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관절 골절과 관련된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를 설명하고 간호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설명하라.
2. 고관절 골절 대상자에게 ‘골절과 관련된 운동장애’라는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예를 들어 제시하라.
3. 고관절 골절과 관련된 운동장애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설명하라.
4. 고관절 골절에 적용되는 견인장치로 인한 피부 통합성 장애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설명하라.
5. 골다공증의 위험요인, 예방, 치료에 대해 설명하라.
1. 만성신부전증의 원인과 병태생리를 설명하라.
2. 만성신부전증 진단의 주요 지표를 설명하라.
3. 만성신부전증 대상자의 치료목표를 설명하라.
4. 만성신부전증 대상자의 간호진단을 2개 수립하라.
5. 혈액투석의 원리, 과정, 통로와 관리 및 합병증을 설명하라.
2. 고관절 골절 대상자에게 ‘골절과 관련된 운동장애’라는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예를 들어 제시하라.
3. 고관절 골절과 관련된 운동장애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설명하라.
4. 고관절 골절에 적용되는 견인장치로 인한 피부 통합성 장애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설명하라.
5. 골다공증의 위험요인, 예방, 치료에 대해 설명하라.
1. 만성신부전증의 원인과 병태생리를 설명하라.
2. 만성신부전증 진단의 주요 지표를 설명하라.
3. 만성신부전증 대상자의 치료목표를 설명하라.
4. 만성신부전증 대상자의 간호진단을 2개 수립하라.
5. 혈액투석의 원리, 과정, 통로와 관리 및 합병증을 설명하라.
본문내용
끝을 잇는 방법으로 동맥과 정맥 사이에 개구나 루를 만드는 수술
- 동맥과 정맥 연결되면 압력 센 동맥혈이 정맥 내로 흘러들어가 정맥혈관을 울혈시키고 굵어지게 하여 투석에 이용할 수 있게됨
- 동정맥루 조성 후 6~12주 기다려 도정맥루가 충분히 성숙된 다음에 사용하며 조성술 후 심하게 붓거나 국소 빈혈, 출혈, 혈전증, 동맥류 감염 등의 합병증 생길 수 있어 주의깊게 관찰해야 함
b. 동정맥이식 : 동정맥루 조성 어려운 경우 동맥과 정맥 사이를 인조혈관이나 자가 혈관으로 이식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동정맥이식술 후 3주 정도 지나야 혈관 성숙해짐
- 적응증은 당뇨 또는 심한 동맥경화로 인해 적절한 동정맥루 형성이 어려운 경우 비만, 혈관이 가늘고 깊은 위치에 있는 경우, 고령, 잦은 혈관 천자로 인해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이다
③관리
-하루에 1-2회 정도 동정맥루의 기능을 스스로 확인하도록 해야 함(혈관의 개존성 여부 손으로 촉진하여 진동 느끼고 청진하여 잡음 듣는 것)
-혈관 설치된 팔에서는 혈액 채취, 정맥주사, 혈압 측정 하지 말아야 하며 혈관이 종는 장신구나 의복의 착용을 피하고 무거운 것을 들거나 팔베개 X
-혈관 발달을 돕기 위해 수술 2일후 수술부위 통증과 부종 감소한 때부터 손등 밑에 베개 등을 사용하여 팔을 올려두고 작고 부드러운 공을 주무르는 운동 교육함
4) 합병증
①저혈압
-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과도한 체액감소, 혈관수축의 결핍, 심장 요인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음
-> 작동 속도는 200-250ml/min으로 조절하고 저혈압 유발하는 약물 복용 중단함(진통제, 진정제, nitroglycerin)
②투석불균형 증후군
- 혈액이 너무 빠르게 걸러져 갑자기 혈액의 용질농도가 뇌세포보다 저농도가 되어 수분이 뇌세포 안으로 이동하여 부종 일으키는 것으로 투석 후와 말기에 잘 발생함
- 초기에 오심, 구토, 두통, 안절부절 나타나고 심한 경우 경련 동반됨
-> 초기에 투석시간 짧게 하고 혈류속도 느리게 하고 혈류 속도 점차 늘려나가기, 조용한 환경과 밝은 빛 삼가기, 두통완화, 심할 때 중단하기
③그 외
- 바이러스 감염, 부정맥, 근육경련, 뇌졸중, 심근경색 등
[출처]
대한정형외과학회. 고관절 골절. https://www.koa.or.kr/info/index_1_2.php
윤은자(2019). 성인간호학II, 수문사. p.1025-1073. p.1443-1455
- 동맥과 정맥 연결되면 압력 센 동맥혈이 정맥 내로 흘러들어가 정맥혈관을 울혈시키고 굵어지게 하여 투석에 이용할 수 있게됨
- 동정맥루 조성 후 6~12주 기다려 도정맥루가 충분히 성숙된 다음에 사용하며 조성술 후 심하게 붓거나 국소 빈혈, 출혈, 혈전증, 동맥류 감염 등의 합병증 생길 수 있어 주의깊게 관찰해야 함
b. 동정맥이식 : 동정맥루 조성 어려운 경우 동맥과 정맥 사이를 인조혈관이나 자가 혈관으로 이식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동정맥이식술 후 3주 정도 지나야 혈관 성숙해짐
- 적응증은 당뇨 또는 심한 동맥경화로 인해 적절한 동정맥루 형성이 어려운 경우 비만, 혈관이 가늘고 깊은 위치에 있는 경우, 고령, 잦은 혈관 천자로 인해 정맥에 혈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이다
③관리
-하루에 1-2회 정도 동정맥루의 기능을 스스로 확인하도록 해야 함(혈관의 개존성 여부 손으로 촉진하여 진동 느끼고 청진하여 잡음 듣는 것)
-혈관 설치된 팔에서는 혈액 채취, 정맥주사, 혈압 측정 하지 말아야 하며 혈관이 종는 장신구나 의복의 착용을 피하고 무거운 것을 들거나 팔베개 X
-혈관 발달을 돕기 위해 수술 2일후 수술부위 통증과 부종 감소한 때부터 손등 밑에 베개 등을 사용하여 팔을 올려두고 작고 부드러운 공을 주무르는 운동 교육함
4) 합병증
①저혈압
-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과도한 체액감소, 혈관수축의 결핍, 심장 요인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음
-> 작동 속도는 200-250ml/min으로 조절하고 저혈압 유발하는 약물 복용 중단함(진통제, 진정제, nitroglycerin)
②투석불균형 증후군
- 혈액이 너무 빠르게 걸러져 갑자기 혈액의 용질농도가 뇌세포보다 저농도가 되어 수분이 뇌세포 안으로 이동하여 부종 일으키는 것으로 투석 후와 말기에 잘 발생함
- 초기에 오심, 구토, 두통, 안절부절 나타나고 심한 경우 경련 동반됨
-> 초기에 투석시간 짧게 하고 혈류속도 느리게 하고 혈류 속도 점차 늘려나가기, 조용한 환경과 밝은 빛 삼가기, 두통완화, 심할 때 중단하기
③그 외
- 바이러스 감염, 부정맥, 근육경련, 뇌졸중, 심근경색 등
[출처]
대한정형외과학회. 고관절 골절. https://www.koa.or.kr/info/index_1_2.php
윤은자(2019). 성인간호학II, 수문사. p.1025-1073. p.1443-145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