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연구의 필요성
2.연구 범위와 목적
-놀이 문화에대한 신학적 해석
1.대중여가와 놀이 신학
2.여가와 놀이에 대한 신학적 해석
1)robert ree의 종교와 여가
2)하이비 콕스의 바보들의 축제
3)호이징거의 호모투렌스
4)
5)
-놀이 문화와 교회
1.놀이문화와 여가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2.교회에 엄습한 빗나간 대중문화 비판
-밝고 건전한 놀이 문화를 위한 교회의 역할
-결론
1.연구의 필요성
2.연구 범위와 목적
-놀이 문화에대한 신학적 해석
1.대중여가와 놀이 신학
2.여가와 놀이에 대한 신학적 해석
1)robert ree의 종교와 여가
2)하이비 콕스의 바보들의 축제
3)호이징거의 호모투렌스
4)
5)
-놀이 문화와 교회
1.놀이문화와 여가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2.교회에 엄습한 빗나간 대중문화 비판
-밝고 건전한 놀이 문화를 위한 교회의 역할
-결론
본문내용
고 인적자원이 필요한가 등등 많은 연구와 노력에 의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적극적으로 각 지역에 있는 교회가 이 일을 위하여 앞장서서 추진해 나가야만 진행이 가능하리라 본다.
2. 교회와 놀이문화에 따른 연구 그리고 정책
우리나라 전국에 교회의 수가 약3만 여개에 달하고 있다.그리고 건전놀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자원과 그 가능성을 어느 지역 단체보다도 높다고 본다.
결국 교회가 이 일을 위해 주도하는 입장에 서야 한다면 그것은 교회에서 당회의 놀이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고 거기에 따른
정책 수립이 세워져야 한다. 놀이문화에 대한 신학적인 정립과
목회자의 적극적인 이해와 당회의 결정 놀이 문화에 따른 전문기구의 조직 예산 확보와 프로그램 진행등 일련의 과제가 교회 조직내에서 공식적으로 집행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Ⅴ. 결 론
지금까지 놀이문화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놀이문화는 외국에선 이미 오래 전에 연구가 되어져 정착이 되어져 가고 있는 방면에 한국의 신학계에서는 여기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저 외국에 이미 정착되어 있는 놀이 문화를 겨우 도입하여 사용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교회들은 놀이에
대한 바른 사고를 가지고 연구해서 우리 문화에 맞는 놀이들이 개발되어져 사용 되어져야 할 것이다.
놀이는 삶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 삶에 미치는 이 놀이는 다양한데 크게는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삶을 살지게 하는 건전한 놀이 문화가 있는가 하면 개인과 가정까지 멍들게 하는 불건전한 놀이문화도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건전한 놀이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개발하여서 건전치 못한 놀이 문화로 병들고 있는 이 사회를 개혁해 나아 가야겠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에 놀이문화연구위원회를 두어서 전문인을 양성하여 교회의 안밖으 로 성실히 일 할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이 필요 하겠다.
이렇게 될 때 교회의 성도는 오염된 놀이에서 눈을 돌릴 수가 있겠고 주어진 여가를 선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도 주어져서 개인과 가정과 교회가 새롭게 태어날 줄 믿는다. 놀이문화를 개발하는 교회가 되자.
