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직의 관점에서 본 교사상
2. 교원의 윤리 강령에서 본 교사상
제 1 장 스승과 제자
제 2 장 스승의 자질
제 3 장 스승의 책임
제 4 장 교육자와 단체
제 5 장 스승과 사회
3. 기 타
2. 교원의 윤리 강령에서 본 교사상
제 1 장 스승과 제자
제 2 장 스승의 자질
제 3 장 스승의 책임
제 4 장 교육자와 단체
제 5 장 스승과 사회
3. 기 타
본문내용
행복한 안식을 얻는 것과 같으리라.
7. 어린이가 내 앞에 있고, 가르칠 수 있는 환경과 능력이 있음을 감사하라. 그러면 어린이는 언제 어디서나 감사하며 살으리라.
8. 봉사하는 일에 앞장서며 봉사에 대하여 기쁘고 가치롭게 여기라. 그러면 어린이는 봉사하는 의미를 깨닫고 자연스런 봉사자가 되리라.
9. 항상 자료를 찾고, 연구하여 어린이들에게 학습하는 방법과 학습 자료를 주는 교사가 되라. 그러면 내 제자들은 탐구심이 강하고 부지런한 일꾼이 되리라.
10. 그대여 ! 위대한 용기를 주는 재미있는 교사가 되라. 그러면 그대 곁에 있는 그대의 제자들의 이 나라를 이끄는 믿음직스러운 위대한 지도자가 되리라.
〈좋은 선생님〉
1. 가르쳐도 모르면 태연하게 또 가르치는 선생님
2. 교육만을 낙으로 삼고 깨끗하게 사는 선생님
3. 공평하게 해 주시고 편애하지 않는 선생님
4. 국가 민족의 장래를 위해 봉사하는 선생님
5. 아무리 바빠도 숙제검사하는 선생님
6. 너그러운 마음으로 학생을 이해하는 선생님
7. 누구든지 우선 믿고 의심부터 하지 않는 선생님
8. 다재다능하셔도 잘난체 않는 선생님
9. 땀흘리어 가르치고 솔선수범하시는 선생님
10. 못한다고 하지않고 잘하라고 하는 선생님
11. 피곤하고 힘들어도 항상 미소를 잃지 않는 선생님
12. 속된 인생 저버리고 숭고하게 사는 선생님
13. 반복해서 질문해도 웃으시며 대답하는 선생님
14. 아버님 만나시면 술드시며 웃는 선생님
(조금 웃기지만 이 글을 만드신 분의 성의를 생각해서...)
15. 어머님 만나시면 나의 장점 이르시는 선생님
16. 우리들의 청이라면 마냥 즐거워 하시는 선생님
17. 공부, 공부 하지않고 사람되라 하시는 선생님
18. 제자들이 인사하면 답례하는 선생님
〈무명교사 예찬〉
나는 무명교사를 예찬하는 노래를 부르노라.
전투를 이기는 것은 위대한 장군이로되, 전쟁에 승리를 가져오는 것은 무명의 병사로다.
새로운 교육제도를 만드는 것은 이름 높은 교육자이로되, 젊은이를 올바르게 이끄는 것은 무명의 교사로다.
그가 사는 곳은 어두운 그늘, 가난을 당하되 달게 받는다. 그를 위하여 부는 나판 없고, 그를 태우고자 기다리는 황금마차 없으며, 금빛 찬란한 훈장이 그 가슴을 장식하지 않는도다.
묵묵히 어둠의 전선을 지키는 그 무지와 우매의 참호를 향하여 돌진하는 그이어니, 날마다 날마다 쉴 줄도 모르고 젊은이의 적인 악의 세력을 정복하고자 싸우며, 잠자고 있는 영혼을 일깨우도다. 게으른 자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주고, 하고자 하는 자를 고무하며 방황하는 자에게 안정을 주도다.
그는 스스로 학문하는 즐거움을 젊은이에게 전해 주며 지극히 값진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나누도다. 그가 켜는 수많은 촛불, 그 빛은 후일 그에게 되돌아와 그를 기쁘게 하노니, 이것이야말로 그가 받는 보상이로다.
지식은 책에서 배울 수 있으되, 지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오직 따뜻한 접촉으로써만 얻을 수 있는 것이로다.
공화국을 두루 살피되, 무명의 교사보다 예찬을 받아 마땅할 사람이 어디 있으랴, 민주사회의 귀족적 반열에 오를 자 그밖에 누구일 것인고, '자신의 임금이요, 인류의 머슴인저!'
( 1921. Henry Van Dyke 발표 )
〈인간 교육을 위한 참교육자의 상〉
·인간 인격자로서의 교사
·뚜렷한 가치 의식과 윤리 의식의 소유자
·바람직한 교육관과 교직관의 소유자
·전문적 자질의 소유자
·역사 의식의 소유자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교육애의 소유자
·개혁적 자질의 소유자
(김영우, "교육자론," 한기언 편저, [교육국가의 건설: 교육의 세기와 기초주의], 서울: 양서원,1994, pp.183-201.)
