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잔디종자 발아실험 레포트
실험제목
실험목적
실험 재료 및 방법
종자 사진
실험결과
고찰
실험제목
실험목적
실험 재료 및 방법
종자 사진
실험결과
고찰
본문내용
종자를 적당량(100립)을 펼쳐놓고 종자가 잠기지 않을 정도로 증류수를 첨가한다.
④ 상온과 30℃로 조절된 발아상에 넣고 발아 상태를 조사한다.
⑤ 2주일 후 최종 발아율을 조사한다.
발아율(%) =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총 치상 종 자수 ) * 100
※발아율
일정한 양의 씨앗 가운데 발아할 수 있는 씨앗의 비율. 또는 뿌린 씨앗에 대하여 발아한 씨앗의 비율.
6조
식물명
Creeping
bentgrass
처리 및 온도
5월 23일
5월 25일
5월 28일
5월30일
6월 4일
6월 7일
실온(실험실)
A- 0개
B- 0개
C- 0개
A- 0개
B- 0개
C- 0개
A- 66개
B- 58개
C- 65개
A- 8개
B- 9개
C- 12개
A- 8개
B- 2개
C- 17개
A- 0개
B- 0개
C- 1개
변온 상태에서의 발아율 조사
30℃ 광상태
A- 0개
B- 0개
C- 0개
A- 0개
B- 0개
C- 0개
A- 5개
B- 10개
C- 8개
A- 4개
B- 10개
C- 14개
A- 4개
B- 3개
C- 6개
A- 13개
B- 15개
C- 14개
광 조건에서 발아율 조사
실온 암상태
A- 0개
B- 0개
C- 0개
A- 0개
B- 0개
C- 0개
A- 88개
B- 74개
C- 82개
A- 6개
B- 7개
C- 10개
A- 2개
B- 5개
C- 3개
A- 0개
B- 1개
C- 0개
암상태에서 발아율 조사 (호일로 싸준다)
※종자 사진
5월 25일. 실온, 30℃ 광상태, 실온 암상태 모두 유근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온
30℃ 광상태
실온암상태
5월 28일
실온 : 눈으로 봐도 쉽게 보일만큼 많은 유근이 생겼다.
30℃ 광상태 : 눈에 보일 듯 말 듯 한 유근이 생겼다.
실온 암상태 : 실온보다 더 많이 자라서 개수 세는데 많이 힘들었다.
5월 30일
실온
30℃ 암상태
실온 암상태
6월 4일
실온
30℃ 광상태
실온암상태
고 찰 :
1. 각 종자별 적정 발아조건을 이해한다.
우리조가 실험한 Creeping bentgrass의 적정발아조건은 실온 암상태였다. 27일에 모든 Petri-dish에서 유근이 많이 발견 되었는데 그중 실온 암상태에서 가장 많은 유근이 가장 빨리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2. 종자에서 유근이 출현하는 상태를 관찰해 본다.
※유근 [幼根]
종자식물의 배에 만들어진 뿌리. 싹이 튼 후 자라서 뿌리가 된다. ‘어린뿌리’로 순화.
유근이 나왔는지 안 나왔는지도 모를 만큼 조금 나왔다. 자세히 보면 하얀 싹 같은 것이 돋아 있다.
3. 발아율을 가장 빠르게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발아율 [發芽率]
일정한 양의 씨앗 가운데 발아할 수 있는 씨앗의 비율. 또는 뿌린 씨앗에 대하여 발아한 씨앗의 비율
가장 적당한 온도와 빛 수분을 준 상태에서 발아율을 재는 것이다. 온도별로 조사한다면 실온 실험실에서는 발아가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30℃에서는 발아가 가장 많이 되었음을 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온도를 30℃ 맞추어주고 빛과 수분을 잘 조절하여서 발아율을 빠르게 조사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실온에서 발아율
Petri-dish A
Petri-dish B
Petri-dish C
총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 (개)
82
69
95
총 치상종자 수 (개)
100
100
100
발아율 (%)
82%
69%
95%
30℃ 광상태에서 발아율
Petri-dish A
Petri-dish B
Petri-dish C
총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 (개)
26
38
42
총 치상종자 수 (개)
100
100
100
발아율 (%)
26%
38%
42%
실온 암상태에서 발아율
Petri-dish A
Petri-dish B
Petri-dish C
총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 (개)
96
87
95
총 치상종자 수 (개)
100
100
100
발아율 (%)
96%
87
95%
느 낀 점
1학기 마지막 실험.
Petri - dish에서 쑥쑥 자라는 잔디 종자를 보면서 미리 이 방법을 알았더라면, 잔디를 키울 때 이런 방식으로 싹을 틔워서 화분에 옮겨 심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유근이 난 잔디를 세러 실험실에 순번을 정했었는데, 내 차례가 되던 날, 유근이 너무 많이 나와서 게다가 우리 조의 잔디 종자는 더욱이 작았기 때문에 세는데 눈이 좀 아팠다. 그렇지만, 비교군마다 잔디 유근의 개수가 크게 차이나는 것에 역시 빛과 온도들이 식물의 삶의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끼게 되었다.
