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ORAL MANIFESTATIONS OF DISEASE
DISEASES OF THE TEETH
PERIODONTAL DISEASES
DISEASES OF THE ORAL MUCOSA
ORAL CANCER
DISEASES OF THE SALIVARY GLANDS
NEUROLOGIC DISTURBANCES AND OROFACIAL PAIN
REFERENCES
DISEASES OF THE TEETH
PERIODONTAL DISEASES
DISEASES OF THE ORAL MUCOSA
ORAL CANCER
DISEASES OF THE SALIVARY GLANDS
NEUROLOGIC DISTURBANCES AND OROFACIAL PAIN
REFERENCES
본문내용
과 부 타액선들은 유행성 이하선염(mumps), 유육종증(sarcoidosis), 결핵, 림프종과 Sjogren's syndrome에서 침범될 수 있다(Chap. 288). Sjogren's syndrome은 안구 건조와 구강 건조(xerostomia)를 일으킬 수 있고,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전신성 홍반성 낭창을 포함한 결합성 조직 병변의 증상이 연관될 수 있다. 구강 건조증도 두경부암에 대한 치료 방사선 조사 뿐아니라, 이뇨제, 항히스타민제 또는 삼환계 항우울제 같은 약물 때문에도 생길 수 있다. 구강 건조증은 cervical또는 incisal 우식증과 구강 캔디다증을 일으킬 수 있다. 치료로는 fluoride mouth rinses와 topical applications, 인공 타액, 무가당 캔디로 타액 분비 자극과 설탕 함유 음료나 음식을 피하는 것등이 포함된다. 캔디다증은 nystatin이나 다른 항진균제로 치료한다.
대개 주타액선의 도관에 있는 타액석(salivary stones)[sialolithiasis]은 종종 식사할 때에 통증과 부종이 있는 타액선염(sialoadenitis)을 일으킨다. 명백한 원인이 없는 재발성 이하선염(recurrent parotitis)은 소아에서 나타난다.
타액선의 가장 흔한 종양은 다형선종(pleomorphic adenoma)으로, 이것은 양성이지만, 완전히 적출되지 않는다면 재발한다;악성 종양에는 mucoepidermoid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carcinama 등이 포함된다. 다형선종은 이하선, 구개 혹은 뺨에 단단하고 천천히 자라는 종양이 생기며, 반면 악성 종양들은 더 빨리 자라고, 궤양을 일으킬 수 있고, 신경을 침범하여, 저림감이나 안면 신경마비를 일으킨다.
NEUROLOGIC DISTURBANCES
AND OROFACIAL PAIN
구강과 안면은 수많은 혈관성, 신경성, 근육/결체 조직 혹은 관절에서 기인하는 통증 부위이다. 신경학자, 치과의사, 구강 외과의사, 이비인후과 의사, 그리고 다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여러 학문이 제휴된 진단과 치료 프로그램은 기질성 병변들을 진단하고 배제하는 새로운 조영 기술들과 함께 이 복잡한 분야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시작했다. 측두 동맥염(Temporal arteritis)은 안면, 턱과 혀에 통증을 일으키고, 측두하악관절질환(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과 유사하다. Glucocorticoid가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근근막통(Myofascial pain)은 턱의 근육에 국소적인 압통과 개구 장애를 동반한,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이다. 이것은 이를 악물고 가는 습관(bruxism)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의 관절통은 안면과 두부까지 뻗치는 국소통을 일으킬 수 있다. 근근막통과 관절통은 열, 휴식과 항염증제에 의해 완화될수 있다. meniscus나 condyle의 전치(displacement)는 통증, 이를 악뭄 혹은 개구 상태에서 하악의 고정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은 증상이 거의 없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에서 연류될 수 있으며, 반면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관절에 통증과 부종, 운동제한을 일으키고, 유년기형(juvenile form)에서는 아이들에서 심한 부정교합(malocclusion)을 일으킬수 있다. condylectomy를 필요로 하는 Ankylosis가 일어날 수 있다(see Chap. 285).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igia(tic douloureux)]은 "trigger zone"을 건드리거나 혹은 저절로 발생함으로써 시작되는, 급작스러운 심한 편측의 찌르는 듯한 통증을 일으킨다. 치수나 치첨주위통과 흔히 혼동되어 부적절한 치내요법이나 수술치료를 하게도 한다. 많은 경우에 carbamazepine과 phenytoin에 반응하지만, 일부 경우에서는 삼차신경을 감압(decompress)하기위해 수술치료의 적응이 된다. 9번 뇌신경의 분포 부위(혀, 인두, 연구개)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증상들은, glossopharyngeal neuralgia 때문이며, 연하에 의해 유발되고 측두하악관절에 연관통을 일으킬 수 있다. Postherpetic neuralgia는 삼차신경 대상포진(see Chap. 380) 후에 생길 수 있으며, 강렬하고 쑤시며 오래동안 지속되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안면신경마비(Facial palsy)는 대개 편측성이고 외상, 수술, 종양이나 7번 뇌신경의 감염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Bell's palsy는 갑자기 시작되는 원인불명의 형태인데, 아마 대상포진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나타나는것 같다. 입의 가장자리가 처지며, 발음, 식사와 눈을 감는데 어려움이 있다. 증상들은 대개 저절로 사라지지만 잔여 증상으로 facial immobility와 lip drooping이 지속될 수 있다. 비정상 혹은 감소된 미각은 구강건조증, 안면과 설인신경 혹은 중추 분지의 장애, 노화, 의치 착용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을 침범하는 질환들은 만일 양측성이라면 혀의 돌출과 혀 근육의 위축을 일으킬 수 있고, 편측성이라면 병변이 있는 부위로 혀가 편위된다.
