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와 선행연구
1.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2.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3. 선행연구와 연구분석 틀
Ⅲ.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수준
1. 공공서비스 평가목적과 수준
2. 주관적 평가와 내용 : 공공서비스 질의 평가 측면에서
3. 객관적 평가와 내용 : 성과측정의 측면에서
4.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의 상호관계와 문제점
Ⅳ.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지표와 통합평가시스템
1. 평가모형과 지표
2. 통합평가시스템 제시
Ⅴ. 결론 : 요약 및 정책방향
Ⅱ.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와 선행연구
1.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2.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3. 선행연구와 연구분석 틀
Ⅲ.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수준
1. 공공서비스 평가목적과 수준
2. 주관적 평가와 내용 : 공공서비스 질의 평가 측면에서
3. 객관적 평가와 내용 : 성과측정의 측면에서
4.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의 상호관계와 문제점
Ⅳ.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지표와 통합평가시스템
1. 평가모형과 지표
2. 통합평가시스템 제시
Ⅴ. 결론 : 요약 및 정책방향
본문내용
을 사용해서-, 「한국행정학보」 33(1): 35-46.
양기용·김상묵. (1998). 행정서비스 성과평가제도의 도입과 적용: 경기도의 경험과 교훈, 「한국정책학회보」 7(3): 11-30.
이영균. (1994). 공공영역의 생산성 측정모형에 관한 소고, 「한국행정학보」, 28(3):769 -791.
이환범·송건섭. (2002). 서브퀄(SERVQUAL)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질 평가, 「한국행정학보」36(3):249-268
제갈돈·이환범·송건섭. (2000). 정부성과관리와 평가방법론에 관한 고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0(2): 283-303.
제갈돈·김태영·이환범. (2002).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운영성과 평가, 「한국행정논집」 14(2): 283-308.
조경호. (1999). 시민평가제도의 형태와 도입, 「지방행정」 48(551): 27-34.
최창수. (2001). 지방자치단체 평가모형의 분석과 과제: 중앙정부의 광역자치단체 기관평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09- 426.
한표환. (2001). 광역자치단체 평가사례, 「한국행정연구」, 10(1): 124-156.
황명찬·이성복·권경득. (1997). 지방정부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9(4): 139-160.
허정욱·김정희(2000), SERVQUAL을 이용한 행정서비스의 품질 측정, 「마케팅관리연구」 5(2): 51-78.
한국능률협회. (1997). 제3회 한국지방자치 경상대상 전문심사기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8). 지방자치단체의 민원인 만족도 조사에 대한 표준모형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9). 성과지표의 개발방안.
한국행정연구원. (1999).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측정지표 설계방안.
행정자치부. (2000). 「지방자치단체 종합평가 기본계획」, 행정부시장·행정부지사회의자료.
서울특별시. (2000). 2000하반기 행정서비스 시민만족도조사 보고서.
Ammons, David N. (1995). Overcoming the Inadequaci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Local Government: The Case of Libraries and Leisure Services, PAR, 55(1).
Brown, Karin., Coulter, Philip B. (1983),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Police Service Delivery, PAR, 43(1): 50-58.
Brudney, Jeffrey L., England, Robert E. (1982). Urban Policy Making and Subjective Service Evaluation: Are They Compatible?, PAR, 42(2): 127-135.
Epstein, Paul D. (1992). Get Ready: the Time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s Finally Coming, PAR, 52(5).
Fowler, Jr, Floyd J. (1974). Citizen Attitudes Toward Local Government, Services and Taxes, Cambridge, Mass; Ballinger Publishing Co.
Hatry, Hary P. (1980). Performance Measurement Principles and Techniques: An Overview for Local Government, Public Productivity Review, December.
Jones, B.D. (1981). Assessing the Products of Government: What gets Distributed?, Policy Studies Journal, vol.9 : 964.
Jones, Brian D. and Patrick G. Grasso. (1985). The Policy Performance of State and Localities: An Overview, Public Policy Studies, London: JAI Press.
Lucy, W.H., D. Gilbert and G.S.Birkhead. (1977). Equity in Local Service Distribution, PAR, vol.37(6) : 687.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 41-50.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1988).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12-40.
Rogers, Steve. (1990). Performance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London: Longman.
Wholey, Joseph S. and Hatry, H. P..(1992). The Case for Performance Monitoring, PAR, 52(3).
목차
Ⅰ. 서 론
Ⅱ.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와 선행연구
1.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2.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3. 선행연구와 연구분석 틀
Ⅲ.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수준
1. 공공서비스 평가목적과 수준
2. 주관적 평가와 내용 : 공공서비스 질의 평가 측면에서
3. 객관적 평가와 내용 : 성과측정의 측면에서
4.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의 상호관계와 문제점
Ⅳ.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지표와 통합평가시스템
1. 평가모형과 지표
2. 통합평가시스템 제시
Ⅴ. 결론 : 요약 및 정책방향
참 고 문 헌
양기용·김상묵. (1998). 행정서비스 성과평가제도의 도입과 적용: 경기도의 경험과 교훈, 「한국정책학회보」 7(3): 11-30.
