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소마케팅과 지역마케팅의 개념
2. 기존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이론들과 한계
Ⅲ. 연구의 틀
1. 안성시와 이천시의 문화상품에 대한 이해
2. 분석의 틀
Ⅳ. 축제의 성공요인 분석
1. 이천의 도자기축제
2. 안성의 남사당바우덕이 축제
3.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
V. 지역마케팅의 성공을 위한 정책적 함의
Ⅵ. 결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소마케팅과 지역마케팅의 개념
2. 기존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이론들과 한계
Ⅲ. 연구의 틀
1. 안성시와 이천시의 문화상품에 대한 이해
2. 분석의 틀
Ⅳ. 축제의 성공요인 분석
1. 이천의 도자기축제
2. 안성의 남사당바우덕이 축제
3.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
V. 지역마케팅의 성공을 위한 정책적 함의
Ⅵ. 결 론
본문내용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간적 제약 때문에 두 도시의 세 가지 사업에만 한정을 하여 비교하였으나, 앞으로는 더 많은 사업들에 대한 비교연구가 나오기를 바란다.
참 고 문 헌
고경순. (2003). 마케팅. 대명.
권숙인. (1996). 현대일본사회와 지방의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규원. (2001). "도시마케팅과 이벤트."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21-32.
김대우·김흥식. (2002). "2001 세계도자기 엑스포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문화관광연구. 4:2. 97-120.
데이비드 아커(이상민 옮김). (2003).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북스.
박광국·최상일·주효진. (2000). "지역문화정책 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인식도 평가." 행정논총. 38:2. 133-152.
박명흠. (2001). "부산아시안게임의 홍보전략과 대회 성공의 조건."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49-62.
문옥표. (2000). "관광을 통한 문화의 생산과 소비: 하회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3:2. 79-1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월드컴 전략지역 장소마케팅.
손정원. (1998). "지역 기술혁신체제 최적화 전략." 한국공간환경학회(엮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울 아카데미. 150-77.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위원회. (2002).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2001 축제백서.
. (2002).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 2002 기본기획안.
안성시. (2001) 시정백서.
. (2002). 2003년 하반기 문화관광축제 신청서.
. (2002). 안성마춤한우 세계 제일 명품화사업. (내부자료).
울리히 쿤 하인 편(심희섭 올김). (2001). 유럽의 축제. 컬쳐라인.
유승우. (2001). 흙으로 빚는 대붕의 꿈. 홍익기획.
이무용. (1997). "도시개발의 문화전략과 장소마케팅." 공간과사회. 통권 제8호. 197-231.
이제우·이재만. (2002). "안동하회마을 전통놀이 참여 활성화 방안." 문화관광연구. 4:3. 1-21.
이천시. (2002). 『제16회 이천도자기축제』평가보고서.
이천시도자기축제추진위원회. (2002). 제16회 이천시도자기축제.
이천시도자기축제추진위원회·이천시청. (2000). 제14회(2000년) 이천도자기축제.
이초혜. (2002). "문화관광유형과 이미지 형성에 관한 실증연구." 문화관광연구. 4:2. 13-31.
이환범·송건섭. (2002). "서브퀼(SERVQRAL) 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평가: 세계유교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3. 249-268.
이흥재. (2001). "도시와 장소판촉."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11-20.
잭 트라우트 & 알 리스(안진환 옮김). (2002). 포지셔닝. 을유문화사.
전경수. (1994) 관광과 문화. 일신사.
정근식 편저. (1999). 축제, 민주주의, 지역활성화. 새길.
(주)하쿠호도 브랜드 컨설팅(김낙희·유진형·홍성민 옮김). (2002). 한 권으로 읽는 브랜드 마케팅. 굿모닝미디어.
한주형·이무용. (2001). "서울 2002년 월드컵과 도시마케팅."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33-48.
홍익기획. (2001). 우리가 만드는 심포니 사회 -세계도자기엑스포 이천-.
Demaziere, C. and P. A. Wilson. (1996).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 Americas. London: Mansell.
Frieden, Bernard and Lynne Sagalyn. (1994). Downtown, Inc.: How America Rebuilds Cities. MA: Cambridge: The MIT Press.
Hall, T. and P. Hubbard. (1996). "The Entrepreneurial City: New Urban Politics, New Urban Geograph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0:2. 153-74.
Harding, A. (1990).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rban Regeneration." in M. Campbell (ed.). Local Economic Policy. London: Cassell. 108-27.
Parkinson, Michael, Bernard Foley and Dennis Judd. (1989). Regenerating the Cities: The UK Crisis and the US Experience. Glenview, IL: Scott, Foresman and Company.
Philo, C and K. Kearns. (1993). Selling the Place: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ce. Pergamon Press.
Short, John R. (1996). The Urban Order: An Introduction to Cities, Culture, and Power. Blackwell Publishers.
Zukin, Sharon. (1995). The Cultures of Cities. Blackwell Publishers.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소마케팅과 지역마케팅의 개념
2. 기존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이론들과 한계
Ⅲ. 연구의 틀
1. 안성시와 이천시의 문화상품에 대한 이해
2. 분석의 틀
Ⅳ. 축제의 성공요인 분석
1. 이천의 도자기축제
1) 이천도자기축제의 배경
2) 이천도자기축제의 과정
3) 이천도자기축제의 발전방향
2. 안성의 남사당바우덕이 축제
1) 남사당바우덕이축제의 배경
2) 남사당바우덕이축제의 과정
3) 바우덕이축제의 발전방향
3.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
1)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의 배경
2)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의 과정
3)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의 발전방향
V. 지역마케팅의 성공을 위한 정책적 함의
Ⅵ. 결 론
참 고 문 헌
참 고 문 헌
고경순. (2003). 마케팅. 대명.
