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전자투표도입 배경과 주요 방식
1. 전자민주주의 구현 모델로서 전자투표
2. 전자투표도입 논의 확대 배경
3. 전자투표 개념 및 방식
Ⅲ. 전자투표도입 의의와 주요 사례
1. 의 의
2. 주요 사례
Ⅳ. 전자투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
1. 시민의 신뢰확보 문제
2. 비밀투표보장 문제
3. 보안 문제
4. 기술적 확산과 투표자의 사용능력 문제
5. 정당간 이해관계 문제
Ⅴ. 결론 및 시사점
Ⅱ. 전자투표도입 배경과 주요 방식
1. 전자민주주의 구현 모델로서 전자투표
2. 전자투표도입 논의 확대 배경
3. 전자투표 개념 및 방식
Ⅲ. 전자투표도입 의의와 주요 사례
1. 의 의
2. 주요 사례
Ⅳ. 전자투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
1. 시민의 신뢰확보 문제
2. 비밀투표보장 문제
3. 보안 문제
4. 기술적 확산과 투표자의 사용능력 문제
5. 정당간 이해관계 문제
Ⅴ.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실감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원격투표(RVEM) 발전의 걸림돌인 비밀투표 문제를 입법적·사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각계각층의 의견수렴 및 공론형성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자인증관련 문제, 투표내용 보안문제, 재검표 문제 등에 대한 안정적인 기술개발과 테러, 바이러스, 해킹 등에 대한 정보보호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한편 전자투표와 관련된 안정적인 시스템과 기술개발이 정보통신산업 발전 및 국내·외 시장확대 계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전략적인 계획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시민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향상, 전자투표 기기에 대한 친밀한 정서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정보화교육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민주제도 발전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전자투표 기술을 이용한 사회실험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투표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조사 및 여론조사, 전자투표도입과 투표율간의 상관관계, 전자투표 실시에 따른 선거절차 개선방안 등 IT를 활용한 선거제도개혁 가능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사회적 합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전자투표를 선거뿐만 아니라 국가의 주요 정책결정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민주적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정인. (1995). "정보사회와 원격민주주의." 「계간 사상」, 사회과학원.
강정인. (1997). 「민주주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권기헌. (2000). 「정보사회의 논리」, 나남출판.
권태환 외. (2000).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M&M.
김영삼. (1997). "정보사회의 제도화 :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를 중심으로." 「사회조사연구」, 12(1),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동아일보. (2002.11.12).
윤성이. (1990). "정보기술의 발달이 정부 정책결정과 민주주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 동향분석」, 통권 131호.
윤성이. (2002). "인터넷 투표, 정치문화 바꿀까?." 「주간조선(2002.1.22)」
이유진. (1997). "PC통신, 인터넷과 한국의 전자민주주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31(1), 한국정치학회.
이현우. (2001). "인터넷투표와 대표성의 문제 : 2000년 미국 아리조나 민주당 예비선거." 「한국정치학회보」, 35(3), 한국정치학회.
전자신문. (2002.9.1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인터넷의 정치·사회적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연구」.
정진우. (2002), "전자정부서비스 벤치마킹과 시사점", 한국전산원.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2.11.13), "인터넷 이용자수".
한국전산원. (1997). 「전자민주주의 개념정립과 전자여론수렴 방안」.
한국전산원. (2000). "국내·외 전자민주주의 현황".
한국전산원. (2002a). "전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실천지침 및 선진사례".
한국전산원. (2002b). "초고속인터넷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Abramson, B. et als. (1998). The Electronic Commonwealth : The Impacts of New Media Technologies on Democratic Politics, Basic Books.
Budge, Ian. (1996). The New Challenge of Direct Democracy, Policy Press.
California Internet Voting Task Force. (2000), "A Report on the Feasibility of Internet Voting."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s Bill Jones.
Christopher, F. (1987), Teledemocracy:Can Technology Protect Democracy?, Sage.
Government Technology(2002.10.25).
IPI(Internet Policy Institute. (2001). "Report of the National Workshop on Internet Voting : Issue and Research Agenda."
Katz, James and P. Anderson. (1997). "Motivations for and barriers to Internet usage : results of a natural public opinion survey." Internet Research, 7(3).
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2002. 6). "Internet Penetration Rate in Korea(By age)".
Newsfactor(2002.8.26).
Report of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2002) :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of electronic voting in the UK (http://www.elections.dtlr.gov.uk/ e-voting/index.htm)
Report of the HM Government UKonline (2002) : In the service of democracy-a consultation paper on a policy for electronic democracy
Stanley, Harold W., and Richard G. Niemi. (2000). Vital Statistics on Political Science. 5th ed., CQ Press.
