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 나라의 팀제
2. 우리나라가 팀제를 도입한 배경
3. 팀조직이란
4. 팀 조직을 선호하는 이유
5. 팀제의 특성
6. 구체적 사례 분석 - SK주식회사 인사팀의 팀제 운영
7. 팀의 형태
8. 자율경영팀과 임파워먼트
9. 대부대과제
10. 팀제와 성과급제
11. 팀제 성공의 길
12. 결론
2. 우리나라가 팀제를 도입한 배경
3. 팀조직이란
4. 팀 조직을 선호하는 이유
5. 팀제의 특성
6. 구체적 사례 분석 - SK주식회사 인사팀의 팀제 운영
7. 팀의 형태
8. 자율경영팀과 임파워먼트
9. 대부대과제
10. 팀제와 성과급제
11. 팀제 성공의 길
12. 결론
본문내용
영자들을 팀제 도입과 실시에 따른 강한 의지를 기회있을 때 마다 강조하면서 솔선수범해야 한다.
팀제는 응급처지법이 아닌 인내를 요하는 한방요법이다. 최고경영층은 팀제에 대한 소신과 의식만으로는 팀제 횔성화를 앞당길 수 없다 솔선 수범의 자세로 팀제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한다. 예를 들어 '권한위임'을 지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가 예전과는 달리 실질적 권한을 내주어야 부하직원들이 실감하게 된다.
또한 최고경영층은 단기적이고 구차한 문제에 매달리지 말고 핵심 목표를 설정하여 사원들에게 비전과 대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항상 거시적, 전체적 정보가 모여지는 곳이 최고경영층이게 이곳에서 비전이 잘못 설정된다면 나침반 없는 배가 된다.
2)중간 관리층이 할 일
'팀 리더로 새롭게 변신!' 말은 쉽지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중역이건 부장이건 반장이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감독자 역할을 하던 사람이 팀리더로 변신한다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대개의 리더는 권한 위임을 권력을 뺏기거나 지위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착각한다. 리더들이 권한위임을 꺼리는 또 하나의 이유는 리더의 고유한 역할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인 것 같다. 실제로 팀제가 도입되면서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격으로 감원 열풍이 불고 있다. 권한위임으로 리더가 불필요해지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된다.
권한위임을 제도나 주변사람에 의해 강제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회사의 입장이 위임을 해야만 효율적이라든지 팀원들이 열렬히 바라고 있다면 할 수 없이 해야 되는 것이 권한위임이다. 그러나 현명한 경영자라면 자신의 관리업무를 줄이면서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위임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팀제로 전환하면서 권한위임을 해야 한다는 것은 자발적 위임을 더욱 강조하는 말이다.
3)팀 성공의 핵심요소
①주인의식
독립된 팀으로서 회사로부터 자율권을 대폭 위임받은 뒤 팀워크를 통하여 팀미션을 수행 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될 입장에서는 주인의식의 발로가 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또한 필수 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②프로세스 지향
고객 가치창조에 부합되는 자기완결형 업무처리를 근간으로 직무가 이루어져야 하기에 팀 간의 화합이 자주 있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팀 구성도 프로세스 관점에서 형성되어야 한 다.
③ 팀미션 공유
팀의 목표와 미션은 구성원들 간에 항상 숙지되어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은 일바적이 아 닌 팀원 합의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④원할한 의사소통
프로세스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서는 팀 내부는 물론 팀간의 의사소통과 신속한 의사결정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 갈등과 마찰을 해소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⑤공정한 평가와 보상
성과 측정을 위한 객관적 지표의 개발에 주목하고 팀원들의 창의력을 개발시켜 항상 성과지표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걸맞는 보상이 따르도록 해야 한다.
⑥계층구조의 타파
많은 회사들이 계층구조가 너무 명확하게 되어 있어서 높은 사람이 누구인지, 누구 누구보다 더 높은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사무실 배치가 되어 있다. 이러한 사무실 배치와 같은 기초적인 것부터 개선하여 '벽 없는 팀'을 만들어야 한다.
12.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SK라는 기업을 바탕으로 팀제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우리가 팀제를 조사하면서 느꼈던 점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우선 모든 기업이 팀제를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료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리고 각 기업이 팀제를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만의 고유한 특성이 없었다. 우리가 알고있는 팀제의 일반적인 특징들이 기업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팀제를 왜 도입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기업들은 조직관리의 한 방안으로 팀제를 사용하고 있다. 기업이 조직을 관리하는 이유는 단 한가지,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팀제의 도입도 팀제가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조직 관리의 한 방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팀제가 무조건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은 기업의 특성이나 환경을 파악하여 팀제를 자신의 기업에 맞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응용하여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리고 또한 팀제는 성과급제와 동반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팀의 리더들은 팀 구성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이 조직도 조직관리 방안과 조직의 구성원들이 힘을 합칠 때 효율적인 성과가 나타난다.
