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및 분류
2. 역학
3. 원인
4. 우울증상
5. 조증증상
6. 우울증의 치료 및 간호
7. 조증의 치료 및 간호
8. 경과 및 예후
2. 역학
3. 원인
4. 우울증상
5. 조증증상
6. 우울증의 치료 및 간호
7. 조증의 치료 및 간호
8. 경과 및 예후
본문내용
1 정도 되도록 투약한다. 대개 lithium 300mg (1 tablet)가 혈중농도를 0.2-0.3 mEq/1 정도 증가시킨다 대개 하루 600-900mg #2~#4 로 시작하여 2-3일 간격으로 증량하여 치료수준에 이르도록 한다. 그러나 치료 용량에 이르러도 lithium 의 치료효과는 대개 2-3 주가 지나야 나타난다.
(3) lithium 은 조증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예방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때에는 혈중농도 0.5-0.9 mEq/1 정도면 효과가 있다.
(4) lithium level check
: 위에서 보듯이 lithium도 항우울제처럼 치료 용량과 중독 용량이 큰 차이가 없다. lithium의 경우도 투약 사고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항상 부작용의 출현에 관심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혈중 농도를 자주 확인하여야 한다.
처음 시작하고 증량하는 동안 : 일주일에 두 번
증량이 끝나면 : 일주일에 혹은 이주일에 한번
유지용량이 확정되면 : 한달에 한번
혈청농도 측정 : 항상 마지막 투여 12시간 후 아침에 하다
(5) lithium 의 부작용
초기
① 오심, 복통, 설사 등의 위장 관계 장애
② 다뇨증 (polyuria)
③ 입마름 (dry mouth)
④ 졸리움 (drowsiness)
⑤ 피로감
⑥ 손의 미세 진전
심한 독성 상태
① 운동실조
② 안구진탕
③ 경련
④ 혼미, 혼수, 사망
장기 치료시 부작용 : 갑상선 비대
(6) lithium 독성시 치료
- 특수한 해독제가 없다
- 투약을 중지 한다.
- fluid를 충분히 공급하고 전해질 장애를 교정한다.
- urea, mannitol 등의 이뇨제를 사용하여 배설을 촉진하다.
3) carbamazepine
lithium을 사용할 수 없거나 (hypothyroidsm, 신장에 이상 등) lithium으로 효과가 없을 때 (refractory, rapid cycling) 사용한다. 혹은 lithium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lithium과 병합 사용하기로 한다. 혈중농도 8-12 ug/ml 로 유지한다
(1) 부작용
혈액학적 부작용 : WBC의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혈소판 감소증 등 대단히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CBC를 확인하여야 한다 (한두달에 한번) 부작용시 즉각 투약을 중지하다
4) Valproic acid (Valpine)
carbamazepine 과 마찬가지 약물이다
8 경과 및 예후
1) 조울병은 주기적으로 발병을 한다 그러나 언제 다시 발병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2) 조울병은 시간만 지나면 치료를 안 해도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다 . 그러나 최소 6개월 내지 9개월이 걸린다. 이렇게 긴 기간 동안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3) 정신분열병과는 달리 일단 정상상태로 돌아오면 기능의 상실이 없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나 간혹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자주 재발하는 조울 정신병이 있다. 이 경우는 항 정신병약물에 반응하는 정신분열병 보다도 그 예후가 오히려 안 좋은 경우도 있다.
(3) lithium 은 조증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예방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때에는 혈중농도 0.5-0.9 mEq/1 정도면 효과가 있다.
(4) lithium level check
: 위에서 보듯이 lithium도 항우울제처럼 치료 용량과 중독 용량이 큰 차이가 없다. lithium의 경우도 투약 사고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항상 부작용의 출현에 관심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혈중 농도를 자주 확인하여야 한다.
처음 시작하고 증량하는 동안 : 일주일에 두 번
증량이 끝나면 : 일주일에 혹은 이주일에 한번
유지용량이 확정되면 : 한달에 한번
혈청농도 측정 : 항상 마지막 투여 12시간 후 아침에 하다
(5) lithium 의 부작용
초기
① 오심, 복통, 설사 등의 위장 관계 장애
② 다뇨증 (polyuria)
③ 입마름 (dry mouth)
④ 졸리움 (drowsiness)
⑤ 피로감
⑥ 손의 미세 진전
심한 독성 상태
① 운동실조
② 안구진탕
③ 경련
④ 혼미, 혼수, 사망
장기 치료시 부작용 : 갑상선 비대
(6) lithium 독성시 치료
- 특수한 해독제가 없다
- 투약을 중지 한다.
- fluid를 충분히 공급하고 전해질 장애를 교정한다.
- urea, mannitol 등의 이뇨제를 사용하여 배설을 촉진하다.
3) carbamazepine
lithium을 사용할 수 없거나 (hypothyroidsm, 신장에 이상 등) lithium으로 효과가 없을 때 (refractory, rapid cycling) 사용한다. 혹은 lithium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lithium과 병합 사용하기로 한다. 혈중농도 8-12 ug/ml 로 유지한다
(1) 부작용
혈액학적 부작용 : WBC의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혈소판 감소증 등 대단히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CBC를 확인하여야 한다 (한두달에 한번) 부작용시 즉각 투약을 중지하다
4) Valproic acid (Valpine)
carbamazepine 과 마찬가지 약물이다
8 경과 및 예후
1) 조울병은 주기적으로 발병을 한다 그러나 언제 다시 발병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2) 조울병은 시간만 지나면 치료를 안 해도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다 . 그러나 최소 6개월 내지 9개월이 걸린다. 이렇게 긴 기간 동안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3) 정신분열병과는 달리 일단 정상상태로 돌아오면 기능의 상실이 없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나 간혹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자주 재발하는 조울 정신병이 있다. 이 경우는 항 정신병약물에 반응하는 정신분열병 보다도 그 예후가 오히려 안 좋은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