응답자수
총점
순위
문항번호
응답자수
총점
순위
10점
1점
10점
1점
10점
1점
1
6
8
68
13
7
10
12
112
2
13
9
12
102
4
2
6
11
71
11
8
10
12
112
2
14
3
8
38
16
3
6
9
69
12
9
1
8
18
18
15
9
10
100
5
4
7
11
81
9
10
5
11
61
14
16
8
7
87
6
5
3
8
38
16
11
5
11
61
14
17
7
12
82
7
6
7
12
82
8
12
7
11
81
9
18
11
12
122
1
7. 設定報告
본 연구자는 우선순위의 필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18문항중 우선순위별 60%내 12문항을 결정하였다.
8. 測定
실제적인 측정계획을 위해 측정 설문지(표6)를 작성하였다.
〈표6〉「책가방 없는 날」운영 개선에 관한 요구분석지
범례
4-아주필요
3-필요
2-보통
1-만족
0-아주만족
문 항
필 요 도
4
3
2
1
0
자체 연수를 강화하여야 한다.
「책가방 없는 날」연구 협의회를 구성하여야 한다.
실시 횟수를 확대해야 한다.
전일제 클럽활동으로 「책가방 없는 날」운영의 효율화를 가져야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다양한 프로그램 목록을 작성해야 한다.
학부모 계도가 필요하다.
학부모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지역 사회 기관과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충분한 교통 수단 확보가 필요하다.
교사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9. 測定報告
문항별 측정 평균점수는 〈표7〉과 같다.
〈표7〉평균 점수
항목
18
8
7
13
15
16
17
6
12
4
2
3
평균점수
3.67
3.42
3.1
3.33
2.58
2.92
2.75
3.08
2.92
2.42
3
2.83
Ⅳ. 結論
1. 問題點
요구분석 결과 「책가방 없는 날」운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역할 미흡
2) 연간 운영 계획 수립 미흡
3) 비합리전인 운영 계획
4) 운영 시수 처리의 혼선
5) 특활시간과의 비연계성
6)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부족
7) 학부모의 인식 부족
8) 현장 학습 인솔 교사의 부족
9) 재정적 지원 부족
10) 공공 기관의 비협조
11) 불편한 교통 문제
12) 교사들의 업무 가중
2. 改善方案
1) 교사에게 최대한 재량권을 부여하고 창의적인 수업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청, 연구원 단위의 교원 일반 연수를 실시하고, 지도방법 개선을 위한 교사 공동 연구 및 개인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2) 동학년 협의회 운영을 활성화하여 교사간의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치고 역할을 분담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타학년과 정기적인 협의회를 개최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목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3) 교육적 효과 등을 홍보하기 위해 가정 통신문과 어머니 교실 강좌를 통해서 적극적인 계도를 해야하고, 명예교사를 임명하여 행사에 참여를 유도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로 참여시켜 인솔보조, 안전지도, 질서유지, 건강관리 등에 협조할 수 있도록 하며 참여 장면을 비디오 카메라나 사진으로 남겨 보람과 긍지를 갖도록 해야 한다.
4) 보조 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예산의 지원이 필요하며, 유관 기관의 방문시 사전 협조 공문을 발송하고 후에 감사 공문을 발송하여 지역 사회 기관과의 협조 체제를 긴밀히 유지해야 한다.
5) 현장 학습에서 구체적이고 계획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안내 자료의 보급이 요구된다. 교육청에서 행사의 목표, 활동 내용, 일정과 경로, 준비물, 해설, 놀이, 참고 및 유의사항 등이 담긴 자료집을 보급하고 학교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교육부, " 교육 정책의 방향", 시.도 교육청 초등 장학 과장 회의 자료, 서울 : 교육부, 1995.
김남중, "모든 초등 학교에 책가방 없는 날", 중앙 일보, 1996. 1. 29일자.
김인회, "자유 학습 운영의 의의와 방향", 새교육, 통권 227호, 서울 : 교원단체총연합회, 1973.
김충기, "자기 교육력이란 무엇인가?", 서울 교육, 통권 142호, 제37권, 제4호,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1995.
김태형, "책가방 없는 날 활동", 학교 경영, 제9권 제3호, 통권 97호, 서울 : 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 교육연구사, 1996.
박순정, "책가방 없는 날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월보, 통권 257호, 전북 : 전북교육연구원, 1995.
이도인, "주 5일제 수업", 새교육, 통권 제69호,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1994.
, "책가방 없는 날, 확산해야 한다.", 새교육, 통권483호,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힙회, 1995.
이문호, "책가방 없는 날 운영 사례", 경남 장학 월보, 제 10호,통권 229호, 경남 : 경남교육청, 1993.
이종원, "전일제 클럽 활동 활성화 방안", 새교육, 통권 483호,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1995.
한봉익, "자유 학습의 날 운영의 합리화", 수도 교육, 제 15호,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1973.
________ 활동 범위의 점진적 확대가 필요하다.
________ 실시 규모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________ 학부모 계도가 필요하다.
________ 학부모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________ 학교장의 인식이 전환되어야 한다.
________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________ 학교·지역 사회 기관과의 협조 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________ 충분한 교통수단 확보가 필요하다.
________ 교사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설문체크(V)가 모두 끝났으면 표시한 것만 다시 한 번만 읽어 보신후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10가지만 골라 표시를 중복하여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V표만 된 것은 1점, 표가 중복된 것은 10점을 배정하였다. 문항별 응답자 수와 점수 집계 및 순위표는 〈표5〉와 같다.