이영균. (1994). 공공영역의 생산성 측정모형에 관한 소고, 「한국행정학보」, 28(3):769 -791.
이환범·송건섭. (2002). 서브퀄(SERVQUAL)요인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질 평가, 「한국행정학보」36(3):249-268
제갈돈·이환범·송건섭. (2000). 정부성과관리와 평가방법론에 관한 고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0(2): 283-303.
제갈돈·김태영·이환범. (2002).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운영성과 평가, 「한국행정논집」 14(2): 283-308.
조경호. (1999). 시민평가제도의 형태와 도입, 「지방행정」 48(551): 27-34.
최창수. (2001). 지방자치단체 평가모형의 분석과 과제: 중앙정부의 광역자치단체 기관평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09- 426.
한표환. (2001). 광역자치단체 평가사례, 「한국행정연구」, 10(1): 124-156.
황명찬·이성복·권경득. (1997). 지방정부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9(4): 139-160.
허정욱·김정희(2000), SERVQUAL을 이용한 행정서비스의 품질 측정, 「마케팅관리연구」 5(2): 51-78.
한국능률협회. (1997). 제3회 한국지방자치 경상대상 전문심사기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8). 지방자치단체의 민원인 만족도 조사에 대한 표준모형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9). 성과지표의 개발방안.
한국행정연구원. (1999). 지방자치단체의 성과측정지표 설계방안.
행정자치부. (2000). 「지방자치단체 종합평가 기본계획」, 행정부시장·행정부지사회의자료.
서울특별시. (2000). 2000하반기 행정서비스 시민만족도조사 보고서.
Ammons, David N. (1995). Overcoming the Inadequacies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Local Government: The Case of Libraries and Leisure Services, PAR, 55(1).
Brown, Karin., Coulter, Philip B. (1983),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Police Service Delivery, PAR, 43(1): 50-58.
Brudney, Jeffrey L., England, Robert E. (1982). Urban Policy Making and Subjective Service Evaluation: Are They Compatible?, PAR, 42(2): 127-135.
Epstein, Paul D. (1992). Get Ready: the Time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s Finally Coming, PAR, 52(5).
Fowler, Jr, Floyd J. (1974). Citizen Attitudes Toward Local Government, Services and Taxes, Cambridge, Mass; Ballinger Publishing Co.
Hatry, Hary P. (1980). Performance Measurement Principles and Techniques: An Overview for Local Government, Public Productivity Review, December.
Jones, B.D. (1981). Assessing the Products of Government: What gets Distributed?, Policy Studies Journal, vol.9 : 964.
Jones, Brian D. and Patrick G. Grasso. (1985). The Policy Performance of State and Localities: An Overview, Public Policy Studies, London: JAI Press.
Lucy, W.H., D. Gilbert and G.S.Birkhead. (1977). Equity in Local Service Distribution, PAR, vol.37(6) : 687.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 41-50.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1988).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12-40.
Rogers, Steve. (1990). Performance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London: Longman.
Wholey, Joseph S. and Hatry, H. P..(1992). The Case for Performance Monitoring, PAR, 52(3).
목차
Ⅰ. 서 론
Ⅱ.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와 선행연구
1.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2.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3. 선행연구와 연구분석 틀
Ⅲ.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수준
1. 공공서비스 평가목적과 수준
2. 주관적 평가와 내용 : 공공서비스 질의 평가 측면에서
3. 객관적 평가와 내용 : 성과측정의 측면에서
4.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의 상호관계와 문제점
Ⅳ.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평가지표와 통합평가시스템
1. 평가모형과 지표
2. 통합평가시스템 제시
Ⅴ. 결론 : 요약 및 정책방향
참 고 문 헌
추천자료
지방선거의 특수성과 현행 지방선거의 문제점 : 지방자치
현행 지방자치제와 교육자치제도의 특징, 문제점 및 그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지방자치제 현황과 한국의 지방자치제
지방자치주의와 민주주의
지방자치단체 공공서비스의 효율적인 민간위탁 방안연구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논리와 문제점 및 재구조화 방안
지방자치시대의 지방정치문화 고찰
[지방재정][지방재정자립도][지방재정][지방세]지방재정자립도, 지방자치단체 재정규모, 지방...
지방자치와 세계화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방지 방안 -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정부조직과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지방자치 - 주민의자치참여
사회복지법제 - 지방자치 입법 종류 및 거주지역 지자체에 필요한 자치입법
[비교 지방 자치 특강] 지방자치와 사회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