④ 상온과 30℃로 조절된 발아상에 넣고 발아 상태를 조사한다.
⑤ 2주일 후 최종 발아율을 조사한다.
발아율(%) =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총 치상 종 자수 ) * 100
※발아율
일정한 양의 씨앗 가운데 발아할 수 있는 씨앗의 비율. 또는 뿌린 씨앗에 대하여 발아한 씨앗의 비율.
6조
식물명
Creeping
bentgrass
처리 및 온도
5월 23일
5월 25일
5월 28일
5월30일
6월 4일
6월 7일
실온(실험실)
A- 0개
B- 0개
C- 0개
A- 0개
B- 0개
C- 0개
A- 66개
B- 58개
C- 65개
A- 8개
B- 9개
C- 12개
A- 8개
B- 2개
C- 17개
A- 0개
B- 0개
C- 1개
변온 상태에서의 발아율 조사
30℃ 광상태
A- 0개
B- 0개
C- 0개
A- 0개
B- 0개
C- 0개
A- 5개
B- 10개
C- 8개
A- 4개
B- 10개
C- 14개
A- 4개
B- 3개
C- 6개
A- 13개
B- 15개
C- 14개
광 조건에서 발아율 조사
실온 암상태
A- 0개
B- 0개
C- 0개
A- 0개
B- 0개
C- 0개
A- 88개
B- 74개
C- 82개
A- 6개
B- 7개
C- 10개
A- 2개
B- 5개
C- 3개
A- 0개
B- 1개
C- 0개
암상태에서 발아율 조사 (호일로 싸준다)
※종자 사진
5월 25일. 실온, 30℃ 광상태, 실온 암상태 모두 유근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온
30℃ 광상태
실온암상태
5월 28일
실온 : 눈으로 봐도 쉽게 보일만큼 많은 유근이 생겼다.
30℃ 광상태 : 눈에 보일 듯 말 듯 한 유근이 생겼다.
실온 암상태 : 실온보다 더 많이 자라서 개수 세는데 많이 힘들었다.
5월 30일
실온
30℃ 암상태
실온 암상태
6월 4일
실온
30℃ 광상태
실온암상태
고 찰 :
1. 각 종자별 적정 발아조건을 이해한다.
우리조가 실험한 Creeping bentgrass의 적정발아조건은 실온 암상태였다. 27일에 모든 Petri-dish에서 유근이 많이 발견 되었는데 그중 실온 암상태에서 가장 많은 유근이 가장 빨리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2. 종자에서 유근이 출현하는 상태를 관찰해 본다.
※유근 [幼根]
종자식물의 배에 만들어진 뿌리. 싹이 튼 후 자라서 뿌리가 된다. ‘어린뿌리’로 순화.
유근이 나왔는지 안 나왔는지도 모를 만큼 조금 나왔다. 자세히 보면 하얀 싹 같은 것이 돋아 있다.
3. 발아율을 가장 빠르게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발아율 [發芽率]
일정한 양의 씨앗 가운데 발아할 수 있는 씨앗의 비율. 또는 뿌린 씨앗에 대하여 발아한 씨앗의 비율
가장 적당한 온도와 빛 수분을 준 상태에서 발아율을 재는 것이다. 온도별로 조사한다면 실온 실험실에서는 발아가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30℃에서는 발아가 가장 많이 되었음을 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온도를 30℃ 맞추어주고 빛과 수분을 잘 조절하여서 발아율을 빠르게 조사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실온에서 발아율
Petri-dish A
Petri-dish B
Petri-dish C
총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 (개)
82
69
95
총 치상종자 수 (개)
100
100
100
발아율 (%)
82%
69%
95%
30℃ 광상태에서 발아율
Petri-dish A
Petri-dish B
Petri-dish C
총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 (개)
26
38
42
총 치상종자 수 (개)
100
100
100
발아율 (%)
26%
38%
42%
실온 암상태에서 발아율
Petri-dish A
Petri-dish B
Petri-dish C
총 유근이 출현한 상태의 종자 수 (개)
96
87
95
총 치상종자 수 (개)
100
100
100
발아율 (%)
96%
87
95%
느 낀 점
1학기 마지막 실험.
Petri - dish에서 쑥쑥 자라는 잔디 종자를 보면서 미리 이 방법을 알았더라면, 잔디를 키울 때 이런 방식으로 싹을 틔워서 화분에 옮겨 심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유근이 난 잔디를 세러 실험실에 순번을 정했었는데, 내 차례가 되던 날, 유근이 너무 많이 나와서 게다가 우리 조의 잔디 종자는 더욱이 작았기 때문에 세는데 눈이 좀 아팠다. 그렇지만, 비교군마다 잔디 유근의 개수가 크게 차이나는 것에 역시 빛과 온도들이 식물의 삶의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끼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