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의 원인과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머리말

2.본문
-한국전쟁 발발-
-한국전쟁원인-
전통주의 학파
수정주의 학파
국제적요인
국내적요인
-한국전쟁의 영향-
국내적인 영향
국제적인 영향

-맺음말-

본문내용

제는 전쟁을 거치면 서 황폐화되어 미국의 경제 원조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모든 경제적인 행위가 미국의 경제적인 원조 없이는 이루어 질 수 없었기 때문에 미국의 강한 영향력의 그늘에 놓이게 되었고 이러한 종속은 오랫동안 계속되어 오고 있다.
국제적인 영향
한반도에서 일어난 이 전쟁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대결이었다. 결론적으로 한반도 분단의 냉전의 산물인 동시에 심화요인이기도 하다. 한국전쟁은 이러한 질서 재편기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냉전 고착화의 한 뚜렷한 계기로서 작용하였다. 소련과 중국은 자본주의권으로부터 마치 악과 침략의 소굴인 것처럼 공격당하였고 사회주의 국가들은 모두 소련의 지시를 받고 그들의 세계 전략을 집행하는 위성국가이거나 괴뢰국가인 것처럼 인식되어 졌다. 미국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세계적인 반소·반공의 벽을 더욱 강경하게 구축하고자 원조·지역통합·상호방위체제의 확립을 통해 비사회주의 국가들에 대한 정치·경제·군사적 지 배체제 구축을 더욱 가속화해 나갔다. 수많은 지역별 국제 기구가 만들어졌으며 개별 국가의 동맹 체제 구축이 강화되었다. 반공 정권들에 대한 원조가 증가하였고 각 지역에 친미 정권을 수립하기 위한 지원이 강화되었다. 원조의 내용도 경제 원조보다는 군 사 원조가 주류를 이루었다. 일본과 서독의 재무장이 추진되어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독일과 일본을 거점으로 하는 미국 중심의 안보체제가 구축되었다. 미국의 국내정치는 보수화되어 미국은 20년만에 공화당 정권이 들어섰다. 사회도 보수화 되어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상식을 존중한다는 사회에서 양심과 표현의 자유를 극도로 탄압하고 억압하는 광적인 메카시즘이 짧은 기간이 나마 전 사회를 지배했고 무엇보다 미국은 군비를 엄청나게 증가하였고 그 결과 경제는 회복되었고 군사 기술과 무기의 개발이 촉진되었다. 그리고 전쟁의 결과로 인해 남한은 소련권에 대항하는 미군의 현지군 역할을 대신하는 자본주의 체제 유지의 국가로의 성격을 강하게 띠기 시작하였다. 남한은 군사원조를 해주면서 동아시아에서 소·중·북의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미·일·한의 체제를 유지해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결국 남·북의 대결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간의 세계적 수준의 냉전은 물론 '동아시아 사회주의 소구제 체제'와 '동아시아 자본주의 수국제 체제'와의 대경의 반영이자 그 최전방의 첨병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의 최대의 수해자는 일본이었다. 전쟁의 배후 기지 역할을 한 일본의 경제는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붕흥하여 전쟁이 끝나기도 전에 전쟁전의 수준을 회복했고 미국과의 조약체결로 인해 인류에 커다란 재앙을 가져다 준 전범국 일본은 다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하였고 미국의 안보 우산아래 자국의 안전을 보장받았다. 이러한 조치들로 인하여 일본은 아시아의 반공의 핵으로 부상하였고 전쟁이 끝난 지 한 세대가 지난 후 세계제일의 경제대국이 되어 군국주의 침략의 발길을 경제 침략으로 바꿔 다시 세계를 제패해 나갈 꿈을 키워나가게 될 수 있었다. 이처럼 일본의 식민지배로 인하여 분단이 되었고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간 전쟁까지 치렀음에도 불구하고 그 전쟁으로 인하여 일본이 최대의 수혜자가 되었다는 사실은 역사의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맺음말
1950년 6월 25일 발발하여 3년 뒤 7월 27일 휴전 협정으로 막을 내린 6·25전쟁은 잠정적일 수 있었던 한반도의 분단 상황을 지금까지 지속되게 하였다. 전쟁의 결과 양 체제는 각각 소련 주도의 사회주의권과 미국 주도하의자본주의 진영으로 편입되어 냉전의 최첨단 보루로 세계적 냉전이 끝난 지금까지도 긴장 상태를 계속하고 있다. 남북한의 양 진영으로의 편입은 한·미 상호 방위조약과 조·소 우호 협력 및 상호 원조 조약으로 공식화되었다. 전쟁은 국제적으로 냉전 체제를 심화시켰고 국내적으로 분단 체제를 고착시켰다. 2차 대전 이후 미국과 새로운 강대국으로 떠오른 소련은 자신들의 경제적·정치적 이익을 위해서 한반도에서 대립을 하였고, 그 대립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스크바 삼상회의, 미·소 공동위원회 등 여러 방면으로 시도를 하였지만 그러한 시도들은 자신들의 입장만 대변한 것이었지 한반도 내에서 살고 있는 민족들의 입장을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직접적인 당사자들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들의 입장만 내세웠던 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한 채 남과 북을 자신들의 위성국처럼 만들 어 가기 시작하면서 한반도의 분단은 점차 눈앞으로 다가왔고, 미국은 미국 내 여론과 미군정에 대한 남한 내 여론의 비판,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를 낮게 보면서 강압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UN으로 이관시키면서 한반도 문제를 국제적인 문제로 만들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만들었고 결국 자신들의 우위가 보장되어있는 UN에서 한반도 처리에 대해서 결정하고 소련이 이를 거부하면서 결 국 한반도는 분단되고 말았다. 이념적으로 볼 때, 남한에서는 반공 이념이, 북한에서는 반미 사상이 국가와 사회 모두를 지매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전쟁의상처가 남긴 뿌리깊은 적대 의식과 상호 불신감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정부와 국진 양자에 내재한 적대 의식과 불신감은 지금까지 통일 논의가 큰 성과 없이 공전하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이다. 이점에서 6·25전쟁이 분단 고착화에 미친 영향은 엄청나다. 이러한 분단의 고착화는 남침 위협과 미 제국주의자의 침략을 내세운 양 정권의 권력유지 수단으로 악용되어 더욱 굳어졌다. 그 중 에서도 가장 큰 영향은 인명의 피해·물질적인 피해도 있지만 분단의 고착화나 민족적인 이질성을 남겨준 것이 가장 큰 영향이라 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http://library.advanced.org
http://mahan.wonkwang.ac.kr
http://my.netian.com
http://my.dreamwiz.com
http://www.kaisnet.or.kr
http://maincc.hufs.ac.kr
21세기의 남북한 정치 이상민 외 지음 한울 아카데미 2000년
이제는 미국이 대답하라 마틴 하트-랜즈버그 지음 당대 2000년
(고쳐쓴) 한국 현대 정치사 김영명 지음 을유문화사 1999년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03.25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