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인플레이션의 정의와 유형
2.인플레이션의 경제적 효과
3.인플레이션의 원인
4.필립스 곡선
5.스태그 플레이션
2.인플레이션의 경제적 효과
3.인플레이션의 원인
4.필립스 곡선
5.스태그 플레이션
본문내용
성의 증가율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화론자들은 앞서의 주장으로 비용 인상설을 부인한다.
VI . 필립스 曲線
영국의 필립스(A.W Philips)는 아주 흥미로운 실증적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관한 논의는 뒤로 돌린 채 영국의 경제 통계로부터 임금 상승율과 실업율 사이에 매우 안정적인 逆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식은 그의 이름을 따서 필립스 곡선이라고 한다. 이것은 후에 립시(R.Lipsey)의 수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율과 실업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것을 수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P OVER P = Pt-P(t-1) over P(t-1) = f(u-u*)
단, f'< 0
여기서
dP OVER P
는 물가 상승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u*는 완전 고용수준에서 존재하는 마찰적 실업율 또는 자연 실업율을 의미한다. 한편 u는 실제 실업율을 의미하므로 u-u*는 노동의 초과 공급을 나타낸다. f는
노동의 초과 공급과 물가 상승율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로써 f' < 0 이라는 조건은 노동의 초과 공급
과 물가 상승율간에 역의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즉 실업율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율이 높으며 반대로
물가상승율이 낮을 수록 실업율은 높다. 필립스 곡선은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
의 모순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정책 결정자는 필립스 곡선상에서 최적 수준의 물가상승율과 실
업율을 선택할 것이다
V . 스태그플레이션
경제가 호황국면에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생산과 고용이 증가하고 물가도 상승한다. 불황국면에 있을 때는 생산과 고용이 정체 또는 감소하고 물가도 보합세이거나 또는 하락한다.그런데 1970년대 중반에는 경제가 불황국면에 빠져 생산과 고용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도 물가는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즉 불황(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동시에 일어났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에 볼 수 없었던 현상이기 때문에 두 단어를 합성해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신조어를 만들어 내었다. 종래의 경제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현상을 총수요/총공급 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설명할 수 있다.
1974년에 OPEC가 원유가격을 대폭 인상함으로써 에너지 가격 , 플라스틱 가격 , 합성 고무 가격 , 비료가격 , 기타 수십 가지의 석유 제품 가격들이 크게 상승하였고 곡물 생산의 대흉작으로 인한 식료품 가격의 대폭등 supply shock가 총공급을 감소시켰기에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난 것이다.
프리드만을 주축으로 하는 통화론자들은 다른 측면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을 설명하고 있다. 정부가 무리하게 실업율을 자연실업율 이하로 낮추고자 확장적 재정/금융정책을 시행하였기에 그 후유증으로서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
참조 문헌
박홍립 , 경제학 원론 , 박영사 1992
조순,정운찬 , 경제학원론 , 법문사 1991
그러나 통화론자들은 앞서의 주장으로 비용 인상설을 부인한다.
VI . 필립스 曲線
영국의 필립스(A.W Philips)는 아주 흥미로운 실증적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관한 논의는 뒤로 돌린 채 영국의 경제 통계로부터 임금 상승율과 실업율 사이에 매우 안정적인 逆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경험적 관계식은 그의 이름을 따서 필립스 곡선이라고 한다. 이것은 후에 립시(R.Lipsey)의 수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율과 실업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것을 수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P OVER P = Pt-P(t-1) over P(t-1) = f(u-u*)
단, f'< 0
여기서
dP OVER P
는 물가 상승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u*는 완전 고용수준에서 존재하는 마찰적 실업율 또는 자연 실업율을 의미한다. 한편 u는 실제 실업율을 의미하므로 u-u*는 노동의 초과 공급을 나타낸다. f는
노동의 초과 공급과 물가 상승율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로써 f' < 0 이라는 조건은 노동의 초과 공급
과 물가 상승율간에 역의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즉 실업율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율이 높으며 반대로
물가상승율이 낮을 수록 실업율은 높다. 필립스 곡선은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
의 모순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정책 결정자는 필립스 곡선상에서 최적 수준의 물가상승율과 실
업율을 선택할 것이다
V . 스태그플레이션
경제가 호황국면에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생산과 고용이 증가하고 물가도 상승한다. 불황국면에 있을 때는 생산과 고용이 정체 또는 감소하고 물가도 보합세이거나 또는 하락한다.그런데 1970년대 중반에는 경제가 불황국면에 빠져 생산과 고용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도 물가는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즉 불황(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동시에 일어났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에 볼 수 없었던 현상이기 때문에 두 단어를 합성해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신조어를 만들어 내었다. 종래의 경제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현상을 총수요/총공급 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설명할 수 있다.
1974년에 OPEC가 원유가격을 대폭 인상함으로써 에너지 가격 , 플라스틱 가격 , 합성 고무 가격 , 비료가격 , 기타 수십 가지의 석유 제품 가격들이 크게 상승하였고 곡물 생산의 대흉작으로 인한 식료품 가격의 대폭등 supply shock가 총공급을 감소시켰기에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난 것이다.
프리드만을 주축으로 하는 통화론자들은 다른 측면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을 설명하고 있다. 정부가 무리하게 실업율을 자연실업율 이하로 낮추고자 확장적 재정/금융정책을 시행하였기에 그 후유증으로서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
참조 문헌
박홍립 , 경제학 원론 , 박영사 1992
조순,정운찬 , 경제학원론 , 법문사 1991
추천자료
중국경제와동북아경제협력의이해
(한국경제의이해A형)1960-1970년대 한국경제에 대한 고찰
[경제위기][빈곤층][소득격차 심화][소득분배][소득분배정책]경제위기와 빈곤층 증가, 소득격...
[세계경제론]러시아의 경제적인 잠재력과 장애요인들을 설명하고 최근 주변국과 자주 일어나...
중국, 베트남 경제개방 모형 분석을 통한 북한 경제개방 모델 탐색
[한국경제] 저성장 늪에 빠진 한국 경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한국경제] 저성장 늪에 빠진 한국 경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보고서
[경제]유가변동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경제]중국경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보고서
[중국경제]중국경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PPT
디플레이션과 세계경제 그리고 한국경제
[일본경제] 일본경제에 대한 분석과 전망 보고서
[일본경제] 일본경제에 대한 분석과 전망.PPT자료
[기초미시경제론 공통] 1. 유가하락이 여러분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2. 단기비용곡선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