REFERENCES
GENCO R et al: Contemporary Periodontics. St. Louis, Mosby, 1989
GREENSPAN D et al: AIDS and the Mouth. Chicago, Year Book, 1990
LYNCH MA et al: Burket's Or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1983
NEWBRUN E: Cariology, 3d ed. Chicago, Quintessence, 1989
WRIGHT BA et al: Oral Cancer: Clinical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s. Boca Raton, Fla, CRC Press, 1988
대개 주타액선의 도관에 있는 타액석(salivary stones)[sialolithiasis]은 종종 식사할 때에 통증과 부종이 있는 타액선염(sialoadenitis)을 일으킨다. 명백한 원인이 없는 재발성 이하선염(recurrent parotitis)은 소아에서 나타난다.
타액선의 가장 흔한 종양은 다형선종(pleomorphic adenoma)으로, 이것은 양성이지만, 완전히 적출되지 않는다면 재발한다;악성 종양에는 mucoepidermoid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carcinama 등이 포함된다. 다형선종은 이하선, 구개 혹은 뺨에 단단하고 천천히 자라는 종양이 생기며, 반면 악성 종양들은 더 빨리 자라고, 궤양을 일으킬 수 있고, 신경을 침범하여, 저림감이나 안면 신경마비를 일으킨다.
NEUROLOGIC DISTURBANCES
AND OROFACIAL PAIN
구강과 안면은 수많은 혈관성, 신경성, 근육/결체 조직 혹은 관절에서 기인하는 통증 부위이다. 신경학자, 치과의사, 구강 외과의사, 이비인후과 의사, 그리고 다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여러 학문이 제휴된 진단과 치료 프로그램은 기질성 병변들을 진단하고 배제하는 새로운 조영 기술들과 함께 이 복잡한 분야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시작했다. 측두 동맥염(Temporal arteritis)은 안면, 턱과 혀에 통증을 일으키고, 측두하악관절질환(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과 유사하다. Glucocorticoid가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근근막통(Myofascial pain)은 턱의 근육에 국소적인 압통과 개구 장애를 동반한,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이다. 이것은 이를 악물고 가는 습관(bruxism)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의 관절통은 안면과 두부까지 뻗치는 국소통을 일으킬 수 있다. 근근막통과 관절통은 열, 휴식과 항염증제에 의해 완화될수 있다. meniscus나 condyle의 전치(displacement)는 통증, 이를 악뭄 혹은 개구 상태에서 하악의 고정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은 증상이 거의 없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에서 연류될 수 있으며, 반면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관절에 통증과 부종, 운동제한을 일으키고, 유년기형(juvenile form)에서는 아이들에서 심한 부정교합(malocclusion)을 일으킬수 있다. condylectomy를 필요로 하는 Ankylosis가 일어날 수 있다(see Chap. 285).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igia(tic douloureux)]은 "trigger zone"을 건드리거나 혹은 저절로 발생함으로써 시작되는, 급작스러운 심한 편측의 찌르는 듯한 통증을 일으킨다. 치수나 치첨주위통과 흔히 혼동되어 부적절한 치내요법이나 수술치료를 하게도 한다. 많은 경우에 carbamazepine과 phenytoin에 반응하지만, 일부 경우에서는 삼차신경을 감압(decompress)하기위해 수술치료의 적응이 된다. 9번 뇌신경의 분포 부위(혀, 인두, 연구개)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증상들은, glossopharyngeal neuralgia 때문이며, 연하에 의해 유발되고 측두하악관절에 연관통을 일으킬 수 있다. Postherpetic neuralgia는 삼차신경 대상포진(see Chap. 380) 후에 생길 수 있으며, 강렬하고 쑤시며 오래동안 지속되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안면신경마비(Facial palsy)는 대개 편측성이고 외상, 수술, 종양이나 7번 뇌신경의 감염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Bell's palsy는 갑자기 시작되는 원인불명의 형태인데, 아마 대상포진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나타나는것 같다. 입의 가장자리가 처지며, 발음, 식사와 눈을 감는데 어려움이 있다. 증상들은 대개 저절로 사라지지만 잔여 증상으로 facial immobility와 lip drooping이 지속될 수 있다. 비정상 혹은 감소된 미각은 구강건조증, 안면과 설인신경 혹은 중추 분지의 장애, 노화, 의치 착용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을 침범하는 질환들은 만일 양측성이라면 혀의 돌출과 혀 근육의 위축을 일으킬 수 있고, 편측성이라면 병변이 있는 부위로 혀가 편위된다.
REFERENCES
GENCO R et al: Contemporary Periodontics. St. Louis, Mosby, 1989
GREENSPAN D et al: AIDS and the Mouth. Chicago, Year Book, 1990
LYNCH MA et al: Burket's Or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1983
NEWBRUN E: Cariology, 3d ed. Chicago, Quintessence, 1989
WRIGHT BA et al: Oral Cancer: Clinical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s. Boca Raton, Fla, CRC Press,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