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공직인사상 여성차별 철폐를 위한 외국정부의 사례
1)여성차별 철폐를 위한 적극적 조치의 배경
2)외국정부의 적극적 조치의 사례
3.우리나라 여성공무원의 현황과 공직인사상 차별실태
1)「남녀고용평등」실현을 위한 법제도적 장치
2)여성공무원의 임용현황
3)공직인사상의 여성차별실태에 대한 인식
4.공직인사상 여성차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2.공직인사상 여성차별 철폐를 위한 외국정부의 사례
1)여성차별 철폐를 위한 적극적 조치의 배경
2)외국정부의 적극적 조치의 사례
3.우리나라 여성공무원의 현황과 공직인사상 차별실태
1)「남녀고용평등」실현을 위한 법제도적 장치
2)여성공무원의 임용현황
3)공직인사상의 여성차별실태에 대한 인식
4.공직인사상 여성차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켜지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분석할 필요가 있다. 특
히 상위직으로의 여성공무원의 승진에 있어서 인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
하고 장애요인을 교정할 수 있는 'Glass Ceiling Commission'의 구성이 필요
하다. 그리고 상사의 여성공무원에 대한 상투적인(Stereo-type) 시각이나 편견
은 공평한 인사평가의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정부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
을 제약한다는 사실을 관리자가 인식하여야 한다. 정부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
용이라는 관점에서 여성공무원이 일하기 쉬운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여
성에 의한 고충·상담창구의 설치와 성희롱(Sexual Harrassment) 방지를 위한
대책과 교육연수를 시행할 것이 요청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직사회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있어서 여성차별의 철폐와 임용
기회의 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제도적 변화와 개혁이 필요하며 여성임용의
확대를 위한 적극적 조치에 대한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가 필요하다. 적극
적 조치(Affirmative Action)를 단순히 채용의 도구(tool)로서만 인식할 것이 아니
라 보다 광범위한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인식하여야 한다(Riccucci,1991).
따라서 여성을 채용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승진, 유연한 근무형태, 자녀육성지원(child care assistance) 프로그램의 개발
등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여성공무원의 필요와 이해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다양
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들 정책(프로그램)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권경득(1999). 여성의 공직임용 기회의 확대 방안. 「충남여성」, 겨울호, 18-23.
(1997). 한국 대표관료제의 성찰과 전망. 한국정치학회(편)(1997). 「한국
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 서울: 법문사. 501-530.
김복규·강세영(1999). 지방여성공무원의 고용실태와 평등고용 촉진에 관한 연구:
대구시 사례. 「한국행정학보」, 33(2): 183-198.
김선욱·김명숙(1994). 「여성 일정비율 할당제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
원 연구보고서 200-6.
김선욱·윤덕경·김명숙·임보영(1995). 「여성공무원의 평등고용 실천 촉진방
안」.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3.
김원홍·김은경·김혜영(1999). 「여성공무원 보직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여성
개발원 연구보고서 210-7.
김판석·권경득(1999).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제도 개혁. 「한국행정학보」,
33(1): 99-118.
김판석·배득종·김영미(1999). 「관리직 여성공무원 육성방안 연구」. 행정자치
부 연구용역보고서.
박숙자(1999). 행정관리직 여성공무원의 일과 삶의 질. 「여성의 일과 삶의 질」.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윤미정(1996). 「여성공무원의 지위향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효영(1997). 여성공무원의 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공주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1995). 「여성의 사회활동실태 국제비교」.
통계청(199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충청남도(1999). 「충남여성통계」.
한국여성개발원(1999). 「1998 여성통계연보」.
한정자·김선욱·김원홍·김영혜·김동령(1993). 「각국의 공적 부문에 있어서의
여성차
별철폐조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3.
행정자치부(1999a). 「공직부문 여성정책 안내서」.
(1999b). 「여성발전기본계획」.
(1998a). 「통계연감」.
(1998b). 「공직사회의 여성정책 및 남녀평등의식 조사 결과보고서」.
(1998c). 「공직사회의 여성정책 및 남녀평등의식 조사 기본통계표」.
Carnevale, Davis G.(1991). Recruitment Strategies in the Federal
Government: Missing Links and Representative Bureaucracy.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11: 112-120.
Guy Mary E. and Meredith A. Newman(1998). Toward Diversity in the
Workplace. in Stephen E. Condrey(ed.).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Publishers.
Hudson Institute(1988). Opportunity 2000: Creative Affirmative Action
Strategies for a Changing Workforce.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Labor. Nigro, Lioyd G.(1974). Some Concluding Observation: A
Mini-symposium:Affirmative Action in Public Employ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4(3): 245-246.
Reskin Barbara F. and Debra Branch McBrier(1995). Recent
Trend in Gender Inequality Among US Workers and Prospects
for the Year 2000 and Beyond. Asian Women, 1: 75-102.
Riccucci, Norma M.(1991). Affirmative Ac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w approaches and Developments. in Carolyn Ban
and Norma M. Riccucci(1991).
Public Personnel Management: Current Concerns-Future Challenges.
White Plains, NY: Longman Publishing Group.