참 고 문 헌
1. 손 봉 호 , 휴식과 노동 ( 서울 기윤실 본부 ) 1990. 19호
2. 이 영 민 , 여가 교회. 레크레이션 ( 서울 , 예루살렘 1990 )
3. J 호이징거, 호모루덴스
( 서울 도서출판까치 1993 제판 김유수역 )
4. 심 일 섭, 여가와 놀이의 신학적이해
( 서울,기독교서회, 기독교사상 1968 .8 )
5. 동아 영한 사전 ( 서울 , 동아출판사 )
6. 엣센스 국어사전 ( 서울 민중서관 )
7. 전 택 부,한국인의 여가 생활
(서울,기독교서회 1968.8 기독교사상 )
8. 하이버콕스 , 바보제( 서울 현대사상사 1989 제10판 김천배역 )
9. 리차드리이버, 그리스도와 문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17판 )
10.신 국 원,신자가 될 것이냐 학자가 될 것이냐
(서울,나침반사 1985 )
11.G I 윌리암슨,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강해
(서울,개혁주의신행협회 1985 )
12. G I 윌리암슨, 소요리문답 강해
(서울,개혁주의신행협회 1990. 9판 )
13. 허 순 길, 주일에 놀이는 가능한가
( 부산 월간고신사 1990. 10월 )
14. 이 한 빈, 즐거운 놀이문화를 즐기는 크리스챤
( 서울 두란노 1990 7월호 ) 빛 과 소금
15. 방 선 기, 대중속에 그리스도인 ( 서울 나침반사 1993 )
16. 사회문제자료1집 ( 부산. 부산기윤실본부 1992 )
17. 강 승 철, 망국병 고스톱을 멈춰라
( 부산 월간고신사 1990. 10 )
18. 박 동 삼, 바른놀이문화를 위한 교회의 역활
( 서울 , 기독교서회 1988. 8) 기독교 사상.
목 차
Ⅰ.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범위와 목적 -------------------------------
Ⅱ.놀이문화에 대한 신학적 해석 --------------------
1. 대중여가와 놀이신학 ---------------------------
2. 여가와 놀이에 대한 신학적 해석 ----------------
1) Robert Ree의 종교와 여가 ---------------------
2) 하이비 콕스의 바보들의 축제 -------------------
3) 호이징거의 호모루렌스 -------------------------
4) 리차드 리아버의 그리스도와 문화 --------------
5) 주일과 놀이와의 관계 --------------------------
Ⅲ.놀이 문화와 교회 -------------------------------
1. 놀이문화와 여가에 대한 기독교의입장 ------------
1) 놀이문화와 교회교육과의 관계 ------------------
2) 놀이문화 프로그램 연구기관과 교회 -------------
2. 교회에 엄습한 빗나간 대중문화 비판 -------------
1) 고 스 톱 --------------------------------------
2) 비디오 문화 -----------------------------------
3) 록 음악 ---------------------------------------
Ⅳ.밝고 건전한 놀이문화를 위한 교회의 역활 ---------
1. 밝고 건전한 놀이문화와 교회의 역활 -------------
1) 놀이문화와 그 대상 ----------------------------
2) 놀이문화의 종류 -------------------------------
3) 놀이문화의 조직 -------------------------------
2. 교회와 놀이문화에 따른 연구 그리고 정책 --------
Ⅴ.결 론 -------------------------------------------
참 고 도 서 --------------------------------------
여기서 적극적으로 각 지역에 있는 교회가 이 일을 위하여 앞장서서 추진해 나가야만 진행이 가능하리라 본다.
2. 교회와 놀이문화에 따른 연구 그리고 정책
우리나라 전국에 교회의 수가 약3만 여개에 달하고 있다.그리고 건전놀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자원과 그 가능성을 어느 지역 단체보다도 높다고 본다.
결국 교회가 이 일을 위해 주도하는 입장에 서야 한다면 그것은 교회에서 당회의 놀이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고 거기에 따른
정책 수립이 세워져야 한다. 놀이문화에 대한 신학적인 정립과
목회자의 적극적인 이해와 당회의 결정 놀이 문화에 따른 전문기구의 조직 예산 확보와 프로그램 진행등 일련의 과제가 교회 조직내에서 공식적으로 집행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Ⅴ. 결 론
지금까지 놀이문화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놀이문화는 외국에선 이미 오래 전에 연구가 되어져 정착이 되어져 가고 있는 방면에 한국의 신학계에서는 여기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저 외국에 이미 정착되어 있는 놀이 문화를 겨우 도입하여 사용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교회들은 놀이에
대한 바른 사고를 가지고 연구해서 우리 문화에 맞는 놀이들이 개발되어져 사용 되어져야 할 것이다.
