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프로그램의 분류 방식 중 삼분법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프로그램 類型分類의 諸問題
Ⅲ. 삼분법에 의한 TV프로그램의 분류
Ⅳ. 우리 나라에서의 삼분법적 개념의 법제화
Ⅴ. 마무리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타내는 기준으로서는 대단히 모호한 점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언론기본법 시행령 제29조 '방송순서의 편성기준'은 다음과 같이 비판받을 수 있다.
① 모든 방송매체에 최고 50%까지 균등하게 오락을 허용하고 있다.
② 局間, 媒體間, 채널간의 특성을 무시하고 일률적인 편성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다.
③ 보도·교양·오락이라는 애매한 3분법이 다양하고 균형있는 편성, 그리고 채널의 특성화를 가로막는다.
보도·교양·오락 등 기능에 의한 분류는 '방송사항의 목적별 분류'라고도 할 수 있는데 애보트(Abbot)와 라이더(Rider)는 교양 프로그램이라는 말 대신에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란 용어를 써서 좀 특이하다.
(1) 오락 프로그램 - 드라마, 버라이어티, 음악, 퀴즈, 게임, 퍼스낼리티, 기타
(2) 정보 프로그램 - 뉴스, 생활정보 등
(3)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 종교, 公共事, 토론, 기타 가족이나 인간관계 계도를 위한 내용의 프로그램
그리고 崔埈 님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의 過程面으로 보아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었다.
① 스튜디오 프로그램 - 텔레비전 스튜디오 내의 생방송
② 중계방송 프로그램 - 스튜디오 밖에서 만들어지는 생방송
③ 필름 프로그램 - 영화필름을 사용한 것과 TV테이프 레코드인 비디오 테이프(VTR) 등.
※ 참고문헌
·姜大仁·金寓龍 ·洪起宣, 「放送制作論」, 도서출판 나남, 1987.
·김규,「방송미디어」, 나남출판, 1996.
·金寓龍,「放送學講義」, 나남출판, 1995.
·손용,「현대방송이론」, 나남출판, 1996.
·崔埈, 「放送論」, 일조각, 1964.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2.09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