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1. ISDN의 개요
2. ISDN에 필요한 장비들
3. ISDN 이용요금
4. ISDN 장비가격
5. 부가 서비스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1. ISDN의 개요
2. ISDN에 필요한 장비들
3. ISDN 이용요금
4. ISDN 장비가격
5. 부가 서비스
본문내용
)
-일반 180초당 45원 → 014XY ; 277초당 41.6원(08:00~21:00)
-일과후 (21:00~익일08:00)및 공휴일은 추가로 30%할인된 396초마다 41.6원
4. ISDN 장비가격
N T
약 15만원
S-CARD
약 12만원
U T A
약 45만원
5. FAQs........
(Q) 이사를 가면 ISDN은 어떻게 되나요?
(A) 거주 이전의 자유가 있는 이상, 이사시에는 당연히 회선을 옮겨 주지요.
방을 옮긴다거나 층을 옮긴다거나 하는 같은 건물내의 근거리 이전시에는 2,600원의 이전비가, 동/구를 옮겨가는 원거리 이전시에는 14,000원의 이전비가 들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ISDN을 쓸 수 없는 지역으로 이사를 가야만 한다면!
ISDN 이용약관에 따르면 ISDN계약자가 가입구역이 아닌 타 지역으로 이전시 그 지역에 ISDN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일반전화 이용권을 부여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ISDN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으로 이전시 그 지역에 ISDN서비스가 제공될 때까지 일반전화를 쓰게 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는 일반전화의 설비비 및 신규장치비는 감면하고, 해지 시에도 설비비는 반환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혹자는 환불을 해준다고 합니다만, 아직 공식화된 정보는 없습니다.
(Q) 교환기가 다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만 무슨 말입니까?, TDX-1B, TX-10(A)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A) 한국의 ISDN(특히 서울 지역)은 그 발전과정에서 북미형과 유럽형이 함께 들어와 공존해 버렸습니다.
이는 ISDN 교환기가 북미형과 유럽형이 공존한다는 현실적인 문제로 남아 있고, 따라서 가입자가 접속하려는 선로에 맞는 장비를 가입자가 선별하여 설치해야 한다는 부담이 되어 버렸습니다. (가입자는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의 교환기를 이용하게 되므로 교환기에 대한 선택 권한이 없습니다.)
구 분
TDX-10A
TDX-1B
형 태
유럽형
북미형
CODEC
A-law
u-law
전화국
강남지역
강북지역
전화국번
3448-xxxx
261-xxxx
codec이 달라지면 ISDN 전화기(I-Phone)에 정확히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 비공식적인 정보입니다만 외산 장비는 따라서 TDX-10과의 호환성이, TDX-1B 과의 호환성보다 좋다고 합니다.
- 비공식적인 정보입니다만 이론상으로나 특성 곡선을 보아도 A-law가 mu-law 보다 고주파부분에서 약간 낫다고 합니다만, 그리 대단한 차는 아니라 합니다. 하물며 사람이 음성으로 느낄 정도는 아니랍니다.
- 부산 지역은 현재 TDX-10으로 ISDN망이 전개중입니다. 따라서 A-law쪽이 향후 표준화될 것 같습니다.
- 지역에 따라서는 TDX-1B 교환기를 사용하면서 A-Law를 이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ex) 안양
- TDX-1B는 93년에 도입되었으므로 구형에 속합니다. 10은 95년에, 10A는 96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Q) ISDN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을 알고 싶습니다.
(A) 역시 대표주자는 귀에 익은 PPP(Point-to-Point Protocol)입니다. 원격지 접속 프로토콜의 대명사이자,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기본이지요.
이것이 ISDN에 특화된 것이 ML-PPP(MultiLink PPP)입니다. B 채널을 합하여 128Kbps로 쓸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것이 안되면 안되겠죠.
그리고 TA에는 V.110/V.120이 있습니다. V.110은 유럽에서 V.120은 미국에서 주로 쓰이는 프로토콜인데 우리 나라는 아마 V.120이 정착되지 않을까 합니다.
V.120은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통신 프로그램에서 쓸 수 있습니다.
ATB20................V.120 선언!
OK
ATDI전화번호...........전화걸기
CONNECT
참고로, 인터넷용 프로토콜은 아니지만 B 채널을 합하는 것으로 화상 회의등에서 쓰이는 BONDING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Q) 외장형 TA를 쓰면 시리얼 포트의 속도 한계 115.2K에 걸려서 내장형보다 느리지 않을까요?
(A) 네, 그렇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패러렐 포트용 TA를 쓰거나, 고속 시리얼 카드를 별도 구매하는 것입니다. 싼 솔루션으로는 용산에서 15,000원선에 대만제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속도 범위는 115.2K / 230K / 460K 입니다. 점퍼로 조절되며 ISA 버스입니다, 물론 장착하기전에 Bios Setup 에서 원하는 시리얼 포트를 Disable 해주어야 합니다.
