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양사개설
그리스 문화 ; 비극과 철학
1. 그리스 비극
(1) 아이스킬로스(Aeschylos;기원전 524-456)의 <오레스테이아(Oresteia) 3부작>
(2) 소포클레스(Sophocles; 기원전 496-406)의 <오이디푸스 왕(Oedipus Tyrannus)>
(3) 에우리피데스(Euripides; 기원전 480-406)의 <메데이아(Medeia>
2. 그리스 철학 ; 플라톤(Platon; BC 429-347)의 『국가(Politeia)』
(1) 저자
(2) 사상적 배경
(3) 줄거리
(4) 해제
3. 결론 ; ‘이성과 자유’(이디스 해밀턴,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 까치, 참조)
그리스 문화 ; 비극과 철학
1. 그리스 비극
(1) 아이스킬로스(Aeschylos;기원전 524-456)의 <오레스테이아(Oresteia) 3부작>
(2) 소포클레스(Sophocles; 기원전 496-406)의 <오이디푸스 왕(Oedipus Tyrannus)>
(3) 에우리피데스(Euripides; 기원전 480-406)의 <메데이아(Medeia>
2. 그리스 철학 ; 플라톤(Platon; BC 429-347)의 『국가(Politeia)』
(1) 저자
(2) 사상적 배경
(3) 줄거리
(4) 해제
3. 결론 ; ‘이성과 자유’(이디스 해밀턴,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 까치, 참조)
본문내용
진리 주장
- 보수적 혹은 강자의 논리로 흐를 수 있음
※ 플라톤이 강조한 정의 ; 다른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는 것/나라의 수호자들이 사생활보다는 공적 생활을 중시하는 것/자신의 분수를 지키는 것/동족인 헬라스인의 영토를 유린하지 않는 것.....공동체의 윤리에 근거하고 있음
③ 이상주의자
- 현실과 무원칙에 매몰되지 않고 끓임 없이 이상과 원칙, 정의를 추구하는 세계관 제시
3. 결론 ; ‘이성과 자유’(이디스 해밀턴,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 까치, 참조)
* 이성이란? ; 사물의 본질을 추구하고 진리를 찾는 힘. 진리와 거짓, 선과 악, 미와 추를 구별하는 힘
* 사물, 우주의 본질은 조화와 질서, 비례와 균형
※ 카오스 ; 아낙사고라스, ‘이성이 일어나 모든 혼돈이 끝나고 질서가 생겼다’
- 이성(logos, ratio)는 조화와 질서, 빛의 의미
* 자유의 개념으로 확대
- 우주와 자연의 본질과 원리를 이해하게 되므로 자연에 대한 공포 소멸, 자유 개념 등장,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자연에 대한 공포는 절대적 신과 전제군주에 대한 두려움과 복종으로 연결
- 아이스킬로스의 <페르시아 사람들> ; 페르시아 여왕에게 ‘그리스인들은 자유인으로 싸우고 왕을 섬기지 않으며 오로지 법률에만 복종한다’라고 주장....
- 자유인이란 ‘스스로 생각하고 자기의 생각으로 말할 수 있는 사람’ 즉 민회에 참석할 수 있는 시민. 민주정과 연결
* 윤리적 의미
- 그리스 인들은 선의 이데아를 추구
- 이성은 밝은 빛으로 마음의 어둠, 즉 분노와 노여움, 욕망, 불안(정념)을 몰아내는 힘. 정념에 치우치지 않고 절제와 중용을 유지하는 힘. 윤리와 도덕과 연관
* 예술적 의미 ; 예술은 이성의 영역
-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미의 추구 ; 비극에서의 형식성, 조각에서의 비례와 균형 강조
- 아리스토텔레스 ; 플라톤과 달이 예술도 진리를 추구하는 방법이라고 주장. 왜냐하면 그것 역시 이성과 진리를 표현하므로....
