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황순원의 글쓰기 양상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및 방법론

Ⅱ. 원근법의 제거와 평면으로서의 세계
1) 구경적 생의 형식과 평면의 세계 인식: 김동리
2) 어린이-되기와 평면의 세계 형상화: 황순원

Ⅲ. 인물관계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의 관련 양상
1) 결연관계를 통한 근경적(根莖的) 분지: 김동리
2) 계통관계를 통한 수목적(樹木的) 양립: 황순원

Ⅳ. 전통과 근대의 관련양상과 서사구조의 상보성
1) 평면의 세계의 서사적 중재·조직화: 김동리
2) 시간의 파편화를 통한 세계의 평면화: 황순원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서사가 김인철을 중심으로 한 그 주변인물들의 서사와 다양한 차원에서 접속되고 중첩된다. 물론,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연구의 차원에서 전통적 세계에 관심을 갖는 '지교수', '전경훈' 등과 같은 매개인물을 통해서이지만, 김본돌 노인과 그의 계승자인 김기룡의 서사가 '기억'을 통한 단계적 재구성이 아닌, 다선형적으로 분지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동리의 수목적 형식미학은 내용적 측면에서의 전통과 근대의 근경적 분지화를 재영토화하는 데에 상보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면, 황순원의 소설에서는 그 역으로 내용적 측면에서의 전통과 근대의 수목적 양립을 서사구성방식을 통해 근경적으로 분지화하고 있다 하겠다.
Ⅳ. 결 론
본고는 들뢰즈의 논의에 기대어, 김동리와 황순원 문학의 전통지향성을 근대와의 관련선상에 살피되, 양자의 관계가 변증법적 원리의 자장 내에 놓이지 않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김동리와 황순원 모두 세계를 바라보는 원근법적 거리를 좁힘으로써 현실을 평면으로서 사유하고 "표현"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평면의 세계에서는 전통과 근대 역시 동일 지평에 자리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가족 삼각형의 구도를 매개로 전통과 근대가 관계가 변주되어 드러나는 그 양상을 살폈다. 즉, 김동리의 작품세계에서는 인물들간의 결연관계를 통해 양자의 관계가 리좀적 분지화의 양상을 띤 반면, 인물이 계통관계로 재영토화되려는 경향을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는 황순원의 작품세계에서는 양자의 관계가 수목적으로 양립하고 있음을 살폈다. Ⅳ장에서는, 김동리·황순원 작품의 인물관계 분석을 통해 드러나는 이와 같은 전통과 근대의 관련양상이 그들 작품의 서사구성방식과 모순 관계 내에서 각각 상보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살폈다. 김동리의 소설에서는 '기억'이 서사적 조직화에 중요하게 작용함으로써 가능한 형식미학이, 가족삼각형의 구도를 통해 밝힌 전통·근대의 근경적 상태에 상보적으로 작용함을 밝혔다. 반면에, 황순원의 소설에서는 가족삼각형의 구도를 통해 살핀 전통과 근대의 수목적 양립이 몽타쥬 기법을 활용한 서사구성방식을 통해 기법적으로 분지화되는 양상을 살폈다.
참고문헌
김동리,《김동리 전집(1-6)》, 민음사, 1995.
김동리,「나의 소설수업」,『문장』, 1940.
김동리,「문학하는 것에 대한 私考」,『문학과 인간(전집7)』, 민음사, 1997.
황순원,《황순원 전집(1-10)》, 문학과지성사, 1999.
곽경숙,「한국 현대소설의 생태학적 연구-김동리·황순원 소설을 중심으로」, 전남대 박사논문, 2001.
구인환,「황순원 소설의 극적 양상-'움직이는 城'을 중심으로」,『선청어문』, 1991.
김동선,「황고집의 미학, 황순원 가문」,『황순원 연구(전집 12)』, 문학과지성사, 2000.
김윤식,『한국근대문학사상연구2』, 아세아문화사, 1994.
,「묘사의 거부와 생의 내재성」,『한국현대문학사 1945∼1980』, 일지사, 1994.
,「민담과 민족적 형식」,『김윤식 선집4』, 솔, 1996.
,「아버지의 사상-최일남론」,『김윤식 선집4』, 솔, 1996.
,『김동리와 그의 시대』, 민음사, 1995.
김선태,「황순원 소설 연구-모성애와 범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동국대 석사논문, 1998.
김성욱,「들뢰즈의 '시네마'와 잠재성의 영화」,『세계의문학』봄호, 2000.
김재인,「고원의 미학-들뢰즈의 미학사상」,『세계의문학』봄호, 2000.
김현덕,「김동리 소설의 구조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1983.
노승욱,「황순원 단편소설의 수사학적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7.
박성수,『들뢰즈와 영화』, 문화과학사, 1998.
,「표면의 사유 또는 어린이 되기」,『문화과학』21, 2000.
서재원,「황순원과 김동리 소설 비교 연구」,『한국어문교육』8, 고려대 국어교육학회
양선규,「한국근대소설의 보수주의미학 연구-김동리, 황순원 소설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충북대 인문학 논집』, 1993.
유기룡 편,『김동리』, 도서출판 살림, 1996.
유종호,「겨레의 기억과 그 전수」,『황순원』,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이보영,「작가로서의 황순원」,『황순원 연구(전집 12)』, 문학과지성사, 1999.
이상구,「김동리 소설의 서사구조 연구」, 교원대 석사논문, 1991.
이재선 편,『김동리』,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이정우,『접힘과 펼쳐짐』, 거름, 2000.
임선영,「황순원 소설의 변모양상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9.
조남현,『한국현대소설의 해부』, 문예출판사, 1994.
,「'나무들 비탈에 서다', 그 외연과 내포」,『황순원 연구(전집12)』, 문학과지성사, 2000.
조현일,「근대 속의 '이야기'」,『황순원』,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진형준,「모성으로 감싸기, 그에 안기기-황순원론」,『황순원 연구(전집12)』, 문학과지성사, 2000.
천영숙,「김동리 작품의 구조분석적 연구」, 교원대 석사논문, 1991.
천이두,「종합에의 의지」,『황순원 연구(전집12)』, 문학과지성사, 2000.
최미숙,「황순원 후기 장편소설의 서사구조 연구」, 동덕여대 석사논문, 1996.
최시한,「현대소설의 구조시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1980.
Deleuze, G.,『대담』, 김종호 역, 솔, 1993.
,『스피노자의 철학』, 박기순 역, 민음사, 2001.
Deleuze, G. & F. Guattari,『앙띠 오이디푸스』, 최명관 역, 민음사, 1997.
,『소수집단의 문학을 위하여-카프카론』, 조한경 역, 문학과지성사, 1997.
,『철학이란 무엇인가』, 이정임·윤정임 역, 현대미학사, 1999.
,『천 개의 고원』, 김재인 역, 새물결, 2001.
Jameson, F.『후기 마르크스주의』, 김유동 역, 한길사, 2000.
Patton, P.,“Introduction”, Deleuze : A Critical Reader(ed. by P. Patton), Blackwell, 1996.
Pearson, K. A., Germinal Life-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Deleuze, Routledge, 1999.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02.28
  • 저작시기200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