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Ⅱ. 本 論
1. 無常의意味
2. 作品속에 나타나는 無常
. 長明과『方丈記』
.『平家物語』의 無常感
. 兼好의『徒然草』와 그 無常
. 心敬의 無常
Ⅲ. 結 論
Ⅱ. 本 論
1. 無常의意味
2. 作品속에 나타나는 無常
. 長明과『方丈記』
.『平家物語』의 無常感
. 兼好의『徒然草』와 그 無常
. 心敬의 無常
Ⅲ. 結 論
본문내용
作品을 제작할 수 없다.」는 것을 反復하여 主張하는 점이다.
이것은 無常이란 現實을 擬視하는 人間의 悲常나 苦惱를 담고 있지 않는 句는 참으로 훌륭한 句라고 認定할 수 없다는 意味로 본다. 그래서 無常의 哀苦, 人生의 不如意로 느낌이 담겨진 作者의 心情이 投影되고 거기에 中世特有의 色調를 띄게 되어 이 色調를 指目하여 雅趣라 하였고 이 雅趣美는 心敬의 作品을 特徵지울 뿐만 아니라 中世文化의 到達占을 나타내는 東山文化를 特徵지우는 美이기도 하다.
心敬은 「ささめごと」에서「幽玄」에서「艶」으로 또 「眞實」이 되는 本然의 자세였다. 거기에 도달하는 길은 無常變遷의 自覺, 自他一切를 포함해서 無常이라는 본연의 자세에 存在하고 있다는 自覺인 것으로 생각한다.
Ⅲ. 結 論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은 살고 있는 한 죽음의 不安과 恐怖에서 떠날 수 없으며, 따라서 無常을 해결하는 방법은 죽음과의 대결을 치르고 생사를 멀리하여 그것이 괴롭히지 않는 경지에 통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것이 불교 사상에 눈을 돌려 極樂往生을 訴願하게 되지만 죽음의 恐怖에서 解放을 訴願한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점이다.
특히 武家의 亂이 持續된 중세는 無常感을 가장 痛感케 하는 時代였고 일찍이 중세처럼 無常觀이 만연된 시대는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無常은 중세 문학에서 가장 鮮明하게 표현하는 方式이 되었고 중세사상의 특징을 賦與하는 無常觀은 相對的인 역관계에 따라 榮古盛衰의 轉變의 어지러운 현실상에 起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參考文獻
1. 『無常感の文學』小林智照著. 弘文堂
2. 『無常の文學』 西田正好著
3. 『方丈記』西尾實著 . 岩波書店
4. 『徒然草』西尾實著 . 岩波書店
5. 『平家物語(上)』 高木市之助著 . 岩派書店
6. 『平家物語(下)』 高木市之助著 . 岩派書店
7. 『日本の中世文學』伊藤博之著 . 新日本出版
8. 『新編日本文學史』第一學習社
9. 『日本文學槪論』韓國日本學會
10.『日本古典文學』學文社
11.『第三回國際學術大會』
12.『日本文學社』吉田精一, 山本健吉 編 . 1987. 角川書店
교수님 한해동안 골치덩어리인 저를 가르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내년에도 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모두 萬事亨通하시길 빕니다.
박 찬기 화이팅!!!!!
目 次
Ⅰ. 序 論
Ⅱ. 本 論
1. 無常의意味
2. 作品속에 나타나는 無常
. 長明과『方丈記』
.『平家物語』의 無常感
. 兼好의『徒然草』와 그 無常
. 心敬의 無常
Ⅲ. 結 論
이것은 無常이란 現實을 擬視하는 人間의 悲常나 苦惱를 담고 있지 않는 句는 참으로 훌륭한 句라고 認定할 수 없다는 意味로 본다. 그래서 無常의 哀苦, 人生의 不如意로 느낌이 담겨진 作者의 心情이 投影되고 거기에 中世特有의 色調를 띄게 되어 이 色調를 指目하여 雅趣라 하였고 이 雅趣美는 心敬의 作品을 特徵지울 뿐만 아니라 中世文化의 到達占을 나타내는 東山文化를 特徵지우는 美이기도 하다.
心敬은 「ささめごと」에서「幽玄」에서「艶」으로 또 「眞實」이 되는 本然의 자세였다. 거기에 도달하는 길은 無常變遷의 自覺, 自他一切를 포함해서 無常이라는 본연의 자세에 存在하고 있다는 自覺인 것으로 생각한다.
Ⅲ. 結 論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은 살고 있는 한 죽음의 不安과 恐怖에서 떠날 수 없으며, 따라서 無常을 해결하는 방법은 죽음과의 대결을 치르고 생사를 멀리하여 그것이 괴롭히지 않는 경지에 통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것이 불교 사상에 눈을 돌려 極樂往生을 訴願하게 되지만 죽음의 恐怖에서 解放을 訴願한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점이다.
특히 武家의 亂이 持續된 중세는 無常感을 가장 痛感케 하는 時代였고 일찍이 중세처럼 無常觀이 만연된 시대는 없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無常은 중세 문학에서 가장 鮮明하게 표현하는 方式이 되었고 중세사상의 특징을 賦與하는 無常觀은 相對的인 역관계에 따라 榮古盛衰의 轉變의 어지러운 현실상에 起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參考文獻
1. 『無常感の文學』小林智照著. 弘文堂
2. 『無常の文學』 西田正好著
3. 『方丈記』西尾實著 . 岩波書店
4. 『徒然草』西尾實著 . 岩波書店
5. 『平家物語(上)』 高木市之助著 . 岩派書店
6. 『平家物語(下)』 高木市之助著 . 岩派書店
7. 『日本の中世文學』伊藤博之著 . 新日本出版
8. 『新編日本文學史』第一學習社
9. 『日本文學槪論』韓國日本學會
10.『日本古典文學』學文社
11.『第三回國際學術大會』
12.『日本文學社』吉田精一, 山本健吉 編 . 1987. 角川書店
교수님 한해동안 골치덩어리인 저를 가르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내년에도 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모두 萬事亨通하시길 빕니다.
박 찬기 화이팅!!!!!
目 次
Ⅰ. 序 論
Ⅱ. 本 論
1. 無常의意味
2. 作品속에 나타나는 無常
. 長明과『方丈記』
.『平家物語』의 無常感
. 兼好의『徒然草』와 그 無常
. 心敬의 無常
Ⅲ. 結 論
추천자료
소설속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대중매체에서 나타나는 여성
불교의 인생관과 세계관 우리 사회 속 불교
한국 대중가요 속 여성상의 변화
매스컴속 팬덤문화
장용학(張龍鶴) 작품에 나타나는 의식 연구
박지원의 작품에 나타나는 타자의 재현양상 분석
[성과 문화적 재현]대중매체속의 여성의 역할변화
현대 사회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사례
고골의 『초상화』 작품분석 - 악마성을 중심으로 - [악마성의 의미][『초상화』에서 나타나...
초등학교 교과서 읽기. 1학년 1학기 첫째마당 - 배우는 우리, 읽기. 1학년 1학기 넷째마당 - ...
2015년 2학기 언어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A형(외적언어학 또는 인접과학과 언어학의 관계)
박씨전에 나타나는 가부장적 체제의 여성 리더십
수학놀이활동을 위한 유아와 교사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논하고 유아-교사간의 수학활동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