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회사업의 모형개발과 실천과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언

Ⅱ. 교회사회사업과 일반사회사업의 관계모형

Ⅲ. 교회사회사업의 실천과 과제모형
1. 교회사회사업 실천모형
2. 교회사회사업 과제모형
1) 이론적 배경 : 문제해결모델(Problem-Solving Model)
2) 문제해결모델의 특성
3) 문제해결모델의 구성요소
3. 교회사회사업과의 접목을 통한 개괄적 과제모형
4. 교회사회사업 과제모형의 분광(Spectrum)
5. 분광체들의 실천과제
1) 교회사회사업의 동기유발
(1) 신학적 차원
(2) 신앙적 차원
2) 교회사회사업의 능력고취
(1) 교육적 차원
(2) 프로그램 차원
3) 교회사회사업의 기회제공
(1) 법적인 차원
(2) 정책적인 차원

Ⅳ. 결 언

본문내용

위해서는 동기유발과 능력고취, 기회제공의 3박자가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며 실천되어야 한다.
동기부여부분에서는 교회사회사업의 정서적 배경인 신학적인 차원과 신앙적인 차원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능력고취에서는 교회사회사업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능력증진을 위한 교육적인 차원과 프로그램 차원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기회제공측면에서는 교회사회사업의 장을 넓히기 위한 법적인 차원과 정책적인 차원에서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3가지 차원들이 조화를 이루며 한국교회의 사회사업이 접근될 때 활성화의 폭이 극대화 될 것이다.
한국교회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제 교회가 지역사회와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사회로부터 외면당하는 교회는 더 이상 교회로서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다. 또한 지역사회로부터 멀어진 교회는 더 이상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
이는 마치 물고기가 물이 없으면 생존할 수 없듯이, 교회는 그 지역사회가 있기에 존재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교회사회사업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교회 내부적으로는 현재의 선교적 위기를 극복하고, 교회 갱신의 도구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며, 성도들의 신앙실천과 성숙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교회 외부적으로는 지역사회속에서 교회의 공신력을 회복하고 지역사회센터로서의 역할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중심에 설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교회사회사업의 실천이 지역사회의 압력이나 외부의 요구에 의하여 교회들이 마지못해 응하는 폐쇄적이며 수동적인 모습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교회가 지역사회에 끌려 다녀서는 안 되며, 지역사회를 한발 앞서서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 교회는 지역사회문제해결에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명백한 근거가 존재하고 이의 역할을 창조적으로 수행할 조직과 자원 그리고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제 한국교회의 클라이막스는 교회사회사업실천에 있다고 본다. 이는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교회사회사업을 실천하느냐의 여부가 한국교회의 재도약과 맞물려있다는 것이다.
한국교회가 교회사회사업이 교회의 본질적 기능임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인지하고, 필자가 제안한 교회사회사업 과제모형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때, 이 땅에 평화로운 삶이 펼쳐 질 것이며, 더불어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창조질서가 유지되고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는 복지사회에 한발짝 가까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고양곤, "한국기독교 사회복지의 전망과 발전방향", 「기독교와 사회복지」, 서울: 홍익재, 2001.
김기원,「기독교 사회복지론」서울: 대학출판사, 1998.
김덕준,「기독교 사회복지」, 한국기독교사회복지학회, 1987.
김덕환·김인, "한국디아코니아의 활성화와 실천과제", 김용복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한일장신대학교출판부, 1998.
김미숙외, 「종교계의 사회복지활동 현황과 활성화 방안」,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1999.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서울: 학지사, 2001.
김용복,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총회사회부·한일장신대학교, 1993.
김재환, "교회사회사업 교과과정개발", 한국교회사회봉사연구소, 2000.
박영호,「기독교와 사회사업」, 예수교 문서선교회, 1979.
박종삼「교회사회봉사이해와 실천」, 서울: 인간과 복지, 2000.
사랑의 교회사회복지재단·한국교회사회봉사연구소, "복지재단설립 및 운영의 실제", 교회사회사업아카데미, 2001.
서영일,「교회와 국가」, 기독교 문서선교회, 1984.
양옥경외, 「사회복지실천론」, 서울:나남출판, 2000.
유장춘, "99년 교회사회봉사부분 목회계획수립을 위한 웨샵", 대한예수교장로회 대전 서노회 사회부, 1999.
유장춘, "미국신학교의 교회사회사업교과내용", 한국교회사회봉사연구소, 2000.
이장식, 「기독교와 국가」,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1.
이종성, "칼빈의 경제관", 「한국교회재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전망사, 1985.
장인협, 「사회사업실천방법론(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전재일·김상규, 「개별사회사업」, 서울: 형설출판사, 1996.
전재일외,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1.
조흥식, "교회건물 개방과 지역사회복지",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사회복지위원회 창립 세미나, 2000.
총회사회부, 「교회의 사회복지시설 설립지침서」, 1995.
최무열, 「한국교회와 사회복지」, 서울: 도서출판나눔의 집, 1999.
한국기독교문화진흥원편, 「교회와 국가」, 서울: 한국기독교 문화진흥원, 1988.
Compton, B. R. & Galaway, B, Social Work Processes, 5th ed., Belmont: Wadsworth, 1994.
Gate. B, Social Program Administrati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Poli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0.
Nicholas Lossky (eds.), Dictionary of the Ecumenical Movement, WCC Publications, 1991.
Perlman. H. H, "The Functional Approach to Casework", in Robert. R. W. & Nee(eds.) R. H, Theories of social casework,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Perlman. H. H, "The problem-solving model in social casework", in Robert. R. W. & Nee(eds.) R. H, Theories of social casework,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2.
Perlman. H. H, Social Casework: A Problem-Solving Proces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Pincus. A. & Minahan. A, Social work Practice, Itasca: Peacock, 1977.
  • 가격4,9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4.05.01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