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원 신윤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신윤복
2.그림의 특징
3.그림의 종류
4.대표작

본문내용

풍속화로서 손색이 없다.
그러면서도 기존 왕공 사대부의 권위적 초상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인물화로서의 예술성이 충만하다.
'미인도'는 신윤복이나 다른 화가들에게도 관심거리였던 듯하다.
이밖에 해남 윤씨 종가에 소장된 큰 타래머리의 '미인도'를 비롯해서 호사가들의 향수품 이었을 필자 미상의 19세기 미인도들이 전하지만 대부분 묘사 기량이 떨어지고 딱딱한 향식화 경향이 두드러져 있다.
신윤복은 남녀의 성정을 노출시킨 소재나 기방의 유흥과 여성 생활상을 낱낱이 포착하여 김홍도나 김득신과는 또 다른 회화사적 업적을 달성하였다. 그의 작품 세게는 성 문화가 개방화하는 당대의 도회 분위기를 예시한 것으로 여성이 에로틱 문화의 대상으로 등장해 있음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사대부적 윤리관에 비추어 보면 비도덕적이고 외설적인 것이다. 또 그러 저럭한 행색의 양반층을 향하여 '당신들도 인간이다'라는 신윤복의 풍자적 야유가 실려 있는 듯하다. 가히 혁신적인 것이었다고 할 만하다. 이는 그림에 자신의 낙관을 분명히 한 점에도 드러나는데 예술적 소신을 확고히 밝힌 신윤복의 근대적 작가 정신의 일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의 풍아한 그림은 조선인의 바탕에 깔린 삶의 멋과 정서를 일깨워 지금도 변함없는 감흥을 일으킨다. 그 감명은 인물 묘사력, 색채 감각 등 신윤복이 꾸준히 추구한 사실주의적 창작 태도의 견실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근대 회화의 여명을 알리는 성과이다.
이와 함께 신윤복 풍속화의 또 다른 가치는 문화 사료로써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는 점이다. 단이 짧아져 젖가슴이 드러난 저고리나 다양한 남성복의 모양새 등 치밀하게 그린 의상은 각 계층과 노소성별의 유행 복식을, 삼현육각을 비롯한 2,3인조의 소규모 악단은 민간의 춤과 음악 문화를 추정할 수 있는 고증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상에도 불구하고 신윤복류의 풍속도는 그 이후 시대 정신을 표출하는 쪽으로 더 이상은 진전되지 못하고 말았다.
4. 시대적 한계를 드러낸 세시풍속도
한편, 신윤복 자신도 화원 출신으로 시대적 한계를 안고 있다. 신윤복 풍속화가 근대적 사실주의로 진척되지 못한 점은 말년 그림에서 확인된다. 앞서 살펴본 현실감 나는 풍속화와 다르기 때문이다.
1813년 제작한 4폭 병풍그림이 그 사례인데, 신윤복 특유의 섬세한 필치로 잡목과 소나무, 언덕과 바위, 산 풍경에 생활상을 담은 산수풍속도이다.
이들 소재는 한 작품을 제외하면 김홍도나 당시 산수풍속 양식의 일정한 틀에 따른 것이어서 신윤복 특유의 개성적인 맛이 적다. 또한 산수화 중심의 어색한 화면 구성이 더욱 그러하다. 한층 안정되어 있지만 화면이 트여 있지 않다.
이러한 산수 풍속도는 김홍도의 행려풍속도나 평생도 병풍류에서 그 형식을 배운 것으로써 동료 격인 김득신의 1815년작 '풍속도 8폭 병풍'과 함께 19세기에 형식화되는 경직도나 세시 풍속도류의 전범적 역할을 하는 사례이기도 하다.
