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등장인물의 분석
(2)구조 및 내용 분석
(3)무대 배경,음악,춤
(4)주제와 사상
(5)느낀점
(2)구조 및 내용 분석
(3)무대 배경,음악,춤
(4)주제와 사상
(5)느낀점
본문내용
다. 또한 맨 마지막의 코로스가 말하는 구절은 인간의 삶의 한계와 동시에 관객들에게 경고와 동시에 교훈을 던져주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관객 앞에서 상연을 전제로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내용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음에도 어떻게 펼쳐질지 참 흥미진진했고, 관객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것 같았다. 우선 "비극이란 고귀하거나 탁월한 인간에 일어난 살상 혹은 큰 불행을 가지고 만든 교훈이다"라고 말한 라자르 드 바이프(Lazzare de Baif)처럼 주인공의 지위가 높을수록 떨어질 수 있는 높이도 높아지고 그 때에 느끼는 서민들의 감정을 여기에서 또한 잘 나타내 주고 있고, 이러한 것이 바로 비극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 스핑크스의 문제를 풀고 당당하고 지혜롭던 그리고 나라를 걱정해주던 왕이 결말에 가서는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눈을 찌르고 명령을 내리던 자들에게 비참하게 간청하고 있는 모습의 변화는 얼마나 큰 것인가? 또한 아이러니 하게도 주인공만이 잘 모르고 있고, 나머지 사람들은 어느 정도라도 알고 있다는 점에서도 특이하다고 생각했다. 극이기 때문에 시간의 제약을 받으므로 사건의 중간에서 시작되어 앞으로 사건을 분석하며 거슬러 올라가 보는 분석극의 형식을 띠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도 불안함을 느끼고는 있지만 독자와 주변 인물보다 잘 모르는 주인공의 모습이 더욱 비극성을 강조하는 듯 하다. 그리고 왕비나 코로스 등이 그에게 주려는 안도감은 오히려 그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점층적으로 불안감과 위기가 조성되고 오이디푸스의 내면의 비통함이 결말에 드러날 때에 독자들이 연민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운명이라는 틀 속에서 발버둥치지만 결국은 그렇게 돼버리고 만 오이디푸스의 운명이 읽는 이로 하여금 허무감을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간접적 경험을 통해 우리는 감정을 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그 당시를 비롯 오늘날까지도 교훈과 생각할 거리를 던져줄 수 있는 것 같다. 또한, 오이디푸스라는 인물에 대해 무작정 잘 알지 못하면서 부정적이고, 도덕적이지 못한 인물로 간주했었는데, 그러한 상황을 숨기고 왕위를 유지하려고 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스스로 움직인 이상 그를 더 이상 어느 누구도 그를 그렇게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문헌>
1. 오이디푸스왕(범우 고전서 002) 소포클레스 | 황문수 | 범우사
2. 오이디푸스와 서사 배대화 | 경남대학교출판부
또한 이 글은 관객 앞에서 상연을 전제로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내용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음에도 어떻게 펼쳐질지 참 흥미진진했고, 관객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것 같았다. 우선 "비극이란 고귀하거나 탁월한 인간에 일어난 살상 혹은 큰 불행을 가지고 만든 교훈이다"라고 말한 라자르 드 바이프(Lazzare de Baif)처럼 주인공의 지위가 높을수록 떨어질 수 있는 높이도 높아지고 그 때에 느끼는 서민들의 감정을 여기에서 또한 잘 나타내 주고 있고, 이러한 것이 바로 비극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 스핑크스의 문제를 풀고 당당하고 지혜롭던 그리고 나라를 걱정해주던 왕이 결말에 가서는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눈을 찌르고 명령을 내리던 자들에게 비참하게 간청하고 있는 모습의 변화는 얼마나 큰 것인가? 또한 아이러니 하게도 주인공만이 잘 모르고 있고, 나머지 사람들은 어느 정도라도 알고 있다는 점에서도 특이하다고 생각했다. 극이기 때문에 시간의 제약을 받으므로 사건의 중간에서 시작되어 앞으로 사건을 분석하며 거슬러 올라가 보는 분석극의 형식을 띠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도 불안함을 느끼고는 있지만 독자와 주변 인물보다 잘 모르는 주인공의 모습이 더욱 비극성을 강조하는 듯 하다. 그리고 왕비나 코로스 등이 그에게 주려는 안도감은 오히려 그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점층적으로 불안감과 위기가 조성되고 오이디푸스의 내면의 비통함이 결말에 드러날 때에 독자들이 연민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운명이라는 틀 속에서 발버둥치지만 결국은 그렇게 돼버리고 만 오이디푸스의 운명이 읽는 이로 하여금 허무감을 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간접적 경험을 통해 우리는 감정을 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그 당시를 비롯 오늘날까지도 교훈과 생각할 거리를 던져줄 수 있는 것 같다. 또한, 오이디푸스라는 인물에 대해 무작정 잘 알지 못하면서 부정적이고, 도덕적이지 못한 인물로 간주했었는데, 그러한 상황을 숨기고 왕위를 유지하려고 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스스로 움직인 이상 그를 더 이상 어느 누구도 그를 그렇게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문헌>
1. 오이디푸스왕(범우 고전서 002) 소포클레스 | 황문수 | 범우사
2. 오이디푸스와 서사 배대화 | 경남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희랍비극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프로이트 이론의 분석과 각 분야별 적용 사례 및 영향
안티고네 (독서세미나)
'안티고네' 독후감
그리스와 로마 문화
오디푸스왕을읽고
연극의 기원과 그리스비극
[문학교육][항존성][텍스트][반응중심이론][문학토의]문학교육의 정의, 문학교육의 항존성, ...
신화사랑의 이해 중간
그리스비극에 나타난 시대정신
[서양사개설] 그리스 문화; 비극과 철학
재앙 서사의 자기 갱신
2015년 2학기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현대연극이 지닌 특징이나 성향)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적 정리에 따라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