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결과 및 고찰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결과 및 고찰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만족(매우불만족포함)한 경우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생활환경별로 살펴보았을 때 중소도시(44.5%), 대도시(47.1%), 농 어촌(56.9%), 기타지역(59.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농 어촌과 기타지역이 도시지역보다 불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문화복지 시설과 혜택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가 있겠다.
거주지별로 비교해 볼 때 광주직할시가 "만족"(매우만족포함)에 30.9%의 응답을 하여 제일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이 대전광역시도 9.0%를 보이고 있으며 만족의 비율이 낮게 나타난 지역은 경기도(4.0%)와 인천(4.3%)으로 나타났다. 불만족과 매우 불만족의 비율이 강원도(59.6%)와 경기도(55.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불만족의 비율이 낮은 지역은 광주(25.5%)와 서울(37.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문화복지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낮은 실정이며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문화복지 정책수립과 지역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표-16> 지역사회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만족도
매우만족
만 족
보 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생활환경
대 도 시
0.8
5.3
46.8
37.5
9.6
중소도시
0.4
8.7
46.4
38.3
6.2
농·어촌
2.5
9.2
31.4
43.3
13.6
기 타
0
0
40.9
40.9
18.2
거주지
서 울
1.7
6.1
55.1
31.8
5.3
부 산
0
5.9
44.8
39.7
9.6
대 구
1.0
8.0
42.8
35.8
12.4
대 전
1.0
10.8
44.3
39.7
4.2
인 천
0
4.3
49.8
39.8
6.1
광 주
2.7
28.2
43.6
20.9
4.6
경기도
0.6
3.4
40.5
45.7
9.8
강원도
1.3
6.5
32.6
44.0
15.6
17. 기대되는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 주십시오
기대되는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결과는 <표-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요일 격주 근무제로 여가시간의 확대(25.2%)가 응답자들중 가장 기대하는 국가 문화복지 정책의 요소이었으며 또한 청소년 문제 해소(16.0%), 문화, 예술, 공공시설 증설 및 이용요금 저렴화(15.7%), 의료복지의 여건 변화(15.5%), 지방문화 확대(11.1%)등이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의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7> 기대되는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
비 고
항 목
백분율(%)
국립공원 이용요금 무료화
4.9
문화, 예술, 공공시설 증설 및
이용요금 저렴화
15.7
토요일 격주 근무제로 여가시간 확대
25.2
의료복지의 여건변화
15.5
정보통신의 발달
6.9
청소년 문제 해소
16
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
6.0
지방문화 확대
11.1
Ⅲ. 결 론
각 분석의 중요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주중 및 주말의 여가시간은 남녀, 대부분이 3시간 미만이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여가시간이 많다.
2) 여가활동 참여의 동기 및 목적에서 남자는 "적당한 시간활용", 여자는 "피로나 불만 해소"로 나타났다.
3) 여가활동 종류에서 남녀가 "TV 및 비디오 시청"과 휴일이 이용은 "집에서 쉰다"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했다.
4) 여가활동시 함께하는 동참자는 "가족과 함께"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5) 향후 기대되는 여가활동은 남녀가 "취미활동"과 "해외여행"을 선호한다.
6) 지역사회의 문화복지 정책에 도시보다 농·어촌이 불만족으로 나타났다.
7) 기대되는 문화복지 정책의 첫 번쩌는 "토요일 격주 근무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현대사회에서 국민복지 차원만으로 여가를 생각 할 수가 없다. 여가 활동은 개개인의 생활에 중요한 부분으로써 각 개인들이 여분의 시간을 활용하는 소극적인 여가활용 형태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형태가 현대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가시간 증대와 적극적인 참여활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여가활동을 각 연령층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투자가 우선 되어야 한다고 할 수가 있겠다.
