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루어진 교육을 다시 재정비하여 우리 나라를 먼저 알고 남의 나라를 연구하여 그 나라에서부터 받을 것은 받고 버릴 것은 미련을 갔지 말고 버려야 한다. 우리는 외국 문화를 받아들인다는 개념을 바로 잡아야한다. 우리가 다른 나라에서 무엇을 받아들인다면 그 나라를 막연히 동경해서가 아닌 편리라든가 바른 것이라든가 하는 타당한 이유를 갖고 받아들여야 한다.
추천자료
지역 문화, 세계화로
발칸반도(동유럽)국가들의 민속(민족)문화 - 민족음악을 중심으로
우리민족의 얼과 문화유산
르네상스문화의 의의를 세계화시대에 적용
중앙아시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개고기][보신탕][음식문화][개고기속에 감춰진 또 다른 헤게모니][개고기를 먹는 민족][개고...
[중국][중국문화]중국내 소수민족의 환경과 주거문화, 중국의 주거문화, 중국의 민족구성과 ...
중앙아시아 소수민족의 생활과 문화
세계화와 한국 청소년문화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모형]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이념, 통일교육과 문화이해정보교...
[1920년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1920년대의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1920년대의 문화통치, 1...
조선시대 식문화의 변천사 - 주변민족 국가와의 식문화를 비교해보고, 당시 주요 작물이었던 ...
문화성향에 따른 민족정체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다문화사회복지] 세계화의 대두와 세계화의 거시적 경향성 및 세계화에 대한 대립적 관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