히 상위직으로의 여성공무원의 승진에 있어서 인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
하고 장애요인을 교정할 수 있는 'Glass Ceiling Commission'의 구성이 필요
하다. 그리고 상사의 여성공무원에 대한 상투적인(Stereo-type) 시각이나 편견
은 공평한 인사평가의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정부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용
을 제약한다는 사실을 관리자가 인식하여야 한다. 정부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활
용이라는 관점에서 여성공무원이 일하기 쉬운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여
성에 의한 고충·상담창구의 설치와 성희롱(Sexual Harrassment) 방지를 위한
대책과 교육연수를 시행할 것이 요청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공직사회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있어서 여성차별의 철폐와 임용
기회의 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제도적 변화와 개혁이 필요하며 여성임용의
확대를 위한 적극적 조치에 대한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가 필요하다. 적극
적 조치(Affirmative Action)를 단순히 채용의 도구(tool)로서만 인식할 것이 아니
라 보다 광범위한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인식하여야 한다(Riccucci,1991).
따라서 여성을 채용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승진, 유연한 근무형태, 자녀육성지원(child care assistance) 프로그램의 개발
등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여성공무원의 필요와 이해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다양
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들 정책(프로그램)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권경득(1999). 여성의 공직임용 기회의 확대 방안. 「충남여성」, 겨울호, 18-23.
(1997). 한국 대표관료제의 성찰과 전망. 한국정치학회(편)(1997). 「한국
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 서울: 법문사. 501-530.
김복규·강세영(1999). 지방여성공무원의 고용실태와 평등고용 촉진에 관한 연구:
대구시 사례. 「한국행정학보」, 33(2): 183-198.
김선욱·김명숙(1994). 「여성 일정비율 할당제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
원 연구보고서 200-6.
김선욱·윤덕경·김명숙·임보영(1995). 「여성공무원의 평등고용 실천 촉진방
안」.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3.
김원홍·김은경·김혜영(1999). 「여성공무원 보직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여성
개발원 연구보고서 210-7.
김판석·권경득(1999).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제도 개혁. 「한국행정학보」,
33(1): 99-118.
김판석·배득종·김영미(1999). 「관리직 여성공무원 육성방안 연구」. 행정자치
부 연구용역보고서.
박숙자(1999). 행정관리직 여성공무원의 일과 삶의 질. 「여성의 일과 삶의 질」.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윤미정(1996). 「여성공무원의 지위향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효영(1997). 여성공무원의 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공주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1995). 「여성의 사회활동실태 국제비교」.
통계청(199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충청남도(1999). 「충남여성통계」.
한국여성개발원(1999). 「1998 여성통계연보」.
한정자·김선욱·김원홍·김영혜·김동령(1993). 「각국의 공적 부문에 있어서의
여성차
별철폐조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3.
행정자치부(1999a). 「공직부문 여성정책 안내서」.
(1999b). 「여성발전기본계획」.
(1998a). 「통계연감」.
(1998b). 「공직사회의 여성정책 및 남녀평등의식 조사 결과보고서」.
(1998c). 「공직사회의 여성정책 및 남녀평등의식 조사 기본통계표」.
Carnevale, Davis G.(1991). Recruitment Strategies in the Federal
Government: Missing Links and Representative Bureaucracy.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11: 112-120.
Guy Mary E. and Meredith A. Newman(1998). Toward Diversity in the
Workplace. in Stephen E. Condrey(ed.).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Publishers.
Hudson Institute(1988). Opportunity 2000: Creative Affirmative Action
Strategies for a Changing Workforce.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Labor. Nigro, Lioyd G.(1974). Some Concluding Observation: A
Mini-symposium:Affirmative Action in Public Employ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4(3): 245-246.
Reskin Barbara F. and Debra Branch McBrier(1995). Recent
Trend in Gender Inequality Among US Workers and Prospects
for the Year 2000 and Beyond. Asian Women, 1: 75-102.
Riccucci, Norma M.(1991). Affirmative Ac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w approaches and Developments. in Carolyn Ban
and Norma M. Riccucci(1991).
Public Personnel Management: Current Concerns-Future Challenges.
White Plains, NY: Longman Publishing Group.
추천자료
(여성학) 여성문제에 대해서
[여성학]한국 사회 구조와 여성문제 성차와 성역할의 사회화
여성학 - 일상 언어와 여성
[장애인 복지]장애 여성의 성 인식 실태와 성차별 및 성폭력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
[여성학] 새로운 사회운동으로서 여성운동의 전개
여성학 시험문제
[노동조합][여성노동자][노동조합과 성차별해소][여성노동자의 성차별 사례]노동조합의 역사,...
[여성단체][여성노동자][여성노동자 성차별][여성노동운동]여성단체의 변화, 여성노동자의 성...
여성학 수업을 들으면서 그 동안 자신의 삶, 생각의 변화에 대해서
여성학 생물학적인 성(sex)과 사회적인 성(gender)
여성학 시험대비 자료 총 정리
여성학의 학문적 특성에 기초해서 한국사회에서 여성학이왜필요한지에 대해논하시오
가족생활교육의 기초이론인 여성학적 이론에 대해 서술 [여성학적 이론]
[한국사회문제 E형]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여러 차별과 불평등 가운데 사회문제로서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