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1. 리얼리즘의 정의
2. 사회주의 리얼리즘
1).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내용 정리
2).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한 작품 해석
① 보봐리 부인
②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③ 삼대
Ⅲ 결론 : 요약, 정리
* 참고자료 정리
Ⅱ 본론 :
1. 리얼리즘의 정의
2. 사회주의 리얼리즘
1).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내용 정리
2).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한 작품 해석
① 보봐리 부인
②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③ 삼대
Ⅲ 결론 : 요약, 정리
* 참고자료 정리
본문내용
내면을 상식적으로 충실히 재현하였다는 점에서 사실주의적 장편소설로서의 일정한 가치는 인정받아야 한다
이상에서 우리는 <부르주의 문학파> 라고도 불리는 <민족 문학파> 염상섭의 소망 충족법을 그의 대표작인 삼대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르주아 작가 염상섭의 소망 충족법은 돈의 힘을 전제한 포용적인 현실 대처법으로 가족의 화합과 민족의 통합이라는 꿈을 실현하는 형식을 휘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당대 부르주아 사회의 표상 재현이라는 일정한 리얼리즘적 성과도 획득하고 있음을 알았다. 삼대와 관련한 급진 사회주의자였던 이기영이 고향에서 보여주는 소망은 무엇이고 그 해결법은 무엇이였는지 알아보자. 그 소망은 작게는 농민의 생존 문제 해결이고 크게는 계급 없는 사회라는 유토피아의 실현이다. 그 해결법은 억압받고 착취당하는 농민들이 자신들의 결속과 사랑으로 억압하는 계급과의 투쟁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한편 작자가 고향을 쓰고자 하는 욕망과 실현하고자 하는 유토피아에 대한 소망은 한결같이 다시 한국인의 8할을 차지하는 농민의 생존 문제를, 분명한 계급 투쟁의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총체성 반영이라는 리얼리즘의 주요 원리가 상당 수준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동반자 작가이자 자유주의적 지식인인 채만식이 태평천하에서 제시하는 소망 충족법을 살펴보자. 위의 두 작품과는 달리 반어적 문체로 된 이 작품은 현실에 대한 풍자가 강한 반면 이 소설은 결말에서 젊은 사회주의자의 활동 소식을 전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대한 소망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판소리체의 담론을 통한, 친일적인 한국 부유층의 자기 상실적인 이기주의에 대한 비판이 계급 없는 사회나 민족의 독립 실현이라는 유토피아에 대한 소망 표현보다 더욱 강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당시의 엄격한 검열을 통과하게 한 것은 작자의 문체적 전략을 돋보이게 하는 점이다. 이로써 삼대와 더불어 고향과 태평천하 역시 욕망과 이념과 현실 원칙 내지 리얼리즘의 관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함을 짐작하게 하게 되었다. 우리는 편협하고 경직된 리얼리즘적 비평이나 연구의 방법을 풀고 열어 발전시키는 데 그들의 방법이나 시각이 좋은 시사를 주기 때문이다. 거듭 말해서 이제 우리의 문학 연구는 리얼리즘에 확고히 기초해 있으면서도 동시대적 논리와 감각을 잃지 말아야 하겠으며, 그렇다고 속류 마르크스주의 비평에 빠져들거나 문학의 자율성에만 매달리는 형식주의 비평에 경도 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실로 우리의 연구 방법은 대상 작품 및 작가의 긍정적 해석에 충실하면서도 동시에 그 대상을 시대와 사회와 역사의 문맥에 놓고 제대로 읽는 것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Ⅲ.결론