참 고 문 헌
1. 공보처(1995).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식
2. 문화체육부(1995). 국민 체력 실태 조사
3. 문화체육부(1996). 「삶의 질」세계화를 위한 문화복지 기본 구상
4. 보건복지부(1995). 보건복지 통계연보
5. 보건신문사(1996). 보건 연감
6. 의료보험 관리공단(1993). 건강 진단 결과 분석
7. 의료보험 관리공단(1994). 피 보험자 건강진단 결과 분석
8. 의료보험 관리공단(1995). 95 피 부양자 성인병 걸린 결과분석
9. 總務廳 統計局(1995). 日本統計年監
10. 總務廳 統計局(1996). 日本統計年監
11. 체육 청소년부(1992). 학생 체력 검사 제도 개선 연구
12. 통계청(1995). 한국의 사회 지표
13. 통계청(1995). 한국의 통계연감(제 42호)
14. 통계청(1996). 인구이동 통계연보
15. 한국관광공사(1985). 국민 여가생활의 실태 분석과 대책
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5). 국민 건강 증진 목표와 전략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5). 한국인의 보건 의식 형태
18. 한국체육과학연구원(1990). 제7차 경제 사회 발전 5개년 계획 체육부분 개발 계획(1992-1996)
19. 厚生統計協會(1992). 國民衛生の 動向
20. 厚生省保健 療局(1994). 國民榮養の 現狀
21. U S Department of Commerce(1995).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1995 (115th Edition)
22. Department of the Arts, Sports, the Environment and Territories(1992). The Fitness of Australians 1992(Technical Paper No.5)
23.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Canberra(1992). Year Book Australia. 1992
거주지별로 비교해 볼 때 광주직할시가 "만족"(매우만족포함)에 30.9%의 응답을 하여 제일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이 대전광역시도 9.0%를 보이고 있으며 만족의 비율이 낮게 나타난 지역은 경기도(4.0%)와 인천(4.3%)으로 나타났다. 불만족과 매우 불만족의 비율이 강원도(59.6%)와 경기도(55.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불만족의 비율이 낮은 지역은 광주(25.5%)와 서울(37.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문화복지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낮은 실정이며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문화복지 정책수립과 지역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표-16> 지역사회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만족도
매우만족
만 족
보 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생활환경
대 도 시
0.8
5.3
46.8
37.5
9.6
중소도시
0.4
8.7
46.4
38.3
6.2
농·어촌
2.5
9.2
31.4
43.3
13.6
기 타
0
0
40.9
40.9
18.2
거주지
서 울
1.7
6.1
55.1
31.8
5.3
부 산
0
5.9
44.8
39.7
9.6
대 구
1.0
8.0
42.8
35.8
12.4
대 전
1.0
10.8
44.3
39.7
4.2
인 천
0
4.3
49.8
39.8
6.1
광 주
2.7
28.2
43.6
20.9
4.6
경기도
0.6
3.4
40.5
45.7
9.8
강원도
1.3
6.5
32.6
44.0
15.6
17. 기대되는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 주십시오
기대되는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결과는 <표-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요일 격주 근무제로 여가시간의 확대(25.2%)가 응답자들중 가장 기대하는 국가 문화복지 정책의 요소이었으며 또한 청소년 문제 해소(16.0%), 문화, 예술, 공공시설 증설 및 이용요금 저렴화(15.7%), 의료복지의 여건 변화(15.5%), 지방문화 확대(11.1%)등이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의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7> 기대되는 국가의 문화복지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
비 고
항 목
백분율(%)
국립공원 이용요금 무료화
4.9
문화, 예술, 공공시설 증설 및
이용요금 저렴화
15.7
토요일 격주 근무제로 여가시간 확대
25.2
의료복지의 여건변화
15.5
정보통신의 발달
6.9
청소년 문제 해소
16
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
6.0
지방문화 확대
11.1
Ⅲ. 결 론
각 분석의 중요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주중 및 주말의 여가시간은 남녀, 대부분이 3시간 미만이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여가시간이 많다.
2) 여가활동 참여의 동기 및 목적에서 남자는 "적당한 시간활용", 여자는 "피로나 불만 해소"로 나타났다.