기업의 가치는 조직관리 방법만이 변했다고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조직관리 방법의 도입과 함께 고객을 우선시 하는 기업이념이 함께할 때 더 높은 기업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도 기업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조사가 쉽지 않았고 부족한 부분도 많지만 팀제에 대해 과거보다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에 만족하며 이번 리포트를 마치기로 한다.
참고문헌
1997.05.21. 팀 조직에 대하여. LG주간경제 415호
http://oldeconopia.boboskr.com/199709/404/c404-3.html
http://oldeconopia.boboskr.com/199709/404/c404-4.html
http://oldeconopia.boboskr.com/199709/404/c404-6.html
http://www.kra.co.kr/magazine/9901/발언대.htm
http://www.ksa-pork.or.kr/JOURNAL/200103-month/new/new1.html
(성과급 제도의 정의와 필요성. 정안성 부교수. 전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http://www.skcorp.com/company/frame_idea.html
임창희·가제산(1998). 한국형 팀제를 넘어서. 삼성경제연구소. p117~122, p79~188, p261~272
1. 우리 나라의 팀제
2. 우리나라가 팀제를 도입한 배경
3. 팀조직이란
4. 팀 조직을 선호하는 이유
5. 팀제의 특성
6. 구체적 사례 분석 - SK주식회사 인사팀의 팀제 운영
7. 팀의 형태
8. 자율경영팀과 임파워먼트
9. 대부대과제
10. 팀제와 성과급제
11. 팀제 성공의 길
12. 결론
팀제는 응급처지법이 아닌 인내를 요하는 한방요법이다. 최고경영층은 팀제에 대한 소신과 의식만으로는 팀제 횔성화를 앞당길 수 없다 솔선 수범의 자세로 팀제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한다. 예를 들어 '권한위임'을 지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가 예전과는 달리 실질적 권한을 내주어야 부하직원들이 실감하게 된다.
또한 최고경영층은 단기적이고 구차한 문제에 매달리지 말고 핵심 목표를 설정하여 사원들에게 비전과 대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항상 거시적, 전체적 정보가 모여지는 곳이 최고경영층이게 이곳에서 비전이 잘못 설정된다면 나침반 없는 배가 된다.
2)중간 관리층이 할 일
'팀 리더로 새롭게 변신!' 말은 쉽지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중역이건 부장이건 반장이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감독자 역할을 하던 사람이 팀리더로 변신한다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대개의 리더는 권한 위임을 권력을 뺏기거나 지위를 박탈당하는 것으로 착각한다. 리더들이 권한위임을 꺼리는 또 하나의 이유는 리더의 고유한 역할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인 것 같다. 실제로 팀제가 도입되면서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격으로 감원 열풍이 불고 있다. 권한위임으로 리더가 불필요해지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된다.
권한위임을 제도나 주변사람에 의해 강제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회사의 입장이 위임을 해야만 효율적이라든지 팀원들이 열렬히 바라고 있다면 할 수 없이 해야 되는 것이 권한위임이다. 그러나 현명한 경영자라면 자신의 관리업무를 줄이면서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위임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팀제로 전환하면서 권한위임을 해야 한다는 것은 자발적 위임을 더욱 강조하는 말이다.
3)팀 성공의 핵심요소
①주인의식
독립된 팀으로서 회사로부터 자율권을 대폭 위임받은 뒤 팀워크를 통하여 팀미션을 수행 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될 입장에서는 주인의식의 발로가 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또한 필수 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②프로세스 지향
고객 가치창조에 부합되는 자기완결형 업무처리를 근간으로 직무가 이루어져야 하기에 팀 간의 화합이 자주 있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팀 구성도 프로세스 관점에서 형성되어야 한 다.
③ 팀미션 공유
팀의 목표와 미션은 구성원들 간에 항상 숙지되어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은 일바적이 아 닌 팀원 합의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④원할한 의사소통
프로세스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서는 팀 내부는 물론 팀간의 의사소통과 신속한 의사결정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 갈등과 마찰을 해소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⑤공정한 평가와 보상
성과 측정을 위한 객관적 지표의 개발에 주목하고 팀원들의 창의력을 개발시켜 항상 성과지표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걸맞는 보상이 따르도록 해야 한다.
