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와 소비자의 상관관계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광고를 대하는 소비자의 기본적 사고
Ⅲ. 광고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태도형성
1.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내적 요인
1.2. 외적 요인
2. 매체들을 통한 광고와 소비자
2.1. 인쇄매체
2.2. 전파매체
2.3. 기타매체
3. 각 쟁점들을 통해 알아 본 영향
3.1. 경제적 쟁점
3.2. 사회·인구통계학적 쟁점
4. 소비자의 광고활용
5. 태도형성과 소비자
Ⅳ. 광고의 발전과 함께 파생되는 문제점
Ⅴ.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과 그에 따른 광고의 방향
1. 공익성
2. 광고의 규제
Ⅵ.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 소비자 대중의 수용을 전제로 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소비자들이 광고를 수용하게 되는 까닭은 광고가 '消費者의 利益과 便宜와 必要'에 따라 구실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 리대룡/이명천 : 현대사회와 광고 p 284: 24∼25.
공익성은 광고가 어느 판매인의 이익만 꾀하고 소비자의 이익과 무관하면 공익성을 잃게 되고, 반대로 소비자의 이익만 있고 판매인의 이익과 무관하면 또한 공익성을 잃게 된다. 이때 판매인이 경제적으로 강자의 자리에 위치하게 되면 개개인의 소비자는 경제적인 약자의 지위에 놓이게 되어 소비자 이익의 보호와 증대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게 되고, 현실에 적합한 광고의 공익성 보장을 위한 규제 또한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2. 광고의 규제(廣告의 規制)
광고는 표현의 자유가 있어야 하지만, 광고가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고려해볼 때 광고의 규제는 필요하다. 따라서 광고의 오용과 남용을 막기 위해 정부, 법률 및 소비자로부터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광고산업내의 자율규제를 하고 있다. 광고가 이익만을 쫓아가는 불공정한 경쟁을 하지 않고, 공정한 경쟁을 유지하도록 하며, 소비자를 보호하고자 하는데 그 뜻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광고의 규제방향을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정부나 법률적인 규제가 있다. 허위·과장광고, 기만적 광고, 부당한 비교광고, 비방광고 등의 부당광고에 대한 공정거래상의 법적인 제재를 가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이 경우 행정법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부당광고 전반을 규제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그 규제범위도 광고에 한정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불건전한 광고를 추방하기 위해선 광고 스스로의 자율규제가 필요하다. 이 자율규제는 비극단적(非極端的)이고 정확한 광고를 하기 위한 것이다. 자율 규제는 광고가 소비자의 비판과 정부의 통제를 더욱 크게 받음에 따라 1970년대에 널리 행해진 것으로 광고에 대한 비판을 극복하기 위한 이상적이고, 현실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윤추구에만 집착하지 않고 스스로 매스미디어에 실리는 광고의 질을 규제할 때 광고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광고자율규제를 하면 소비자에게 있어 산업편견의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보다 진실성있는 광고, 보다 다양한 기호의 광고 등의 이점이 있게 된다.
) 한선민 : 현대광고론 p108 참조.
마지막으로 소비자로부터의 규제 또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 소득이 높아지고 소비자의 의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극적 자세에서 광고의 표현방식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소비자 단체가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는 소비자 자신의 이익보호와 권리의 증진을 위한 소비자운동을 통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광고의 규제를 하게 되고, 이에 광고의 공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Ⅵ. 결 론
광고는 인간생활과 아주 밀접하고도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또 하나의 힘이다. 그 힘으로 소비자에게 다양한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사고와 태도형성, 사회적 책임의 문제까지 이끌어 내고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합리적 사고와 구매에 대한 정보를 위해서 광고라는 매체를 이용하고 그것을 더욱더 발전시키는 다양성을 갖추고 있다.
광고는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내적, 외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광고제작을 꾀한다. 또한 소비자가 원하는 매체가 무엇이고 광고를 가장 어필시킬 수 있는 매체를 찾아 공통적인 정보를 연결시킨다.
소비자는 이에 광고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광고를 적극적 자세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또한 소비자는 자신이 어떤 목적과 의도에 의해서 광고를 이용하는지 합리적인 판단을 하여 필요로 하는 욕구를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
광고와 소비자는 이처럼 서로의 관계 속에서 문제를 발생시키고 거기에 대한 연구를 하며 더욱더 발전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소비자는 광고를 통해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한 고려만을 할 것이 아니라, 옳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력을 길러야 할 것이며, 광고는 제품의 판매에만 그쳐 광고의 윤리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
인위적으로 제재를 가하는 규제가 있기보다 광고 스스로의 자각적 노력과 소비자 스스로 자신의 판단을 통한 올바른 이해가 서로에게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과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또 다른 관점을 만들어 내려고 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기존에 있는 광고와 소비자에 대한 상관관계의 연구를 좀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참 고 문 헌 -
· 金載津 : 소비자태도에 관한 인식적 반응 접근법 <광고연구, 연구논문>
1990, 겨울호.
· 金宰煥 : 소비자가 간직하고 있는 상품정보와 선호도와의 상관관계
<광고연구, 학위논문> 1991, 봄호.
· 리대룡/이명천 편저 : "현대사회와 광고" <나남> 1986.
· 리대룡 역 : "광고와 사회" - 광고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고전적 및 현대적 논선 - : R.호블란트/ G.B. 월콕스 <나남출판사> 1994.
· 손수진 : 부당 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광고연구, 학위논문> 1996, 가을호.
· 양영종/박원식 : "현대사회 광고론" <螢雪出版社> 1997.
· 오택섭 편역 : "설득이론과 광고" <나남출판> 1994.
· 兪 鵬 : "신광고론" - 이론과 전략 - <一湖閣> .
· 李學湜 : 광고노출에 의한 소비자의 태도형성 - 문헌적 연구와 종합화 시도 - <광고연구, 연구논문> 1992, 가을호.
· 전영우 : "현대 광고학" <참미디어> 1996.
· 鄭杰鎭 : 소비자 정보환경과 광고의 활용 <광고연구, 연구논문> 1992,
가을호.
· 조병량, 강승구 外 : "현대광고의 이해" <나남신서> 1998.
· 조봉진/정경애 : 소비자특성과 선호하는 광고소구유형의 관계 <광고연구,
연구논문> 1998, 봄호.
· 최양호 : 소비자행동에서의 3개의 태도모델에 대한 고찰 <광고연구, 연구
논문> 1994, 가을호.
· 韓先敏 : "현대광고론" <螢雪出版社> 1991.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02.09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