이렇게 우리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정리를 해 보았다. 사실주의란 의미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현실 그대로의 사실이다. 나는 사회주의의 작품을 통해서 그 의미를 분명히 할 수 있었다. 보봐리 부인에서는 사실주의라는 이름 아래 자연주의 작가와 관련시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정신세계의 과거에 대한 추억, 미래에 대한 꿈이 지배하는 사실, 이들 모두를 생각할 수 있었다. 보봐리란 책을 곁 핥기식으로 읽는다면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본다면 줄거리 이면에 문장 그리고 작가의 사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에서는 산업시대에 접어든 우리 사회의 허구와 병리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던 것이다. 작자 조세희를 두고 객관적이라는 말을 할 때도 그가 산업화의 핵심적인 국면인 산업노동 현실 진단하는데 있어서 당대 사회현실의 객관적 묘사로서 리얼리즘이 정의될 수 있었다. 마지막 삼대에서는 돈의 위력에 기대는 부르주아적 현실 타협적인 리얼리즘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삼대의 한국 부르주아 사회의 외면과 내면을 상징적으로 충실히 재현하였다는 점에서 사실주의 장편소설로서 일정한 가치는 인정받을 수 있었다. 사회주의 소설은 바로 이러한 것이다. 극히 현실적이고 모든 범위를 포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보아 알 수 있듯이 우리의 사회전역에 리얼리즘이 존재하고 있다. 내가 처음에 생각했던 주제의 방향과는 조금 다르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우리의 문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정리
website 번호
http://www.kcaf.or.kr/htdocs/Hyperdrama/D00122/critic.html
http://www.sfi.co.kr/Virtual-Libraries/ArtHistory/socialist-realism/consocialreal.htm
http://www.hani.co.kr/cine21/k-c98101/c9810136-075.html
http://www.muli.kookmin.ac.kr/~m107/literature/Realism.html
http://www.dike.korea.ac.kr/~koko/japan/novel.htm
http://www.photo.kyungsung.ac.kr/sainchon/idea/realism.htm
http://news.hani.co.kr/cine21/K_C9723088/C9723088_020.html
http://www.munhak.com/md/97sum/윤효.htm
.http://blue.nownuri.net/~bluedrop/russ-h.html
http://my.netian.com/~deulbool/lit/forum/realism/a.html
http://www.kner.re.kr/history/9000/si9800.htm
http://www.munsa.co.kr/recommend/main4.htm
참고도서
이선영. 리얼리즘을 넘어서. 서울: 民音社
윤여탁. 리얼리즘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태학사
윤지관. 리얼리즘의 옹호. 서울 : 실천문학사
코올-스테판. 리얼리즘의 역사와 이론. 서울: 한밭 출판사
버거,존. 사회주의 리얼리즘. 서울: 열화랑
플로베르·G. 보봐리 부인. 서울 : 지성 출판사
정서호. 보봐리 부인외. 서울: 금성출판사
이상에서 우리는 <부르주의 문학파> 라고도 불리는 <민족 문학파> 염상섭의 소망 충족법을 그의 대표작인 삼대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르주아 작가 염상섭의 소망 충족법은 돈의 힘을 전제한 포용적인 현실 대처법으로 가족의 화합과 민족의 통합이라는 꿈을 실현하는 형식을 휘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당대 부르주아 사회의 표상 재현이라는 일정한 리얼리즘적 성과도 획득하고 있음을 알았다. 삼대와 관련한 급진 사회주의자였던 이기영이 고향에서 보여주는 소망은 무엇이고 그 해결법은 무엇이였는지 알아보자. 그 소망은 작게는 농민의 생존 문제 해결이고 크게는 계급 없는 사회라는 유토피아의 실현이다. 그 해결법은 억압받고 착취당하는 농민들이 자신들의 결속과 사랑으로 억압하는 계급과의 투쟁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한편 작자가 고향을 쓰고자 하는 욕망과 실현하고자 하는 유토피아에 대한 소망은 한결같이 다시 한국인의 8할을 차지하는 농민의 생존 문제를, 분명한 계급 투쟁의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총체성 반영이라는 리얼리즘의 주요 원리가 상당 수준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동반자 작가이자 자유주의적 지식인인 채만식이 태평천하에서 제시하는 소망 충족법을 살펴보자. 위의 두 작품과는 달리 반어적 문체로 된 이 작품은 현실에 대한 풍자가 강한 반면 이 소설은 결말에서 젊은 사회주의자의 활동 소식을 전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대한 소망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판소리체의 담론을 통한, 친일적인 한국 부유층의 자기 상실적인 이기주의에 대한 비판이 계급 없는 사회나 민족의 독립 실현이라는 유토피아에 대한 소망 표현보다 더욱 강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당시의 엄격한 검열을 통과하게 한 것은 작자의 문체적 전략을 돋보이게 하는 점이다. 