⑥계층구조의 타파
많은 회사들이 계층구조가 너무 명확하게 되어 있어서 높은 사람이 누구인지, 누구 누구보다 더 높은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사무실 배치가 되어 있다. 이러한 사무실 배치와 같은 기초적인 것부터 개선하여 '벽 없는 팀'을 만들어야 한다.
12.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SK라는 기업을 바탕으로 팀제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우리가 팀제를 조사하면서 느꼈던 점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우선 모든 기업이 팀제를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료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리고 각 기업이 팀제를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만의 고유한 특성이 없었다. 우리가 알고있는 팀제의 일반적인 특징들이 기업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팀제를 왜 도입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기업들은 조직관리의 한 방안으로 팀제를 사용하고 있다. 기업이 조직을 관리하는 이유는 단 한가지,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팀제의 도입도 팀제가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조직 관리의 한 방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팀제가 무조건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은 기업의 특성이나 환경을 파악하여 팀제를 자신의 기업에 맞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응용하여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리고 또한 팀제는 성과급제와 동반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팀의 리더들은 팀 구성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이 조직도 조직관리 방안과 조직의 구성원들이 힘을 합칠 때 효율적인 성과가 나타난다.
기업의 가치는 조직관리 방법만이 변했다고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조직관리 방법의 도입과 함께 고객을 우선시 하는 기업이념이 함께할 때 더 높은 기업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도 기업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조사가 쉽지 않았고 부족한 부분도 많지만 팀제에 대해 과거보다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에 만족하며 이번 리포트를 마치기로 한다.
참고문헌
1997.05.21. 팀 조직에 대하여. LG주간경제 415호
http://oldeconopia.boboskr.com/199709/404/c404-3.html
http://oldeconopia.boboskr.com/199709/404/c404-4.html
http://oldeconopia.boboskr.com/199709/404/c404-6.html
http://www.kra.co.kr/magazine/9901/발언대.htm
http://www.ksa-pork.or.kr/JOURNAL/200103-month/new/new1.html
(성과급 제도의 정의와 필요성. 정안성 부교수. 전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http://www.skcorp.com/company/frame_idea.html
임창희·가제산(1998). 한국형 팀제를 넘어서. 삼성경제연구소. p117~122, p79~188, p261~272
1. 우리 나라의 팀제
2. 우리나라가 팀제를 도입한 배경
3. 팀조직이란
4. 팀 조직을 선호하는 이유
5. 팀제의 특성
6. 구체적 사례 분석 - SK주식회사 인사팀의 팀제 운영
7. 팀의 형태
8. 자율경영팀과 임파워먼트
9. 대부대과제
10. 팀제와 성과급제
11. 팀제 성공의 길
12. 결론
추천자료
다국적기업ABB의 조직관리 성공사례
[세무,회계,경제,경영] 인사관리
[인사관리제도][인사관리]사례를 통해 본 인사관리제도의 현황과 과제 및 개선방향(인사관리...
[조직행동][직무만족][피그말리온효과]조직행동의 기본 토대, 조직행동의 구성요소, 조직행동...
[조직행동]조직행동의 개념, 조직행동의 분류, 조직행동과 임파워먼트, 남성편향적 공직문화...
조직시민행동(OCB)의 의의, 조직시민행동(OCB)의 구성요인, 조직시민행동(OCB)의 특징과 내용...
[인사관리][인사][메리어트호텔 인사관리][마루베니주식회사 인사관리][스타벅스 인사관리][...
[인사관리][인사][인사관리 의미][인사관리 중요성][인사관리 기능]인사관리의 의미, 인사관...
[인사관리][인사][인사관리 제도][인사관리 이론][인사관리 전략][인사관리 규정][인사관리 ...
[인사관리시스템][인사관리][인사][맥그리거]인사관리시스템의 의미, 인사관리시스템의 의의,...
[인사관리][인사][직무주의][인사고과][MBO]인사관리의 독립성, 인사관리의 규정, 인사관리의...
[인사관리][인사][능력주의][경영]인사관리의 특징, 인사관리의 배경, 인사관리의 기능, 인사...
[인사관리][인사관리 이동][직능자격제도][인사고과제도]인사관리의 배경, 인사관리의 체계, ...
[인사관리][인사관리 시스템][인사관리 규정][인사관리 제도][인사관리 관행][인사관리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