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상대(야마토 시대)
2.1 〈만요슈 萬葉集〉의 성립
2.2 한시문(漢詩文)

3 중고( 헤이안 시대)
3.1 한시문의 융성
3.2 모노가타리 문학[物語文學]
3.3 일기문학(日記文學)
3.4 수필·설화 문학

4 중세(가마쿠라·무로마치시대)
4.1 〈신코킨와카슈 新古今和歌集〉 시대
4.2 후기 한시문과 와카·렌가[連歌]
4.3 기코 모노가타리[擬古物語]와 레키시 모노가타리[歷史物語]
4.4 군키 모노가타리[軍記物語]
4.5 설화·일기·수필, 기타 문학
4.6 노[能]·교겐[狂言]

5 근세(에도 시대)
5.1 고쿠가쿠[國學]운동과 와카
5.2 하이카이[俳諧]의 흥륭
5.3 교카[狂歌]·센류[川柳]
5.4 근세소설의 탄생
5.5 에도의 소설
5.6 조루리[淨瑠璃]·가부키[歌舞伎]

6 근대(도쿄 시대)
6.1 계몽기의 문학과 근대문학의 여명
6.2 사실주의의 제창
6.3 낭만주의 문학의 여러 양상
6.4 자연주의 문학의 성립
6.5 탐미파의 문학
6.6 모리 오가이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6.7 시라카바파[白樺派]의 문학
6.8 신시초파와 사소설의 완성
6.9 신감각파와 프롤레타리아 문학
6.10 문화 통제하의 문학
6.11 전후의 문학
6.12 근대시
6.13 단카
6.14 하이쿠
6.15 근대의 연극