7. 어린이가 내 앞에 있고, 가르칠 수 있는 환경과 능력이 있음을 감사하라. 그러면 어린이는 언제 어디서나 감사하며 살으리라.
8. 봉사하는 일에 앞장서며 봉사에 대하여 기쁘고 가치롭게 여기라. 그러면 어린이는 봉사하는 의미를 깨닫고 자연스런 봉사자가 되리라.
9. 항상 자료를 찾고, 연구하여 어린이들에게 학습하는 방법과 학습 자료를 주는 교사가 되라. 그러면 내 제자들은 탐구심이 강하고 부지런한 일꾼이 되리라.
10. 그대여 ! 위대한 용기를 주는 재미있는 교사가 되라. 그러면 그대 곁에 있는 그대의 제자들의 이 나라를 이끄는 믿음직스러운 위대한 지도자가 되리라.
〈좋은 선생님〉
1. 가르쳐도 모르면 태연하게 또 가르치는 선생님
2. 교육만을 낙으로 삼고 깨끗하게 사는 선생님
3. 공평하게 해 주시고 편애하지 않는 선생님
4. 국가 민족의 장래를 위해 봉사하는 선생님
5. 아무리 바빠도 숙제검사하는 선생님
6. 너그러운 마음으로 학생을 이해하는 선생님
7. 누구든지 우선 믿고 의심부터 하지 않는 선생님
8. 다재다능하셔도 잘난체 않는 선생님
9. 땀흘리어 가르치고 솔선수범하시는 선생님
10. 못한다고 하지않고 잘하라고 하는 선생님
11. 피곤하고 힘들어도 항상 미소를 잃지 않는 선생님
12. 속된 인생 저버리고 숭고하게 사는 선생님
13. 반복해서 질문해도 웃으시며 대답하는 선생님
14. 아버님 만나시면 술드시며 웃는 선생님
(조금 웃기지만 이 글을 만드신 분의 성의를 생각해서...)
15. 어머님 만나시면 나의 장점 이르시는 선생님
16. 우리들의 청이라면 마냥 즐거워 하시는 선생님
17. 공부, 공부 하지않고 사람되라 하시는 선생님
18. 제자들이 인사하면 답례하는 선생님
〈무명교사 예찬〉
나는 무명교사를 예찬하는 노래를 부르노라.
전투를 이기는 것은 위대한 장군이로되, 전쟁에 승리를 가져오는 것은 무명의 병사로다.
새로운 교육제도를 만드는 것은 이름 높은 교육자이로되, 젊은이를 올바르게 이끄는 것은 무명의 교사로다.
그가 사는 곳은 어두운 그늘, 가난을 당하되 달게 받는다. 그를 위하여 부는 나판 없고, 그를 태우고자 기다리는 황금마차 없으며, 금빛 찬란한 훈장이 그 가슴을 장식하지 않는도다.
묵묵히 어둠의 전선을 지키는 그 무지와 우매의 참호를 향하여 돌진하는 그이어니, 날마다 날마다 쉴 줄도 모르고 젊은이의 적인 악의 세력을 정복하고자 싸우며, 잠자고 있는 영혼을 일깨우도다. 게으른 자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주고, 하고자 하는 자를 고무하며 방황하는 자에게 안정을 주도다.
그는 스스로 학문하는 즐거움을 젊은이에게 전해 주며 지극히 값진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나누도다. 그가 켜는 수많은 촛불, 그 빛은 후일 그에게 되돌아와 그를 기쁘게 하노니, 이것이야말로 그가 받는 보상이로다.
지식은 책에서 배울 수 있으되, 지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오직 따뜻한 접촉으로써만 얻을 수 있는 것이로다.
공화국을 두루 살피되, 무명의 교사보다 예찬을 받아 마땅할 사람이 어디 있으랴, 민주사회의 귀족적 반열에 오를 자 그밖에 누구일 것인고, '자신의 임금이요, 인류의 머슴인저!'
( 1921. Henry Van Dyke 발표 )
〈인간 교육을 위한 참교육자의 상〉
·인간 인격자로서의 교사
·뚜렷한 가치 의식과 윤리 의식의 소유자
·바람직한 교육관과 교직관의 소유자
·전문적 자질의 소유자
·역사 의식의 소유자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교육애의 소유자
·개혁적 자질의 소유자
(김영우, "교육자론," 한기언 편저, [교육국가의 건설: 교육의 세기와 기초주의], 서울: 양서원,1994, pp.183-201.)
추천자료
현대 사회에서 교사의 역할 및 이상적인 교사상에 대해 논하시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관계 (바람직한 교사상)
내 마음의 풍금에 나타난 바람직한 교사상
교사의 자질과 이상적인 교사상
21세기 사회가 원하는 교사상
죽은 시인의 사회 감상 및 교사상
[과학] 바람직한 교사상
김교신을 읽고 - 내가 꿈꾸는 교사상
진로계획서과 인생 계획표 및 나의 교사상jo
이상적인 교사 (바람직한 교사상)
[효과적인 교사, 바람직한교사상, 바람직한 교사] 효과적인 교사와 바람직한 교사
[체육] 이상적인 자신의 교사상에 대하여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자신의 교사상 :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육 또는 유아...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