놀이는 삶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 삶에 미치는 이 놀이는 다양한데 크게는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삶을 살지게 하는 건전한 놀이 문화가 있는가 하면 개인과 가정까지 멍들게 하는 불건전한 놀이문화도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건전한 놀이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개발하여서 건전치 못한 놀이 문화로 병들고 있는 이 사회를 개혁해 나아 가야겠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에 놀이문화연구위원회를 두어서 전문인을 양성하여 교회의 안밖으 로 성실히 일 할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이 필요 하겠다.
이렇게 될 때 교회의 성도는 오염된 놀이에서 눈을 돌릴 수가 있겠고 주어진 여가를 선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도 주어져서 개인과 가정과 교회가 새롭게 태어날 줄 믿는다. 놀이문화를 개발하는 교회가 되자.
참 고 문 헌
1. 손 봉 호 , 휴식과 노동 ( 서울 기윤실 본부 ) 1990. 19호
2. 이 영 민 , 여가 교회. 레크레이션 ( 서울 , 예루살렘 1990 )
3. J 호이징거, 호모루덴스
( 서울 도서출판까치 1993 제판 김유수역 )
4. 심 일 섭, 여가와 놀이의 신학적이해
( 서울,기독교서회, 기독교사상 1968 .8 )
5. 동아 영한 사전 ( 서울 , 동아출판사 )
6. 엣센스 국어사전 ( 서울 민중서관 )
7. 전 택 부,한국인의 여가 생활
(서울,기독교서회 1968.8 기독교사상 )
8. 하이버콕스 , 바보제( 서울 현대사상사 1989 제10판 김천배역 )
9. 리차드리이버, 그리스도와 문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17판 )
10.신 국 원,신자가 될 것이냐 학자가 될 것이냐
(서울,나침반사 1985 )
11.G I 윌리암슨,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강해
(서울,개혁주의신행협회 1985 )
12. G I 윌리암슨, 소요리문답 강해
(서울,개혁주의신행협회 1990. 9판 )
13. 허 순 길, 주일에 놀이는 가능한가
( 부산 월간고신사 1990. 10월 )
14. 이 한 빈, 즐거운 놀이문화를 즐기는 크리스챤
( 서울 두란노 1990 7월호 ) 빛 과 소금
15. 방 선 기, 대중속에 그리스도인 ( 서울 나침반사 1993 )
16. 사회문제자료1집 ( 부산. 부산기윤실본부 1992 )
17. 강 승 철, 망국병 고스톱을 멈춰라
( 부산 월간고신사 1990. 10 )
18. 박 동 삼, 바른놀이문화를 위한 교회의 역활
( 서울 , 기독교서회 1988. 8) 기독교 사상.
목 차
Ⅰ.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 범위와 목적 -------------------------------
Ⅱ.놀이문화에 대한 신학적 해석 --------------------
1. 대중여가와 놀이신학 ---------------------------
2. 여가와 놀이에 대한 신학적 해석 ----------------
1) Robert Ree의 종교와 여가 ---------------------
2) 하이비 콕스의 바보들의 축제 -------------------
3) 호이징거의 호모루렌스 -------------------------
4) 리차드 리아버의 그리스도와 문화 --------------
5) 주일과 놀이와의 관계 --------------------------
Ⅲ.놀이 문화와 교회 -------------------------------
1. 놀이문화와 여가에 대한 기독교의입장 ------------
1) 놀이문화와 교회교육과의 관계 ------------------
2) 놀이문화 프로그램 연구기관과 교회 -------------
2. 교회에 엄습한 빗나간 대중문화 비판 -------------
1) 고 스 톱 --------------------------------------
2) 비디오 문화 -----------------------------------
3) 록 음악 ---------------------------------------
Ⅳ.밝고 건전한 놀이문화를 위한 교회의 역활 ---------
1. 밝고 건전한 놀이문화와 교회의 역활 -------------
1) 놀이문화와 그 대상 ----------------------------
2) 놀이문화의 종류 -------------------------------
3) 놀이문화의 조직 -------------------------------
2. 교회와 놀이문화에 따른 연구 그리고 정책 --------
Ⅴ.결 론 -------------------------------------------
참 고 도 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