권숙인. (1996). 현대일본사회와 지방의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규원. (2001). "도시마케팅과 이벤트."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21-32.
김대우·김흥식. (2002). "2001 세계도자기 엑스포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문화관광연구. 4:2. 97-120.
데이비드 아커(이상민 옮김). (2003).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북스.
박광국·최상일·주효진. (2000). "지역문화정책 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인식도 평가." 행정논총. 38:2. 133-152.
박명흠. (2001). "부산아시안게임의 홍보전략과 대회 성공의 조건."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49-62.
문옥표. (2000). "관광을 통한 문화의 생산과 소비: 하회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3:2. 79-1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월드컴 전략지역 장소마케팅.
손정원. (1998). "지역 기술혁신체제 최적화 전략." 한국공간환경학회(엮음).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한울 아카데미. 150-77.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위원회. (2002).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2001 축제백서.
. (2002). 안성남사당바우덕이축제 2002 기본기획안.
안성시. (2001) 시정백서.
. (2002). 2003년 하반기 문화관광축제 신청서.
. (2002). 안성마춤한우 세계 제일 명품화사업. (내부자료).
울리히 쿤 하인 편(심희섭 올김). (2001). 유럽의 축제. 컬쳐라인.
유승우. (2001). 흙으로 빚는 대붕의 꿈. 홍익기획.
이무용. (1997). "도시개발의 문화전략과 장소마케팅." 공간과사회. 통권 제8호. 197-231.
이제우·이재만. (2002). "안동하회마을 전통놀이 참여 활성화 방안." 문화관광연구. 4:3. 1-21.
이천시. (2002). 『제16회 이천도자기축제』평가보고서.
이천시도자기축제추진위원회. (2002). 제16회 이천시도자기축제.
이천시도자기축제추진위원회·이천시청. (2000). 제14회(2000년) 이천도자기축제.
이초혜. (2002). "문화관광유형과 이미지 형성에 관한 실증연구." 문화관광연구. 4:2. 13-31.
이환범·송건섭. (2002). "서브퀼(SERVQRAL) 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 질 평가: 세계유교문화축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6:3. 249-268.
이흥재. (2001). "도시와 장소판촉."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11-20.
잭 트라우트 & 알 리스(안진환 옮김). (2002). 포지셔닝. 을유문화사.
전경수. (1994) 관광과 문화. 일신사.
정근식 편저. (1999). 축제, 민주주의, 지역활성화. 새길.
(주)하쿠호도 브랜드 컨설팅(김낙희·유진형·홍성민 옮김). (2002). 한 권으로 읽는 브랜드 마케팅. 굿모닝미디어.
한주형·이무용. (2001). "서울 2002년 월드컵과 도시마케팅." 도시문제. 통권 제36권 394호. 33-48.
홍익기획. (2001). 우리가 만드는 심포니 사회 -세계도자기엑스포 이천-.
Demaziere, C. and P. A. Wilson. (1996).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Europe and the Americas. London: Mansell.
Frieden, Bernard and Lynne Sagalyn. (1994). Downtown, Inc.: How America Rebuilds Cities. MA: Cambridge: The MIT Press.
Hall, T. and P. Hubbard. (1996). "The Entrepreneurial City: New Urban Politics, New Urban Geograph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0:2. 153-74.
Harding, A. (1990).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rban Regeneration." in M. Campbell (ed.). Local Economic Policy. London: Cassell. 108-27.
Parkinson, Michael, Bernard Foley and Dennis Judd. (1989). Regenerating the Cities: The UK Crisis and the US Experience. Glenview, IL: Scott, Foresman and Company.
Philo, C and K. Kearns. (1993). Selling the Place: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ce. Pergamon Press.
Short, John R. (1996). The Urban Order: An Introduction to Cities, Culture, and Power. Blackwell Publishers.
Zukin, Sharon. (1995). The Cultures of Cities. Blackwell Publishers.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소마케팅과 지역마케팅의 개념
2. 기존의 장소마케팅에 관한 이론들과 한계
Ⅲ. 연구의 틀
1. 안성시와 이천시의 문화상품에 대한 이해
2. 분석의 틀
Ⅳ. 축제의 성공요인 분석
1. 이천의 도자기축제
1) 이천도자기축제의 배경
2) 이천도자기축제의 과정
3) 이천도자기축제의 발전방향
2. 안성의 남사당바우덕이 축제
1) 남사당바우덕이축제의 배경
2) 남사당바우덕이축제의 과정
3) 바우덕이축제의 발전방향
3.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
1)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의 배경
2)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의 과정
3) 안성마춤한우 브랜드화 사업의 발전방향
V. 지역마케팅의 성공을 위한 정책적 함의
Ⅵ. 결 론
참 고 문 헌
추천자료
지역축제의 관광상품 현황및 향후방안 (하동야생차축제를 중심으로)
영국에딘버러축제 사례를 통한 한국지역축제의 문제점 해결
축제의 개념과 지역축제
성공적인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축제의 활성화방안
지역축제를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지역축제조사
지역축제-이천,여주도자기축제
지역주민과 지역축제의 관계
운주축제와 7080축제의 특징 및 현황과 기능 및 지역축제 문제점 조사분석
축제의 개념 및 기원과 현재 지역축제 분석 및 개선방안 조사분석 - 운주사
지역축제 - 올해는 축제를 기다리겠습니다!!.ppt
보령머드축제 - 기존 MKT MIX/활성화 방안 제시 (지역축제 마케팅,축제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
[지역축제이벤트] 지역축제 이벤트 발전방안
지역축제의 의미 - 사회적 가치와 원형 가치를 중심으로 본 지역 축제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