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북미관계와 게임이론
1. 북미 관계의 역사적 전개과정
가. 제1기: 북미 관계 형성기(1948-1970)
나. 제2기: 인민외교 정책기(1970-1973)
다. 제3기: 정부간 교섭기(1974-1980)
라. 제4기: 인민외교-정부간 교섭 병행기(1981-1988)
마. 제5기: 관계 개선기(1988-현재)
2. 게임으로 본 북미 관계
가. 제1기: 교착 상태 게임
나. 제2기: 비대칭 게임
다. 제3기 : 죄수의 딜레마 게임
라. 제4기: 미국 효용 구조의 불안정성
마. 제5기: 사슴 사냥 게임
Ⅲ. 남북 관계와 게임 이론
1. 남북 관계의 역사적 전개 과정
가. 제1기: 적대 관계 유지기(1948-1970)
나. 제2기: 남북 대화 개시기(1970-1976)
다. 제3기: 대화 단절기(1976-1983)
라. 제4기: 대화 재개기(1984-1987)
마. 제5기: 실질적 교류 협력기(1988-1992)
바. 제6기:핵문제 대두와 관계 냉각기(1992년 말-현재)
2. 게임으로 본 남북 관계
가. 제1기: 제로섬 게임
나. 제2기: 죄수의 딜레마 게임(극도의 불신과 상대적 이득의 중요성)
다. 제3기: 죄수의 딜레마 게임(협력의 내용에 대한 합의 실패와 대결 의식의 지속)
라. 제4기: 죄수의 딜레마 게임(상대적 이득의 중요도 감소와 부수적 효용의 일시적 발생)
마. 제5기: 사슴 사냥 게임
바. 제6기: 사슴 사냥 게임 (극도의 불신에 의한 오해와 오인)
Ⅳ.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현황과 전망
1.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현황
가. 북미관계의 현황: 지속적인 관계 진전
나. 남북 관계의 현황: 대결 국면의 지속
2.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향후 전망
가. 북미 관계의 전망: 진전의 속도와 폭
나. 남북 관계의 전망: 단기 대치, 중장기 개선
Ⅴ.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가.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게임 이론적 설명
나.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전망
2. 시사점
참고문헌
II. 북미관계와 게임이론
1. 북미 관계의 역사적 전개과정
가. 제1기: 북미 관계 형성기(1948-1970)
나. 제2기: 인민외교 정책기(1970-1973)
다. 제3기: 정부간 교섭기(1974-1980)
라. 제4기: 인민외교-정부간 교섭 병행기(1981-1988)
마. 제5기: 관계 개선기(1988-현재)
2. 게임으로 본 북미 관계
가. 제1기: 교착 상태 게임
나. 제2기: 비대칭 게임
다. 제3기 : 죄수의 딜레마 게임
라. 제4기: 미국 효용 구조의 불안정성
마. 제5기: 사슴 사냥 게임
Ⅲ. 남북 관계와 게임 이론
1. 남북 관계의 역사적 전개 과정
가. 제1기: 적대 관계 유지기(1948-1970)
나. 제2기: 남북 대화 개시기(1970-1976)
다. 제3기: 대화 단절기(1976-1983)
라. 제4기: 대화 재개기(1984-1987)
마. 제5기: 실질적 교류 협력기(1988-1992)
바. 제6기:핵문제 대두와 관계 냉각기(1992년 말-현재)
2. 게임으로 본 남북 관계
가. 제1기: 제로섬 게임
나. 제2기: 죄수의 딜레마 게임(극도의 불신과 상대적 이득의 중요성)
다. 제3기: 죄수의 딜레마 게임(협력의 내용에 대한 합의 실패와 대결 의식의 지속)
라. 제4기: 죄수의 딜레마 게임(상대적 이득의 중요도 감소와 부수적 효용의 일시적 발생)
마. 제5기: 사슴 사냥 게임
바. 제6기: 사슴 사냥 게임 (극도의 불신에 의한 오해와 오인)
Ⅳ.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현황과 전망
1.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현황
가. 북미관계의 현황: 지속적인 관계 진전
나. 남북 관계의 현황: 대결 국면의 지속
2.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향후 전망
가. 북미 관계의 전망: 진전의 속도와 폭
나. 남북 관계의 전망: 단기 대치, 중장기 개선
Ⅴ.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가.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게임 이론적 설명
나. 북미 관계와 남북 관계의 전망
2.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관계와 미국」.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남궁영. 1995. "북한의 쌀 지원 요청 배경과 지원 방안".「통일경제」7월호, pp. 54-59.