-일반 180초당 45원 → 014XY ; 277초당 41.6원(08:00~21:00)
-일과후 (21:00~익일08:00)및 공휴일은 추가로 30%할인된 396초마다 41.6원
4. ISDN 장비가격
N T
약 15만원
S-CARD
약 12만원
U T A
약 45만원
5. FAQs........
(Q) 이사를 가면 ISDN은 어떻게 되나요?
(A) 거주 이전의 자유가 있는 이상, 이사시에는 당연히 회선을 옮겨 주지요.
방을 옮긴다거나 층을 옮긴다거나 하는 같은 건물내의 근거리 이전시에는 2,600원의 이전비가, 동/구를 옮겨가는 원거리 이전시에는 14,000원의 이전비가 들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ISDN을 쓸 수 없는 지역으로 이사를 가야만 한다면!
ISDN 이용약관에 따르면 ISDN계약자가 가입구역이 아닌 타 지역으로 이전시 그 지역에 ISDN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일반전화 이용권을 부여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ISDN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으로 이전시 그 지역에 ISDN서비스가 제공될 때까지 일반전화를 쓰게 되는 것입니다. 이 경우는 일반전화의 설비비 및 신규장치비는 감면하고, 해지 시에도 설비비는 반환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혹자는 환불을 해준다고 합니다만, 아직 공식화된 정보는 없습니다.
(Q) 교환기가 다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만 무슨 말입니까?, TDX-1B, TX-10(A)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A) 한국의 ISDN(특히 서울 지역)은 그 발전과정에서 북미형과 유럽형이 함께 들어와 공존해 버렸습니다.
이는 ISDN 교환기가 북미형과 유럽형이 공존한다는 현실적인 문제로 남아 있고, 따라서 가입자가 접속하려는 선로에 맞는 장비를 가입자가 선별하여 설치해야 한다는 부담이 되어 버렸습니다. (가입자는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의 교환기를 이용하게 되므로 교환기에 대한 선택 권한이 없습니다.)
구 분
TDX-10A
TDX-1B
형 태
유럽형
북미형
CODEC
A-law
u-law
전화국
강남지역
강북지역
전화국번
3448-xxxx
261-xxxx
codec이 달라지면 ISDN 전화기(I-Phone)에 정확히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 비공식적인 정보입니다만 외산 장비는 따라서 TDX-10과의 호환성이, TDX-1B 과의 호환성보다 좋다고 합니다.
- 비공식적인 정보입니다만 이론상으로나 특성 곡선을 보아도 A-law가 mu-law 보다 고주파부분에서 약간 낫다고 합니다만, 그리 대단한 차는 아니라 합니다. 하물며 사람이 음성으로 느낄 정도는 아니랍니다.
- 부산 지역은 현재 TDX-10으로 ISDN망이 전개중입니다. 따라서 A-law쪽이 향후 표준화될 것 같습니다.
- 지역에 따라서는 TDX-1B 교환기를 사용하면서 A-Law를 이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ex) 안양
- TDX-1B는 93년에 도입되었으므로 구형에 속합니다. 10은 95년에, 10A는 96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Q) ISDN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을 알고 싶습니다.
(A) 역시 대표주자는 귀에 익은 PPP(Point-to-Point Protocol)입니다. 원격지 접속 프로토콜의 대명사이자, 인터넷 접속 서비스의 기본이지요.
이것이 ISDN에 특화된 것이 ML-PPP(MultiLink PPP)입니다. B 채널을 합하여 128Kbps로 쓸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것이 안되면 안되겠죠.
그리고 TA에는 V.110/V.120이 있습니다. V.110은 유럽에서 V.120은 미국에서 주로 쓰이는 프로토콜인데 우리 나라는 아마 V.120이 정착되지 않을까 합니다.
V.120은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통신 프로그램에서 쓸 수 있습니다.
ATB20................V.120 선언!
OK
ATDI전화번호...........전화걸기
CONNECT
참고로, 인터넷용 프로토콜은 아니지만 B 채널을 합하는 것으로 화상 회의등에서 쓰이는 BONDING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Q) 외장형 TA를 쓰면 시리얼 포트의 속도 한계 115.2K에 걸려서 내장형보다 느리지 않을까요?
(A) 네, 그렇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패러렐 포트용 TA를 쓰거나, 고속 시리얼 카드를 별도 구매하는 것입니다. 싼 솔루션으로는 용산에서 15,000원선에 대만제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속도 범위는 115.2K / 230K / 460K 입니다. 점퍼로 조절되며 ISA 버스입니다, 물론 장착하기전에 Bios Setup 에서 원하는 시리얼 포트를 Disable 해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