The Guardian(2002.7.17)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자투표도입 배경과 주요 방식
1. 전자민주주의 구현 모델로서 전자투표
2. 전자투표도입 논의 확대 배경
3. 전자투표 개념 및 방식
Ⅲ. 전자투표도입 의의와 주요 사례
1. 의 의
2. 주요 사례
Ⅳ. 전자투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
1. 시민의 신뢰확보 문제
2. 비밀투표보장 문제
3. 보안 문제
4. 기술적 확산과 투표자의 사용능력 문제
5. 정당간 이해관계 문제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둘째, 원격투표(RVEM) 발전의 걸림돌인 비밀투표 문제를 입법적·사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각계각층의 의견수렴 및 공론형성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자인증관련 문제, 투표내용 보안문제, 재검표 문제 등에 대한 안정적인 기술개발과 테러, 바이러스, 해킹 등에 대한 정보보호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한편 전자투표와 관련된 안정적인 시스템과 기술개발이 정보통신산업 발전 및 국내·외 시장확대 계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전략적인 계획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시민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향상, 전자투표 기기에 대한 친밀한 정서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정보화교육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민주제도 발전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전자투표 기술을 이용한 사회실험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투표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조사 및 여론조사, 전자투표도입과 투표율간의 상관관계, 전자투표 실시에 따른 선거절차 개선방안 등 IT를 활용한 선거제도개혁 가능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사회적 합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전자투표를 선거뿐만 아니라 국가의 주요 정책결정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민주적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정인. (1995). "정보사회와 원격민주주의." 「계간 사상」, 사회과학원.
강정인. (1997). 「민주주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권기헌. (2000). 「정보사회의 논리」, 나남출판.
권태환 외. (2000).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M&M.
김영삼. (1997). "정보사회의 제도화 :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를 중심으로." 「사회조사연구」, 12(1),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동아일보. (2002.11.12).
윤성이. (1990). "정보기술의 발달이 정부 정책결정과 민주주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 동향분석」, 통권 131호.
윤성이. (2002). "인터넷 투표, 정치문화 바꿀까?." 「주간조선(2002.1.22)」
이유진. (1997). "PC통신, 인터넷과 한국의 전자민주주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31(1), 한국정치학회.
이현우. (2001). "인터넷투표와 대표성의 문제 : 2000년 미국 아리조나 민주당 예비선거." 「한국정치학회보」, 35(3), 한국정치학회.
전자신문. (2002.9.1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인터넷의 정치·사회적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연구」.
정진우. (2002), "전자정부서비스 벤치마킹과 시사점", 한국전산원.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2.11.13), "인터넷 이용자수".
한국전산원. (1997). 「전자민주주의 개념정립과 전자여론수렴 방안」.
한국전산원. (2000). "국내·외 전자민주주의 현황".
한국전산원. (2002a). "전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실천지침 및 선진사례".
한국전산원. (2002b). "초고속인터넷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Abramson, B. et als. (1998). The Electronic Commonwealth : The Impacts of New Media Technologies on Democratic Politics, Basic Books.
Budge, Ian. (1996). The New Challenge of Direct Democracy, Policy Press.
California Internet Voting Task Force. (2000), "A Report on the Feasibility of Internet Voting." California Secretary of States Bill Jones.
Christopher, F. (1987), Teledemocracy:Can Technology Protect Democracy?, Sage.
Government Technology(2002.10.25).
IPI(Internet Policy Institute. (2001). "Report of the National Workshop on Internet Voting : Issue and Research Agenda."
Katz, James and P. Anderson. (1997). "Motivations for and barriers to Internet usage : results of a natural public opinion survey." Internet Research, 7(3).
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er. (2002. 6). "Internet Penetration Rate in Korea(By age)".
Newsfactor(2002.8.26).
Report of the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2002) :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of electronic voting in the UK (http://www.elections.dtlr.gov.uk/ e-voting/index.htm)
Report of the HM Government UKonline (2002) : In the service of democracy-a consultation paper on a policy for electronic democracy
Stanley, Harold W., and Richard G. Niemi. (2000). Vital Statistics on Political Science. 5th ed., CQ Press.
The Guardian(2002.7.17)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자투표도입 배경과 주요 방식
1. 전자민주주의 구현 모델로서 전자투표
2. 전자투표도입 논의 확대 배경
3. 전자투표 개념 및 방식
Ⅲ. 전자투표도입 의의와 주요 사례
1. 의 의
2. 주요 사례
Ⅳ. 전자투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
1. 시민의 신뢰확보 문제
2. 비밀투표보장 문제
3. 보안 문제
4. 기술적 확산과 투표자의 사용능력 문제
5. 정당간 이해관계 문제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추천자료
전자민주주의 연구분석 보고서 (설문조사, 인터뷰 사례첨부)
전자민주주의와 인터넷실명제의 상관관계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패러다임
전자민주주의와 우리나라
전자민주주의 의 유형과 순기능과 역기능 그리고 한계를 중심으로
전자투표에 대하여
전자 민주주의
레포트_정치(인터넷을통한정치인과의만남)
[전자민주주의]전자민주주의 이론 고찰과 전자민주주의의 낙관론 및 비관론을 통해 본 향후 ...
[전자민주주의][전자민주주의 발전 방향][전자민주주의 이슈][대의제 민주주의]전자민주주의 ...
전자민주주의의 효과적인 인터넷 투표를 향하여
[일본선거, 일본선거 변화과정, 일본선거 개혁, 일본선거 전국화, 일본선거 문제점, 일본선거...
매체정치와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