이로써 삼대와 더불어 고향과 태평천하 역시 욕망과 이념과 현실 원칙 내지 리얼리즘의 관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함을 짐작하게 하게 되었다. 우리는 편협하고 경직된 리얼리즘적 비평이나 연구의 방법을 풀고 열어 발전시키는 데 그들의 방법이나 시각이 좋은 시사를 주기 때문이다. 거듭 말해서 이제 우리의 문학 연구는 리얼리즘에 확고히 기초해 있으면서도 동시대적 논리와 감각을 잃지 말아야 하겠으며, 그렇다고 속류 마르크스주의 비평에 빠져들거나 문학의 자율성에만 매달리는 형식주의 비평에 경도 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실로 우리의 연구 방법은 대상 작품 및 작가의 긍정적 해석에 충실하면서도 동시에 그 대상을 시대와 사회와 역사의 문맥에 놓고 제대로 읽는 것이 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Ⅲ.결론
이렇게 우리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정리를 해 보았다. 사실주의란 의미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현실 그대로의 사실이다. 나는 사회주의의 작품을 통해서 그 의미를 분명히 할 수 있었다. 보봐리 부인에서는 사실주의라는 이름 아래 자연주의 작가와 관련시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정신세계의 과거에 대한 추억, 미래에 대한 꿈이 지배하는 사실, 이들 모두를 생각할 수 있었다. 보봐리란 책을 곁 핥기식으로 읽는다면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본다면 줄거리 이면에 문장 그리고 작가의 사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에서는 산업시대에 접어든 우리 사회의 허구와 병리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던 것이다. 작자 조세희를 두고 객관적이라는 말을 할 때도 그가 산업화의 핵심적인 국면인 산업노동 현실 진단하는데 있어서 당대 사회현실의 객관적 묘사로서 리얼리즘이 정의될 수 있었다. 마지막 삼대에서는 돈의 위력에 기대는 부르주아적 현실 타협적인 리얼리즘을 이해할 수 있었다. 삼대의 한국 부르주아 사회의 외면과 내면을 상징적으로 충실히 재현하였다는 점에서 사실주의 장편소설로서 일정한 가치는 인정받을 수 있었다. 사회주의 소설은 바로 이러한 것이다. 극히 현실적이고 모든 범위를 포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보아 알 수 있듯이 우리의 사회전역에 리얼리즘이 존재하고 있다. 내가 처음에 생각했던 주제의 방향과는 조금 다르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우리의 문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정리
website 번호
http://www.kcaf.or.kr/htdocs/Hyperdrama/D00122/critic.html
http://www.sfi.co.kr/Virtual-Libraries/ArtHistory/socialist-realism/consocialreal.htm
http://www.hani.co.kr/cine21/k-c98101/c9810136-075.html
http://www.muli.kookmin.ac.kr/~m107/literature/Realism.html
http://www.dike.korea.ac.kr/~koko/japan/novel.htm
http://www.photo.kyungsung.ac.kr/sainchon/idea/realism.htm
http://news.hani.co.kr/cine21/K_C9723088/C9723088_020.html
http://www.munhak.com/md/97sum/윤효.htm
.http://blue.nownuri.net/~bluedrop/russ-h.html
http://my.netian.com/~deulbool/lit/forum/realism/a.html
http://www.kner.re.kr/history/9000/si9800.htm
http://www.munsa.co.kr/recommend/main4.htm
참고도서
이선영. 리얼리즘을 넘어서. 서울: 民音社
윤여탁. 리얼리즘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태학사
윤지관. 리얼리즘의 옹호. 서울 : 실천문학사
코올-스테판. 리얼리즘의 역사와 이론. 서울: 한밭 출판사
버거,존. 사회주의 리얼리즘. 서울: 열화랑
플로베르·G. 보봐리 부인. 서울 : 지성 출판사
정서호. 보봐리 부인외. 서울: 금성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