문정인. 1990. 「남북한 갈등 구조와 주한 미군」. 서울: 대한정책개발연구소.
문정인. 1995. "국제 질서의 개편과 남북 관계의 재평가".「통일경제」5월호, pp.56-70.
민족통일연구원. 1994. 「미국과 일본의 대북한 관계 개선과 남북한 관계」. 서울: 민
족통일연구원.
민족통일연구원. 1994. 「북한 핵문제와 남북한 관계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박영호. 1994. "북미 합의 이후의 남북한 관계". 「남북한 관계 현황 및 1995년 정세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박영호. 1995. "김정일 정권 출범 이후의 남북한 관계 전망". 「통일경제」9월호, pp.
35-41.
박주식. 1994. "2 2 게임과 국제 관계에서의 갈등 분석". 「한국과 국제정치」제10권
1호, pp. 15-38.
박효종. 1994. 「합리적 선택과 공공재」. 서울: 인간사랑.
안병준. 1994. "남북한 관계와 한미 관계". 「남북한 관계와 미국」. 서울: 민족통일연
구원.
유석렬. 1994. 「남북한 통일론」. 서울: 법문사.
윤용희. 1993. "북한·미국 관계의 변화 전망". 「국제정치논집」33집 2호.
이내영. 1994. "북미관계의 정상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1994 북한 및 통일연
구 논문집 제Ⅴ권」. 서울: 통일원.
이종석. 1992. "북한의 대남 정책의 전개와 변화 과정". 「통일문제연구」4권, 3호.
이춘근. 1995.「북한 핵의 문제」. 서울: 세종연구소.
위크먼, 스티븐. 1995. "북미 경제 관계의 현황과 전망".「통일경제」7월호, pp. 36-40.
전웅. 1995. "북미 경수로 공급 협상과 남북 관계 전망".「통일경제」7월호, pp. 62-73.
정영태. 1993.“북한의 핵정책과 대미 관계”.「통일경제논총」제2권 2호.
표완수. 1995. "너그러운 정부와 강경한 국민". 「통일경제」9월호, pp. 15-18.
한영탁. 1995. "대북 유화 정책은 실패했다".「통일경제」10월호, pp. 11-14.
허근. 1993.「남북한 경제 교류의 과제와 대응 방안」.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
연구센터.
Ahn, Byung-Joon. 1993.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after the Cold War." In
Manwoo Lee and Richard Mansbach (eds.), The Changing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seoul: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Allison, Graham T. 1971. Essence of Decision. Boston: Little Brown.
Bueno de Mesquita, Bruce, and Chae-Han Kim. 1995.“Rational Choice Models and
Inter-Korean Relations.”In Colonialism, Neo-Familism, and Rationality:
Perspectives of Korean Issues. Seoul: Sowha Publishing Co.
Cotton, James. 1995.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Nuclear Accord: Background
and Consequences." Korea Observer 26, 3.
Jervis, Robert. 1976.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Mansbach, Richard. 1993.“The New Order in Northeast Asia: A Theoretical
Overview.”In Manwoo Lee and Richard Mansbach (eds.), The
Changing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Seoul: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Moon, Chung-in. 1991. "Managing Inter-Korean Conflict and CBMs." Korea
Observer 22, spring, pp. 39-64.
Morrow, James D. 1994. Game Theory for Political Scientist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Mueller, D. C. 1989. Public Choice Ⅱ.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Ordeshook, Peter C. 1986. Game Theory and Polit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alapino, Robert A. 1993.“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he Uncertain
Future.”The Korean Journal of National Unification(special edition), pp.
7-22.
Snidal, Duncan. 1991. "Relative Gains and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5, 3.
Suh. Dae-Sook. 1995.“North Korean Foreign Policy and Japan”「통일경제」4월호.
(번역 게재)
Waltz, Kenneth. 1979.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Mass:
Addison-Wesley.
남궁영. 1995. "북한의 쌀 지원 요청 배경과 지원 방안".「통일경제」7월호, pp. 54-59.
문정인. 1990. 「남북한 갈등 구조와 주한 미군」. 서울: 대한정책개발연구소.
문정인. 1995. "국제 질서의 개편과 남북 관계의 재평가".「통일경제」5월호, pp.56-70.
민족통일연구원. 1994. 「미국과 일본의 대북한 관계 개선과 남북한 관계」. 서울: 민
족통일연구원.
민족통일연구원. 1994. 「북한 핵문제와 남북한 관계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박영호. 1994. "북미 합의 이후의 남북한 관계". 「남북한 관계 현황 및 1995년 정세
전망」.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박영호. 1995. "김정일 정권 출범 이후의 남북한 관계 전망". 「통일경제」9월호, pp.