곧 이런 병풍류는 풍속화의 진면목인 시대 의식은 떨어지지만 19세기 초반에 정착한 생활장식용 풍속도의 한 양식으로 굳어졌음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1. 세시풍속도
1) 처네쓴 여인 2) 전모쓴 여인(28.2*19.1)
3) 묘견도
(31.8*16.3) 4)신한평의 [젖먹이기] 5)어물장수(28.3*19.1)
6)김홍도 [행상] 7)거문고 줄매기 8) 다림질
9) 연당의 여인 10)신윤복의 병풍그림 中(그림없슴)
2.혜원풍속도첩
1)월하정인 2)춘의만원 3)소년전홍
4)유곽쟁웅 5)삼추가연(그림없음)6)연소답청 7)무녀신무
8) 정변야화(그림없음)
9)기다림 10)단오풍정 11)쌍검대무
12)월야밀회 13) 야금모행 14.15)빨래터. (김홍도 그림만있슴)
16)기방무사 19)이부탐춘 21)유운홍의 기방도
17) " 패러디 그림 20) " 모작(그림없슴)
18)춘화(그림없슴)
3. 미인도
1)미인도 2)김홍도'큰머리 여인' 5)작가미상 7)다 빈치
'미인도' '모나리자'
3)작가미상 '운낭자상'1914년(그림없슴) 6)다 빈치'담비를 든 여인'(그림없슴)
4) " '미인도' ( " )
신윤복의 대표작
그의 연대가 밝혀진 작품은 거의 드물어 활동시기와 제작년도를 정확히 가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신윤복의 풍속화와 풍속화적 성격의 그림은 대부분 19세기 초의 작품들이다.
1. 평범한 여속을 담담하게 그린 유형
화첩용으로 비단 바탕의 '처네를 쓴 여인','전모를 쓴 여인' (그림1),'거 문고 줄매기','어물장수'(이상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등과 종 이에 그린 '다림질'이 전한다.
그림1
2.기생과 한량 양반층의 놀이와 유흥을 주제로 한 [혜원풍속도첩]
〈연당야유도 蓮塘野遊圖〉 〈미인도 美人圖〉 〈단오도 端午圖〉 〈무무도 巫舞圖〉 〈산궁수진 山窮水盡〉 〈선유도 船遊圖〉 〈산수도 山水圖〉 등이 있다.
이러한 그림은 그의 화첩인 <혜원풍속도첩>에 들어 있는데, 국보 135호이며 일본에서 구입해온 이 화첩에는 〈연
당야유 蓮塘野遊〉 〈기방무사 妓房無事〉 〈청루소일 靑樓 [그림2춘의만원]
消日〉 〈월하정인 月下情人〉 〈월야밀회 月夜密會〉 〈춘색만원 春色滿園〉 〈소년전홍 少年剪紅〉 〈주유청강 舟遊淸江〉 〈연소답청 年少踏靑〉 〈상춘야흥 賞春野興〉 〈노상탁발 路上托鉢〉 〈납량만흥 納凉漫興〉 〈임하투호 林下投壺〉 〈무녀신무 巫女神舞〉 〈주막 酒幕〉 〈쌍검대무 雙劍對舞〉 〈휴기답풍 携技踏楓〉 〈쌍육삼매 雙六三昧〉 〈문종심사 聞鐘尋寺〉 〈정변야화 井邊夜話〉 〈노중상봉 路中相逢〉 〈계변가화 溪邊佳話〉 〈삼추가연 三秋佳緣〉 〈표모봉심 漂母逢尋〉 〈야금모행 夜禁冒行〉 〈유곽쟁웅 遊廓爭雄〉 〈이승영기 尼僧迎妓〉 〈이부탐춘 婦耽春〉 〈단오풍정 端午風情〉 〈홍루대주 紅樓待酒〉 등 모두 30점의 그림이 들어 있다.
3.미인도등
미인도(간송미술관 소장)그림3 비단에 채색 114.2*45.7cm
그림3
*참고 문헌
강명관,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푸른역사, 2001
임두빈, [한국미술사 101장면], 가람역사32, 1998
최승규, [서양미술사 100장면], 한명, 2001
이태호, [풍속화], 대원사, 1997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4.01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