3) 여가활동 종류에서 남녀가 "TV 및 비디오 시청"과 휴일이 이용은 "집에서 쉰다"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했다.
4) 여가활동시 함께하는 동참자는 "가족과 함께"가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5) 향후 기대되는 여가활동은 남녀가 "취미활동"과 "해외여행"을 선호한다.
6) 지역사회의 문화복지 정책에 도시보다 농·어촌이 불만족으로 나타났다.
7) 기대되는 문화복지 정책의 첫 번쩌는 "토요일 격주 근무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현대사회에서 국민복지 차원만으로 여가를 생각 할 수가 없다. 여가 활동은 개개인의 생활에 중요한 부분으로써 각 개인들이 여분의 시간을 활용하는 소극적인 여가활용 형태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형태가 현대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가시간 증대와 적극적인 참여활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여가활동을 각 연령층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투자가 우선 되어야 한다고 할 수가 있겠다.
참 고 문 헌
1. 공보처(1995).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식
2. 문화체육부(1995). 국민 체력 실태 조사
3. 문화체육부(1996). 「삶의 질」세계화를 위한 문화복지 기본 구상
4. 보건복지부(1995). 보건복지 통계연보
5. 보건신문사(1996). 보건 연감
6. 의료보험 관리공단(1993). 건강 진단 결과 분석
7. 의료보험 관리공단(1994). 피 보험자 건강진단 결과 분석
8. 의료보험 관리공단(1995). 95 피 부양자 성인병 걸린 결과분석
9. 總務廳 統計局(1995). 日本統計年監
10. 總務廳 統計局(1996). 日本統計年監
11. 체육 청소년부(1992). 학생 체력 검사 제도 개선 연구
12. 통계청(1995). 한국의 사회 지표
13. 통계청(1995). 한국의 통계연감(제 42호)
14. 통계청(1996). 인구이동 통계연보
15. 한국관광공사(1985). 국민 여가생활의 실태 분석과 대책
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5). 국민 건강 증진 목표와 전략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5). 한국인의 보건 의식 형태
18. 한국체육과학연구원(1990). 제7차 경제 사회 발전 5개년 계획 체육부분 개발 계획(1992-1996)
19. 厚生統計協會(1992). 國民衛生の 動向
20. 厚生省保健 療局(1994). 國民榮養の 現狀
21. U S Department of Commerce(1995).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1995 (115th Edition)
22. Department of the Arts, Sports, the Environment and Territories(1992). The Fitness of Australians 1992(Technical Paper No.5)
23.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Canberra(1992). Year Book Australia. 1992
추천자료
우리 조상들의 여가생활
계층차이에 따른 여가활동의 조사분석
[소득][최저생활욕구][가구특성에 따른 소득][가구주에 따른 소득][저소득가정소득][노인가정...
여가문화(생활)의 현대적 의미와 대중화에 관한 고찰
생활보호제도의 의의, 생활보호제도의 원칙, 차상위계층의 의미, 차상위계층의 특성, 차상위...
북한의 계층구조에서 고위층과 생활상
<교수학습과정안 - 높임법지도안 (6/8)> 시나리오 : 4. 여가생활 (3) 앉아서 하는 스트레칭- ...
[노인보건복지, 소득보장]노인보건복지와 소득보장 및 여가선용, 국민연금재정확충, 노인보건...
[계층별 여가 활동 분석] 계층별 여가활동, 계급별 여가활동의 사례 분석 및 전망있는 여가 ...
민속놀이와 놀이문화_ 놀이의 개념, 놀이와 인간, 놀이의 두 형태(양반과 서민의 여가생활), ...
한국과 일본 대학생 비교 (대학생의 생각, 여가생활, 동아리 활동, 축제, 술문화, 취업)
노인 여가 생활 빈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가설, 사회복지조사론, 가설설정, 가설검증)
[노년기 발달] 노년기의 신체변화, 인지변화, 행동특성 변화, 노년기의 심리적 적응, 은퇴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