* 종교 역시 이성적이고 합리적 추구하고 그것에 비추어 자신의 인생을 성찰해가는 것
- 종교란 궁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
- 그리스인들이 궁극적인 것을 추구하기 위해 취한 방식은 철학 ; 이데아의 추구
- 이데아를 추구하며 자신을 성찰 ;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 델포이 신전에 새겨진 문구 ; ‘너 자신을 알라. 너무 지나치지 말라’
- 궁극적인 이데아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성취 가능
- 보수적 혹은 강자의 논리로 흐를 수 있음
※ 플라톤이 강조한 정의 ; 다른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는 것/나라의 수호자들이 사생활보다는 공적 생활을 중시하는 것/자신의 분수를 지키는 것/동족인 헬라스인의 영토를 유린하지 않는 것.....공동체의 윤리에 근거하고 있음
③ 이상주의자
- 현실과 무원칙에 매몰되지 않고 끓임 없이 이상과 원칙, 정의를 추구하는 세계관 제시
3. 결론 ; ‘이성과 자유’(이디스 해밀턴,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 까치, 참조)
* 이성이란? ; 사물의 본질을 추구하고 진리를 찾는 힘. 진리와 거짓, 선과 악, 미와 추를 구별하는 힘
* 사물, 우주의 본질은 조화와 질서, 비례와 균형
※ 카오스 ; 아낙사고라스, ‘이성이 일어나 모든 혼돈이 끝나고 질서가 생겼다’
- 이성(logos, ratio)는 조화와 질서, 빛의 의미
* 자유의 개념으로 확대
- 우주와 자연의 본질과 원리를 이해하게 되므로 자연에 대한 공포 소멸, 자유 개념 등장,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자연에 대한 공포는 절대적 신과 전제군주에 대한 두려움과 복종으로 연결
- 아이스킬로스의 <페르시아 사람들> ; 페르시아 여왕에게 ‘그리스인들은 자유인으로 싸우고 왕을 섬기지 않으며 오로지 법률에만 복종한다’라고 주장....
- 자유인이란 ‘스스로 생각하고 자기의 생각으로 말할 수 있는 사람’ 즉 민회에 참석할 수 있는 시민. 민주정과 연결
* 윤리적 의미
- 그리스 인들은 선의 이데아를 추구
- 이성은 밝은 빛으로 마음의 어둠, 즉 분노와 노여움, 욕망, 불안(정념)을 몰아내는 힘. 정념에 치우치지 않고 절제와 중용을 유지하는 힘. 윤리와 도덕과 연관
* 예술적 의미 ; 예술은 이성의 영역
-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미의 추구 ; 비극에서의 형식성, 조각에서의 비례와 균형 강조
- 아리스토텔레스 ; 플라톤과 달이 예술도 진리를 추구하는 방법이라고 주장. 왜냐하면 그것 역시 이성과 진리를 표현하므로....
* 종교 역시 이성적이고 합리적 추구하고 그것에 비추어 자신의 인생을 성찰해가는 것
- 종교란 궁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
- 그리스인들이 궁극적인 것을 추구하기 위해 취한 방식은 철학 ; 이데아의 추구
- 이데아를 추구하며 자신을 성찰 ;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 델포이 신전에 새겨진 문구 ; ‘너 자신을 알라. 너무 지나치지 말라’
- 궁극적인 이데아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성취 가능
추천자료
과학과 기술, 철학의 관계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한 견해
아리스토 텔레스의 체육철학
과학의 시작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윤리학의 역사 철학적 측면
행복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
서양교육의 역사와 철학
수학, 철학, 종교에서의 무한의 관계
죤 듀이의 사상과 철학에 대한 연구A+
서양의 중세사(교육철학 및 교육사)
중세 스포츠 역사 철학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 (스토아 사상, 에피쿠로스 사상)
[삶과 철학] 스토아학파와 세네카(Seneca)
[레포트]철학사상가 과제
방송대 중간과제 철학의이해 A형 아주 오래된 질문들 A형 &#8211; 자유, 마르크스가 본 ...