7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는데 〈자슈몬 邪宗門〉의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미키 로후[三木露風] 등 탐미파의 상징시가 주류를 이루었다. 다이쇼기[大正期]에 접어들면서 다카무라 고타로[高村光太郞]가 철저하게 평이한 일상어로 쓴 자유시를 시도했고,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郞]는 감수성·상징성·음악성을 갖춘 구어시를 써 그 예술성을 확립했다.다이쇼 말기에는 미래파·다다이즘 등 전위예술운동과 사회주의적 프롤레타리아 시의 운동으로 전통적인 시가 부정되고 새로운 현대시 정신이 출현했으며, 노동자 계급의 해방을 목표로 하는 프롤레타리아 시와 새로운 주지적 시를 추구하려는 〈시토시론 詩と詩論〉(1925~28)파의 시가 대립하면서 성장했다. 그뒤 〈시토시론〉 운동을 둘러싼 예술파의 시인들은 각자의 자질이나 개성에 따라 〈시키 四季〉(1934 창간)파 등 여러 유파로 나뉘어 현대시 활동을 전개했다. 전쟁기간 시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예술성이 지극히 황폐했으나, 전후 부흥함으로써 전전파 쇼와 시인들이 활발한 창작을 재개했다. 한편, 〈아레치 荒地〉의 시인들이 출현하여 문명비판과 인간성을 추구했다. 그리고 전후 10여 년 무렵부터 다시 새로운 움직임이 일었다.
6.13 단카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서도 전통적 미의식에 의한 게이엔파[桂園派]의 흐름이 주류를 이루어 다카사키 마사카제[高崎正風] 등 궁내성 오우타도코로[御歌所]에 소속된 시인이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1893년 오치아이 나오부미가 아사카샤[淺香社]를 창립함에 따라 많은 준재가 배출되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단카 개량운동이 시작되었는데 단카론 〈망국의 소리 亡國の音〉의 요사노 뎃칸[與謝野錢幹]의 활약이 특히 두드러졌다. 메이지 30년대에는 사사키 노부쓰나[佐佐木信綱]가 〈고코로노하나 心の華〉를 창간하여(1898) 와카 혁신을 지향했고, 〈가인에게 주는 글 歌よみに與ふる書〉에서 만요초를 주장한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의 사생파(寫生派)도 일어났다. 1899년 요사노 뎃칸은 신시샤[新詩社]를 결성하고 다음해에 〈묘조 明星〉를 창간하여 메이지 30년대 낭만주의 시가의 중추가 되었다. 이 묘조파에서 많은 시인이 배출되었는데 〈헝클어진 머리 みだれ髮〉를 써서 세인을 놀라게 한 요사노 아키코[與謝野晶子]가 주목된다. 메이지 40년대에 이르러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이 시가에도 나타나 와카야마 보쿠스이[若山牧水], 마에다 유구레[前田夕暮], 도키 아이카[土岐哀果],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 등의 단카와 기타하라 하쿠슈, 요시이 이사무[吉井勇] 등의 탐미적 단카가 중심이 되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마사오카 시키의 사생정신을 이은 〈아라라기 アララギ〉파가 단카 시단의 주류가 되었다. 사이토 모키치[齊藤茂吉], 시마키 아카히코[島木赤彦] 등 우수한 시인이 많은데 특히 단카집 〈샷코 赤光〉(1913)의 모키치는 문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다이쇼 시대말부터 쇼와에 걸쳐 구어가(口語歌), 구어자유율 단카 운동[口語自由律短歌運動]이 활발해졌다. 이 움직임은 프롤레타리아 단카와 예술파의 단카와도 결부되었다. 중일전쟁이 일어나 대부분의 시인이 시류에 영합하는 가운데 도키 젠마로[土岐善 ], 쓰치야 분메이[土屋文明] 등은 반전적(反戰的)인 시풍을 고수했다. 전후 구와바라 다케오[桑原武夫]의 〈제2예술론 第二藝術論〉을 계기로 단카 부정론이 제기되었으나 신인의 활약에 의해 새로운 단카의 세계가 추구되었다.
6.14 하이쿠
메이지 20년대에 마사오카 시키에 의해 사생(寫生)을 주장하는 하이쿠[俳句] 혁신운동이 추진되었다. 이때의 하이쿠 시인들은 신문 〈니혼 日本〉이나 하이쿠 잡지 〈호토토기스 ホトトギス〉를 발표무대로 활약했다. 시키 사후 이 파에서 새로운 경향의 하이쿠를 제창하는 가와히가시 헤키고토[河東碧梧桐]와 그의 제자들이 활약하여 무계자유율(無季自由律) 하이쿠로 발전했다. 한편 전통을 지키는 다카하마 교시[高浜虛子]도 하이쿠에 전념했으며 객관 사생을 중시했다. 쇼와에 이르러 호토토기스파 내부에서 단조로운 사생을 부정하고 근대적 자아나 감각을 중시하는 신흥 하이쿠 운동이 일어났다. 한편에서는 프롤레타리아 하이쿠도 시도되었다. 중일전쟁 개전 후는 전쟁 하이쿠와 인간탐구파 하이쿠의 움직임이 있었고 마침내 공백시대를 맞이했다. 전후에는 하이쿠를 비판하는 〈제2예술론〉이 하이쿠 시단에 충격을 주어 반성의 기운이 일고 새로운 하이쿠가 출현했다.
6.15 근대의 연극
메이지에 이르러서도 에도 이래의 가부키가 애호되었으나 메이지 10년대말부터 일어난 연극 개량의 기운이 높아졌다. 역사적 사실을 존중한 각본과 쓰보우치 쇼요 등에 의한 신사극(新史劇)이 출현하여 가부키계에 새로운 바람이 일었다. 또 자유민권운동의 정치 선전을 위해 출현한 신파극(新派劇)은 그 현대적 내용이 대중의 흥미를 유발하여 한때 성행했으나 곧 힘을 상실했다. 메이지 30년대 후반에는 사회적·정치적 문제에 관심이 깊은 프롤레타리아계의 극단과 예술적 완성을 지향하는 예술파 극단으로 나뉘어 활발한 연극활동이 전개되었고 일본의 현실을 다룬 우수한 희곡을 창작·상연하게 되었다. 전쟁중에는 활동이 어려웠으나 전후에는 많은 극단이 재개·창립되어 다채로운 연극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7 참고문헌
참고문헌 (일본문학)
일본문학사 : 신현하, 학문사, 1985
현대일본문학사 : 吉田精一 편, 유정 역, 정음사, 1984
일본문학개론 : 敎學硏究社, 이영구 역, 1983
근대일본문학 : 박훈주, 형설출판사, 1983
일본문학사 : 정재인, 한일출판사, 1973
近代文學 全10卷 : 竹盛天雄, 三好行雄 編, 有斐閣, 1977 - 78
現代文學史 全2卷 : 小田切秀雄, 集英社, 1975
新版日本文學史 全8卷 別卷 : 久松潛一 編, 至文堂, 1971
中世文學硏究入門 : 東京大學中世文學硏究會, 至文堂, 1965
日本古代文學史 改稿版(岩波全書) : 西鄕信綱, 岩波書店, 1963
日本の現代小說(岩波新書) : 中村光夫, 岩波書店, 1962
日本文學全史 全15卷 : 佐佐木信綱 外, 東京堂, 1935 - 53
日本近世文學史 : 重友毅, 岩波全書, 1952
日本文學大辭典 全8卷 增補改訂版 : 藤村作 編, 新潮社, 1950 - 52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3.03.07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