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결과
4. 토의
2. 실험 이론
3. 실험 결과
4. 토의
본문내용
.55
5.64
5.69
9.17
9.17
9.21
5.47
5.55
5.6
9.05
9.06
9.11
5.37
5.43
5.49
8.93
8.94
8.98
5.26
5.32
5.39
8.83
8.82
8.86
467s 후
5.19
5.24
5.31
8.72
8.7
8.74
643s 후
5.09
5.13
5.22
작은 시편
큰 시편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순수무게
3.47
3.59
3.49
5.73
6.12
5.89
적신후 무게
5.8
5.57
5.77
9.95
7.32
8.9
5.55
5.33
5.52
9.69
6.99
8.58
5.33
5.1
5.28
9.44
6.83
8.33
5.15
4.92
5.1
9.21
6.7
8.12
5.01
4.78
4.94
9.00
6.59
7.92
882s 후
4.86
4.65
4.8
8.81
6.5
7.74
1366s 후
8.62
6.41
7.58
4) 50℃ 2m/s
5) 건조 속도
온도 70℃
작은 시편
큰 시편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2m/s
1.95
0.82
0.0009
2.35
0.87
0.0009
4m/s
1.51
0.86
0.00098
1.92
0.88
0.00016
온도 50℃
작은 시편
큰 시편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2m/s
2.19
0.84
0.00095
2.81
0.86
0.00063
4m/s
2.3
0.89
0.0013
3.6
0.93
0.0019
6) 그래프
6. 토의
① 이번 실험을 통해
⑴ 단위체적당 표면적이 넓을수록,
⑵ 고온일수록,
⑶ 건조시간이 길수록,
건조가 잘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② 90℃--속도6에서 많이 오차를 내었는데,
아무래도 수분흡수후 질량을 잴때에 문제가 발생 한 것 같다.
시편들이 모두 일정한 정도의 수분흡수를 하였는지, 어떤 것은 포화되고 어떤 것은 되다말고 하는 문제말이다.
또, 수분 흡수후 자기차례를 기다리는 시편의 자연건조도 무시할 수 없고, 수분흡수전 질량측정이야 문제가 없겠지만, 흡수후에는 어떻게 털어내고 질량을 재느냐하는 것이 오차여부를 결정한다.
③ 처음에는 시편을 왜 나무토막으로 사용했을까 하고 궁금했는데, 스폰지나 솜, 면등은 수분흡수는 빠르고, 일정하게 하겠지만, 그 형태가 쉽게 변하여 수분흡수후 질량을 잴 경우 지금 보다, 더많은 오차를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무는 형태도 잘 변하지않고, 흡수도 잘하여 시편으로 사용된 것 같다.
5.64
5.69
9.17
9.17
9.21
5.47
5.55
5.6
9.05
9.06
9.11
5.37
5.43
5.49
8.93
8.94
8.98
5.26
5.32
5.39
8.83
8.82
8.86
467s 후
5.19
5.24
5.31
8.72
8.7
8.74
643s 후
5.09
5.13
5.22
작은 시편
큰 시편
1회
2회
3회
1회
2회
3회
순수무게
3.47
3.59
3.49
5.73
6.12
5.89
적신후 무게
5.8
5.57
5.77
9.95
7.32
8.9
5.55
5.33
5.52
9.69
6.99
8.58
5.33
5.1
5.28
9.44
6.83
8.33
5.15
4.92
5.1
9.21
6.7
8.12
5.01
4.78
4.94
9.00
6.59
7.92
882s 후
4.86
4.65
4.8
8.81
6.5
7.74
1366s 후
8.62
6.41
7.58
4) 50℃ 2m/s
5) 건조 속도
온도 70℃
작은 시편
큰 시편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2m/s
1.95
0.82
0.0009
2.35
0.87
0.0009
4m/s
1.51
0.86
0.00098
1.92
0.88
0.00016
온도 50℃
작은 시편
큰 시편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흡수량
건조량
건조속도
2m/s
2.19
0.84
0.00095
2.81
0.86
0.00063
4m/s
2.3
0.89
0.0013
3.6
0.93
0.0019
6) 그래프
6. 토의
① 이번 실험을 통해
⑴ 단위체적당 표면적이 넓을수록,
⑵ 고온일수록,
⑶ 건조시간이 길수록,
건조가 잘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② 90℃--속도6에서 많이 오차를 내었는데,
아무래도 수분흡수후 질량을 잴때에 문제가 발생 한 것 같다.
시편들이 모두 일정한 정도의 수분흡수를 하였는지, 어떤 것은 포화되고 어떤 것은 되다말고 하는 문제말이다.
또, 수분 흡수후 자기차례를 기다리는 시편의 자연건조도 무시할 수 없고, 수분흡수전 질량측정이야 문제가 없겠지만, 흡수후에는 어떻게 털어내고 질량을 재느냐하는 것이 오차여부를 결정한다.
③ 처음에는 시편을 왜 나무토막으로 사용했을까 하고 궁금했는데, 스폰지나 솜, 면등은 수분흡수는 빠르고, 일정하게 하겠지만, 그 형태가 쉽게 변하여 수분흡수후 질량을 잴 경우 지금 보다, 더많은 오차를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무는 형태도 잘 변하지않고, 흡수도 잘하여 시편으로 사용된 것 같다.
추천자료
(식품화학실험보고서)조섬유정량(AOAC법)
모르타르 압축강도실험
침전적정 실험
PH측정 실험보고서
잔디종자 발아실험 레포트
수질공학 실험 부유물질 (SS) , (VSS) 에 관한 발표 자료 PPT
투수계수 실험
[재료공학실험Ⅰ] (예비) 4. 압전 세라믹스를 통한 일반적인 세라믹 공정의 이해
[건설재료실험] 1-4 단위 체적중량 시험
수질 실험 총인레포트
[실험보고서] 저항 (선박의 저항)
분석 실험 1 결과
변수두 실험 - 정수위 투수시험과 변수위 투수시험을 실시하여, 흙의 투수계수를 구한다
[미생물실험보고서] 현미경 사용법, 수생 미생물, 세균 수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