〈표5〉문항별 응답자 수와 점수 집계 및 순위표
문항번호
응답자수
총점
순위
문항번호
응답자수
총점
순위
문항번호
응답자수
총점
순위
10점
1점
10점
1점
10점
1점
1
6
8
68
13
7
10
12
112
2
13
9
12
102
4
2
6
11
71
11
8
10
12
112
2
14
3
8
38
16
3
6
9
69
12
9
1
8
18
18
15
9
10
100
5
4
7
11
81
9
10
5
11
61
14
16
8
7
87
6
5
3
8
38
16
11
5
11
61
14
17
7
12
82
7
6
7
12
82
8
12
7
11
81
9
18
11
12
122
1
7. 設定報告
본 연구자는 우선순위의 필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18문항중 우선순위별 60%내 12문항을 결정하였다.
8. 測定
실제적인 측정계획을 위해 측정 설문지(표6)를 작성하였다.
〈표6〉「책가방 없는 날」운영 개선에 관한 요구분석지
범례
4-아주필요
3-필요
2-보통
1-만족
0-아주만족
문 항
필 요 도
4
3
2
1
0
자체 연수를 강화하여야 한다.
「책가방 없는 날」연구 협의회를 구성하여야 한다.
실시 횟수를 확대해야 한다.
전일제 클럽활동으로 「책가방 없는 날」운영의 효율화를 가져야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다양한 프로그램 목록을 작성해야 한다.
학부모 계도가 필요하다.
학부모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지역 사회 기관과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충분한 교통 수단 확보가 필요하다.
교사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9. 測定報告
문항별 측정 평균점수는 〈표7〉과 같다.
〈표7〉평균 점수
항목
18
8
7
13
15
16
17
6
12
4
2
3
평균점수
3.67
3.42
3.1
3.33
2.58
2.92
2.75
3.08
2.92
2.42
3
2.83
Ⅳ. 結論
1. 問題點
요구분석 결과 「책가방 없는 날」운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역할 미흡
2) 연간 운영 계획 수립 미흡
3) 비합리전인 운영 계획
4) 운영 시수 처리의 혼선
5) 특활시간과의 비연계성
6)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부족
7) 학부모의 인식 부족
8) 현장 학습 인솔 교사의 부족
9) 재정적 지원 부족
10) 공공 기관의 비협조
11) 불편한 교통 문제
12) 교사들의 업무 가중
2. 改善方案
1) 교사에게 최대한 재량권을 부여하고 창의적인 수업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청, 연구원 단위의 교원 일반 연수를 실시하고, 지도방법 개선을 위한 교사 공동 연구 및 개인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2) 동학년 협의회 운영을 활성화하여 교사간의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치고 역할을 분담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타학년과 정기적인 협의회를 개최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목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3) 교육적 효과 등을 홍보하기 위해 가정 통신문과 어머니 교실 강좌를 통해서 적극적인 계도를 해야하고, 명예교사를 임명하여 행사에 참여를 유도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로 참여시켜 인솔보조, 안전지도, 질서유지, 건강관리 등에 협조할 수 있도록 하며 참여 장면을 비디오 카메라나 사진으로 남겨 보람과 긍지를 갖도록 해야 한다.
4) 보조 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예산의 지원이 필요하며, 유관 기관의 방문시 사전 협조 공문을 발송하고 후에 감사 공문을 발송하여 지역 사회 기관과의 협조 체제를 긴밀히 유지해야 한다.
5) 현장 학습에서 구체적이고 계획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안내 자료의 보급이 요구된다. 교육청에서 행사의 목표, 활동 내용, 일정과 경로, 준비물, 해설, 놀이, 참고 및 유의사항 등이 담긴 자료집을 보급하고 학교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교육부, " 교육 정책의 방향", 시.도 교육청 초등 장학 과장 회의 자료, 서울 : 교육부, 1995.
김남중, "모든 초등 학교에 책가방 없는 날", 중앙 일보, 1996. 1. 29일자.
김인회, "자유 학습 운영의 의의와 방향", 새교육, 통권 227호, 서울 : 교원단체총연합회, 1973.
김충기, "자기 교육력이란 무엇인가?", 서울 교육, 통권 142호, 제37권, 제4호,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1995.
김태형, "책가방 없는 날 활동", 학교 경영, 제9권 제3호, 통권 97호, 서울 : 한국교육생산성연구소 교육연구사, 1996.
박순정, "책가방 없는 날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월보, 통권 257호, 전북 : 전북교육연구원, 1995.
이도인, "주 5일제 수업", 새교육, 통권 제69호,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1994.
, "책가방 없는 날, 확산해야 한다.", 새교육, 통권483호,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힙회, 1995.
이문호, "책가방 없는 날 운영 사례", 경남 장학 월보, 제 10호,통권 229호, 경남 : 경남교육청, 1993.
이종원, "전일제 클럽 활동 활성화 방안", 새교육, 통권 483호,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1995.
한봉익, "자유 학습의 날 운영의 합리화", 수도 교육, 제 15호,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1973.
추천자료
펄떡이는 물고기처럼
거리문화
앨빈토플러의 제3물결과 건축
[문학사]황지우 시세계 연구-1980년대를 중심으로
죽음의 의미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루터와 코메니우스, 독일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칸트와 바제...
논리와비판적사고 - 자유의지와 결정론
[공연예술][공연예술 기조][공연예술 마케팅][공연예술 문제점][공연예술 정책과제]공연예술...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하나님과 한민족과의 관계를 서술하시오
예수의 탄생 및 어린시절과 성장배경 및 부활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논쟁들 조사분석
암시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모형과 교안
[세계의역사D]영화 “로메로”, “태양제국의 멸망”, “중앙역” 중 1편을 보고 영화 감상평을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