35-41.
박주식. 1994. "2 2 게임과 국제 관계에서의 갈등 분석". 「한국과 국제정치」제10권
1호, pp. 15-38.
박효종. 1994. 「합리적 선택과 공공재」. 서울: 인간사랑.
안병준. 1994. "남북한 관계와 한미 관계". 「남북한 관계와 미국」. 서울: 민족통일연
구원.
유석렬. 1994. 「남북한 통일론」. 서울: 법문사.
윤용희. 1993. "북한·미국 관계의 변화 전망". 「국제정치논집」33집 2호.
이내영. 1994. "북미관계의 정상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1994 북한 및 통일연
구 논문집 제Ⅴ권」. 서울: 통일원.
이종석. 1992. "북한의 대남 정책의 전개와 변화 과정". 「통일문제연구」4권, 3호.
이춘근. 1995.「북한 핵의 문제」. 서울: 세종연구소.
위크먼, 스티븐. 1995. "북미 경제 관계의 현황과 전망".「통일경제」7월호, pp. 36-40.
전웅. 1995. "북미 경수로 공급 협상과 남북 관계 전망".「통일경제」7월호, pp. 62-73.
정영태. 1993.“북한의 핵정책과 대미 관계”.「통일경제논총」제2권 2호.
표완수. 1995. "너그러운 정부와 강경한 국민". 「통일경제」9월호, pp. 15-18.
한영탁. 1995. "대북 유화 정책은 실패했다".「통일경제」10월호, pp. 11-14.
허근. 1993.「남북한 경제 교류의 과제와 대응 방안」.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
연구센터.
Ahn, Byung-Joon. 1993.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after the Cold War." In
Manwoo Lee and Richard Mansbach (eds.), The Changing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seoul: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Allison, Graham T. 1971. Essence of Decision. Boston: Little Brown.
Bueno de Mesquita, Bruce, and Chae-Han Kim. 1995.“Rational Choice Models and
Inter-Korean Relations.”In Colonialism, Neo-Familism, and Rationality:
Perspectives of Korean Issues. Seoul: Sowha Publishing Co.
Cotton, James. 1995.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Nuclear Accord: Background
and Consequences." Korea Observer 26, 3.
Jervis, Robert. 1976.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Mansbach, Richard. 1993.“The New Order in Northeast Asia: A Theoretical
Overview.”In Manwoo Lee and Richard Mansbach (eds.), The
Changing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Seoul: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Moon, Chung-in. 1991. "Managing Inter-Korean Conflict and CBMs." Korea
Observer 22, spring, pp. 39-64.
Morrow, James D. 1994. Game Theory for Political Scientist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Mueller, D. C. 1989. Public Choice Ⅱ.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Ordeshook, Peter C. 1986. Game Theory and Polit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alapino, Robert A. 1993.“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he Uncertain
Future.”The Korean Journal of National Unification(special edition), pp.
7-22.
Snidal, Duncan. 1991. "Relative Gains and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5, 3.
Suh. Dae-Sook. 1995.“North Korean Foreign Policy and Japan”「통일경제」4월호.
(번역 게재)
Waltz, Kenneth. 1979.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Mass:
Addison-Wesley.
추천자료
대북 화해협력 정책 추진현황 고찰 - 경의선
대북 투자방향 연구
남한의 대북정책과 통일방안
대북정책과 한반도 안보정책에 관하여
노무현 정부의 대북관과 이명박정부의 대북관 비교
[북한핵문제][북핵문제][한반도정책][대북정책][대남전략]북한핵문제(북핵문제)에 따른 한반...
[북한핵문제][북핵문제][핵문제][핵무기][한반도핵문제][대북정책][대미정책]북한핵문제의 배...
[일본 대북정책][북일관계][북핵문제][일본의 대북한 국교정상화정책]일본의 대북정책과 북일...
[남북통일정책][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통일정책의 변천, 북한 대외정책의 전개, 북한의 경...
[미국 부시행정부][미국 정부][부시]미국 부시행정부의 신안보전략, 미국 부시행정부의 한반...
참여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문제
[정치] 햇볕정책 이전의 대북정책과 햇볕정책, MB정부의 대북정책
[남북화해시대, 대북보도, 방송저널리즘, 통일운동, 통일교육, 주한미군]남북화해시대의 대북...
[남북화해시대][대북인식][통일의식][통일운동][언론][방송저널리즘]남북화해시대의 대북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